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論
Ⅱ. 本論
1. 재회
2. 유소
3. 권당과 공관
4. 통문
5. 유생공천
6. 유벌
Ⅲ. 結論
Ⅱ. 本論
1. 재회
2. 유소
3. 권당과 공관
4. 통문
5. 유생공천
6. 유벌
Ⅲ. 結論
본문내용
었으므로 그 영향력이 매우 컸다.
結 論
학교라는 공간은 교사의 주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순한 교화(敎化)의 장이 아니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학생과 학생, 더 나아가 학생과 사회의 상호작용 등 삶의 모든 과정이 압축되어 전인적 측면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이 바로 학교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성균관 유생들이 엄격한 규제 속에서도 무조건적인 순응과 맹신적 자세가 아닌 나름의 주체적인 조직으로서 자신들의 입장을 사회적으로 표명할 줄 아는 자세를 지녔다는 것은 높이 살만한 것이라고 본다.
재회에서는 임원(任員)의 선출, 유벌(儒罰)과 공천(公薦), 유생의 집단 의사 표현 등이 허용되어 자율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여기서 결의된 의사는 국가로부터 독자성과 공적 효능이 보장되어 있었다. 이는 차세대의 인재를 양성하려는 교육적 배려로, 유생들이 재회(齋會)를 통하여 독자적이며 공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사회의 참여에 통로를 마련했음을 뜻한다.
이러한 자치활동(自治活動)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들이 스스로 의식을 깨우치고 어느 정도의 지적, 도덕적 품성과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단순한 모임이 아닌 그 안에서 자신을 발전시키고, 시비를 가리는 능력과 사회에 적극적으로 의사를 반영하려는 의지를 가지는 등 많은 것들이 잠재적으로 학습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치제도는 유생(儒生)들이 유교 경전이나 문예 학습, 글쓰기 등 학술적인 측면을 통해서만 내리 받는 교육이 아니라 자주적인 생활 태도와 개념을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말하며, 결정에 책임지고 규율에 따르는 사회생활 모든 면을 통한 잠재적인 지적 정서적 성장 또한 이루어졌던 것이다.
물론 자신들의 의사를 표명하는 방법 면에 있어서 상소(上疏)나 원점(圓點)을 포기하고 심하면 성균관을 떠나는 등의 지나치게 극단적이고 과격한 면이 있었지만, 현대의 학생운동이 민주화와 사회 발전의 과정에 많은 역할을 했듯이 성균관(成均館) 유생들의 자치활동(自治活動) 또한 여러 측면에서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도서
정낙찬, 이동기, 책휘균 편저,『한국의 전통교육』, 영남대학교출판부, 2000
이민홍,『조선조 성균관의 교원과 태학생의 생활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태학지 번역사업회, 『태학지』, 성균관, 1994
피정란, 『성균관 유생의 자치활동에 관한 연구』, 논문자료, 1995
結 論
학교라는 공간은 교사의 주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순한 교화(敎化)의 장이 아니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학생과 학생, 더 나아가 학생과 사회의 상호작용 등 삶의 모든 과정이 압축되어 전인적 측면에서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이 바로 학교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성균관 유생들이 엄격한 규제 속에서도 무조건적인 순응과 맹신적 자세가 아닌 나름의 주체적인 조직으로서 자신들의 입장을 사회적으로 표명할 줄 아는 자세를 지녔다는 것은 높이 살만한 것이라고 본다.
재회에서는 임원(任員)의 선출, 유벌(儒罰)과 공천(公薦), 유생의 집단 의사 표현 등이 허용되어 자율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여기서 결의된 의사는 국가로부터 독자성과 공적 효능이 보장되어 있었다. 이는 차세대의 인재를 양성하려는 교육적 배려로, 유생들이 재회(齋會)를 통하여 독자적이며 공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사회의 참여에 통로를 마련했음을 뜻한다.
이러한 자치활동(自治活動)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들이 스스로 의식을 깨우치고 어느 정도의 지적, 도덕적 품성과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단순한 모임이 아닌 그 안에서 자신을 발전시키고, 시비를 가리는 능력과 사회에 적극적으로 의사를 반영하려는 의지를 가지는 등 많은 것들이 잠재적으로 학습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치제도는 유생(儒生)들이 유교 경전이나 문예 학습, 글쓰기 등 학술적인 측면을 통해서만 내리 받는 교육이 아니라 자주적인 생활 태도와 개념을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말하며, 결정에 책임지고 규율에 따르는 사회생활 모든 면을 통한 잠재적인 지적 정서적 성장 또한 이루어졌던 것이다.
물론 자신들의 의사를 표명하는 방법 면에 있어서 상소(上疏)나 원점(圓點)을 포기하고 심하면 성균관을 떠나는 등의 지나치게 극단적이고 과격한 면이 있었지만, 현대의 학생운동이 민주화와 사회 발전의 과정에 많은 역할을 했듯이 성균관(成均館) 유생들의 자치활동(自治活動) 또한 여러 측면에서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도서
정낙찬, 이동기, 책휘균 편저,『한국의 전통교육』, 영남대학교출판부, 2000
이민홍,『조선조 성균관의 교원과 태학생의 생활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태학지 번역사업회, 『태학지』, 성균관, 1994
피정란, 『성균관 유생의 자치활동에 관한 연구』, 논문자료, 1995
추천자료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교육정의와 기능, 실용주의와 교육철학(교육사상), 사회재건주의와 실...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의미와 기능, 사회적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상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철학(교육사상)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기능, 교육철학(교육사상) 대표적 학자, 본질...
교육철학(교육사상) 도입과 발달, 교육철학(교육사상) 의의와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분류...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기본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역할, 진보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가치와 관심영역, 관념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실용주의 교육철학(교...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의의와 기본이론, 교육철학(교육사상)의 비판이론과 현상학이론, 분석...
교육철학(교육사상) 제 개념과 특징, 이상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항존주의 교육철학(교육...
교육철학(교육사상)의 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 조건,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 문화주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