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 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출생과 성장
Ⅱ학문적 성향
Ⅲ유적지

본문내용

문화축제’를 지내고 있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되었다.
2.산천재
산청군 시천면 사리 468-1번지에 있는 산천재 산천재는 풍수지리학상 천왕봉에서 하봉-왕등재를 거쳐 흘러나온 지맥이 다시 조산(祖山)인 천왕봉을 되돌아보는 ‘회룡고조(回龍顧祖)’의 형국에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는 조식 선생이 61세 때인 1561년부터 기거하며 후학을 가르치고 학문을 하다 일생을 마친 곳이다. 선생의 유적으로는 이외에도 덕천서원세심정산천재묘소신도비여재실 등이 있다. 묘소는 산천재 뒷산에 있는데, 선생이 생전에 손수 자리 잡은 곳이다. 신도비는 우암 송시열이 비문을 지었고, 남명기념관 경내에 있다. 여재실(如在室)은 문중에서 제사를 지내는 부조묘인데 별묘(別廟)라고도 한다. 단성향교, 『단성향교지』, 회상사, 2008, p.652.
산천재 바로 옆, 길 건너에는 2004년 남명기념관이 건립되어 선생과 문인들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으며, 1984년 1월 26일 사적 제305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경북대 퇴계연구소경상대 남명학연구소 편, 『퇴계학과 남명학 』, 지식산업사, 2001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 『지리산 이천년 』,보고사, 2010
-단성향교, 『단성향교지』, 회상사, 2008
-산청군지편찬위원회, 『산청군지 』 상권, 2006
-예술의 전당退溪 李滉 특강논문집, 예술의 전당, 우일출판사, 2001-안병걸, 영남학파에서 퇴계학의 계승 양상
-이륙 외,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 도서출판 돌베개, 2000
-정진영, 남명의 현실인식과 대응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9.1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