콜만의 사회자본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콜만의 사회자본론

Broudieu의 사회자본

Bourdieu의 문화자본

본문내용

각적으로 바뀌지 않는다.
②객관화된 형태의 문화자본은 가령, 글, 그림, 기념물, 도구 등과 같이 물적 대상이나 미디어의 형태로 존재하며, 대부분 물적 형태로 전수된다. 그러나 전수되는 것은 가령, 그림도구의 사용이나 그림 소비 수단의 소유가 아니라 법적 소유권이다. 가령, 그림의 소유권은 곧 경제적 자본으로 변환 가능하다. 따라서 문화상품은 두 가지 형태로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데, 하나는 경제적 자본을 전제로 하는 물적 형태로, 다른 하나는 개인이 소유하거나 동시에 문화적 자본을 전제로 하는 상징적 형태로 소유한다.
③제도화된 문화자본은 가령, 법적으로 보증해주고 학적으로 구속력을 갖는 학위증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자격증 소지자는 이를 가짐으로서 문화나 사회적 비법과 관련하여 관례적, 지속적 그리고 법적으로 보장되는 문화적 자격증서(a certificate of cultural competence)를 부여받음으로서 비교적 자율성을 가진 문화자본의 형태를 창출한다. 이 때 물적, 상징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자격증의 가치는 그 희소성에 의하여 좌우된다.
브루디외에 의하면 문화자본은 많은 부분 특정 시기, 사회, 그리고 사회계층에 따라 의도적인 교수과정을 거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습득된다. 경제자본보다 전수나 획득과정이 덜 가시적이기 때문에 문화자본은 상징적 자본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집단에서의 차별적 사회화의 결과 서로 다른 집단 구성원들은 각자 서로 상이한 문화자본을 소유한다. 이러한 문화자본은 학교교육에 의하여 차별적인 사회화를 거쳐 기존의 문화자본을 그대로 계승되거나 혹은 재생산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9.1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4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