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
2 생각을 바꾸면 목표 달성이 쉬워진다.
3 생각을 바꾸면 시간의 주인이 될 수 있다.
4 생각을 바꾸면 공부가 즐거워진다.
2 생각을 바꾸면 목표 달성이 쉬워진다.
3 생각을 바꾸면 시간의 주인이 될 수 있다.
4 생각을 바꾸면 공부가 즐거워진다.
본문내용
만 곧 늙는다. 모든 과정은 지나간다. 감사한 마음을 유지하고 불쾌한 감정에서 해방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모든 것은 결국 지나간다’는 사실을 떠올리는 것이다.
정말 듣기 싫은 말, 공부
다시 어린 시절로 되돌아간다면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사람들은 왜 그렇게 늙어서까지 공부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할까? 학교 다닐 때는 그토록 지겹던 공부가 어른이 된 다음에는 왜 그리 다시 해보고 싶은 일이 되었을까? 어른들은 그들의 부모로부터 그렇게 듣기 싫어하던 공부해라는 말을 자녀들에게 왜 똑같이 되풀이할까? 아쉬운 건 삶의 많은 통찰들은 시간이 지난 다음에야 터득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조금만 미리 안다면 우리는 훨씬 덜 후회하는 삶을 살게 될 것이다.
공부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 7가지
재미가 없고, 괴로움의 근원이다
공부하지 않고 성공할 수 있는 일은 많다
대학에 가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
사회생활에 별로 쓸모가 없다
공부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다
부모님 때문에 할 수 없이 한다
공부는 이를 악물고 해야 한다
이제 프로그램을 바꿀 때가 되었다
다르게 살아간다는 것은 스스로와 세상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우리 자신과 세상에 대해 적용하는 일종의 공식이다. 아직 만족스런 삶을 살고 있지 못하다면 우리가 쓰고 있는 삶의 공식을 바꾸어야 한다.
세 살버릇 여든에도 고친다
습관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이유들
-복잡한 세상에 지름길을 만들어준다
-나는 튄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초지일관, 그거 좋은 것이야!
-자존심을 보호할 수 있다
잘못된 습관을 바꾸려면
-습관 리스트를 작성하자
-얻을 수 있는 이들을 찾는다
-문제점을 찾아서 이득과 비교하자
-날마다 한 가지씩 시도하자
-실험의 날을 정해 하루쯤 달리 살아보자
-변화된 자기 모습을 상상하자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학교의 열등생은 사회의 우등생?
1.에디슨과 포드는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
2.그들은 세계적인 발명가이거나 갑부였다.
3.그러므로 대학을 가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다.
남다른 비전과 집념이야말로 성공의 비결
지금까지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라고 말해 왔다면 이 말을 성적이 나쁘다고 반드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로 바꾸기 바란다, 타고난 재능을 이미 찾은 사람이라면 그 재능을 살리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자기만의 재능을 찾지 못했다면 숨은 재능을 찾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슬럼프, 굴복할 것인가? 도전할 것인가?
슬럼프 왜 빠지게 될까?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생존에 도움이 되니까
-학습 방법이나 습관에 문제가 있어서
-분명한 동기가 없고 목표가 모호해서
-심리적인 갈등이나 불안감 때문에
슬럼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슬럼프의 존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과욕을 버리고 꾸준하게 공부한다.
-과거의 슬럼프 극복 방법을 회상해 본다.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한다.
-시간을 정해 놓고 마음껏 쉬는 시간을 가진다.
-누군가에게 사소한 도움을 베풀어 본다.
-마음을 다잡는 말이나 희망과 목표를 글로 써 본다.
-성공한 모습을 상상하고 스스로를 격려하라
-최악의 상황을 상상한다.
-감동적인 책이나 비디오를 본다.
자신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
부정적으로 질문하라. 그러면 부정적인 답을 얻을 것이다
부정적인 질문은 부정적인 답을 찾게 하고 그것이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좌우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부정적인 답에는 부정적인 감정이 따른다.
질문을 바꿔라. 그러면 답이 달라질 것이다.
뭐든지 연습을 많이 하면 잘할 수 있듯이 기분을 망치는 생각들도 열심히 하다보면 그 방면에 도가 튼다, 자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생각을 자꾸 하라 그러면 투덜거리고 절망하고, 포기하는데 명수가 될 것이다. 그렇게 되고 싶지 않다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을 바꿔라.
자기를 사랑해야 하는 절대적인 이유
-부정적인 자기 언어를 긍정적으로 바꾼다.
-잠들기 전에 잘했던 일 세 가지를 떠올린다.
-열등감과 정반대로 행동한다.
-매일 아침 자신에게 미소 짓는다.
오늘을 달리 보내면 내일은 다른 사람이 된다.
투덜거려라. 그러면 투덜거릴 일이 생길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하루를 미소로 포옹하라
아침에 일어나면 우선 새로운 하루를 맞이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감사하면서 좋은 하루가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보자.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인지를 계획하면서, 사소한 일이라도 누군가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을 한 가지 정도 생각해 보자.
어제와 다른 마음가짐으로 잠자리에 들라
장사가 아닌 다른 일을 하더라도 하루의 일과가 끝나면 그날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결산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 삶의 장사를 도와준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세상에 늘 감사해야 한다.
선생님이 싫으면 그 과목도 싫어진다?
*선생님은 미워해도 그 과목만은 싫어하지 마라
싫은 선생님이 있다면 그 사람의 태도나 행동을 미워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그 선생님을 싫어하지는 마라. 그것이 힘들다면 적어도 그 과목만은 미워하지 마라. 왜? 미워하는 사람만 손해니까.
*싫은 선생님도 내 편으로 만들어라.
-선생님들이 모두 천사표일 수 없음을 인정한다.
-남의 잘못을 타산지석으로 삼는다.
-싫을수록 내 편으로 만든다.
2. 생각을 바꾸면 목표 달성이 쉬워진다.
욕망처럼 막강한 자기 격려는 없다
*욕망이 이기적이어야 하는 까닭
“욕망이 이기적이어야 한다.”는 말에 여러분은 거부감을 느낄지 모르겠다. 그러나 인간의 이기적 욕망은 그 개인뿐 아니라 사회를 윤택하게 만드는 가장 강력하고 훌륭한 자산이다.
*성공한 사람에게 그 비결을 물어보자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가 이룩한 성공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자신의 성공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에 대해 호감을 갖는다. 따라서 성공한 사람들에게 지레 겁을 먹을 필요가 없다. 어떤 분야에서 뭔가 크게 성취한 사람이 있으면 한 번 찾아가 보자. 만약 멀리 있다면 편지나 이메일로 흠모하는 이유를 적고 궁금한 점을 정중하게 물어보자.
서양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부자가 되려면 부자에게 점심을 사라.”
목표, 아직도 그걸 갖지 못한 까닭
*우리가 목표를 멀리하는 까닭은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기
정말 듣기 싫은 말, 공부
다시 어린 시절로 되돌아간다면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사람들은 왜 그렇게 늙어서까지 공부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할까? 학교 다닐 때는 그토록 지겹던 공부가 어른이 된 다음에는 왜 그리 다시 해보고 싶은 일이 되었을까? 어른들은 그들의 부모로부터 그렇게 듣기 싫어하던 공부해라는 말을 자녀들에게 왜 똑같이 되풀이할까? 아쉬운 건 삶의 많은 통찰들은 시간이 지난 다음에야 터득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조금만 미리 안다면 우리는 훨씬 덜 후회하는 삶을 살게 될 것이다.
공부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 7가지
재미가 없고, 괴로움의 근원이다
공부하지 않고 성공할 수 있는 일은 많다
대학에 가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
사회생활에 별로 쓸모가 없다
공부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다
부모님 때문에 할 수 없이 한다
공부는 이를 악물고 해야 한다
이제 프로그램을 바꿀 때가 되었다
다르게 살아간다는 것은 스스로와 세상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우리 자신과 세상에 대해 적용하는 일종의 공식이다. 아직 만족스런 삶을 살고 있지 못하다면 우리가 쓰고 있는 삶의 공식을 바꾸어야 한다.
세 살버릇 여든에도 고친다
습관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이유들
-복잡한 세상에 지름길을 만들어준다
-나는 튄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초지일관, 그거 좋은 것이야!
-자존심을 보호할 수 있다
잘못된 습관을 바꾸려면
-습관 리스트를 작성하자
-얻을 수 있는 이들을 찾는다
-문제점을 찾아서 이득과 비교하자
-날마다 한 가지씩 시도하자
-실험의 날을 정해 하루쯤 달리 살아보자
-변화된 자기 모습을 상상하자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학교의 열등생은 사회의 우등생?
1.에디슨과 포드는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
2.그들은 세계적인 발명가이거나 갑부였다.
3.그러므로 대학을 가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다.
남다른 비전과 집념이야말로 성공의 비결
지금까지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다 라고 말해 왔다면 이 말을 성적이 나쁘다고 반드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로 바꾸기 바란다, 타고난 재능을 이미 찾은 사람이라면 그 재능을 살리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자기만의 재능을 찾지 못했다면 숨은 재능을 찾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슬럼프, 굴복할 것인가? 도전할 것인가?
슬럼프 왜 빠지게 될까?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생존에 도움이 되니까
-학습 방법이나 습관에 문제가 있어서
-분명한 동기가 없고 목표가 모호해서
-심리적인 갈등이나 불안감 때문에
슬럼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슬럼프의 존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과욕을 버리고 꾸준하게 공부한다.
-과거의 슬럼프 극복 방법을 회상해 본다.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한다.
-시간을 정해 놓고 마음껏 쉬는 시간을 가진다.
-누군가에게 사소한 도움을 베풀어 본다.
-마음을 다잡는 말이나 희망과 목표를 글로 써 본다.
-성공한 모습을 상상하고 스스로를 격려하라
-최악의 상황을 상상한다.
-감동적인 책이나 비디오를 본다.
자신을 사랑해야 하는 이유
부정적으로 질문하라. 그러면 부정적인 답을 얻을 것이다
부정적인 질문은 부정적인 답을 찾게 하고 그것이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좌우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부정적인 답에는 부정적인 감정이 따른다.
질문을 바꿔라. 그러면 답이 달라질 것이다.
뭐든지 연습을 많이 하면 잘할 수 있듯이 기분을 망치는 생각들도 열심히 하다보면 그 방면에 도가 튼다, 자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생각을 자꾸 하라 그러면 투덜거리고 절망하고, 포기하는데 명수가 될 것이다. 그렇게 되고 싶지 않다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을 바꿔라.
자기를 사랑해야 하는 절대적인 이유
-부정적인 자기 언어를 긍정적으로 바꾼다.
-잠들기 전에 잘했던 일 세 가지를 떠올린다.
-열등감과 정반대로 행동한다.
-매일 아침 자신에게 미소 짓는다.
오늘을 달리 보내면 내일은 다른 사람이 된다.
투덜거려라. 그러면 투덜거릴 일이 생길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하루를 미소로 포옹하라
아침에 일어나면 우선 새로운 하루를 맞이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감사하면서 좋은 하루가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보자.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인지를 계획하면서, 사소한 일이라도 누군가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을 한 가지 정도 생각해 보자.
어제와 다른 마음가짐으로 잠자리에 들라
장사가 아닌 다른 일을 하더라도 하루의 일과가 끝나면 그날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결산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 삶의 장사를 도와준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세상에 늘 감사해야 한다.
선생님이 싫으면 그 과목도 싫어진다?
*선생님은 미워해도 그 과목만은 싫어하지 마라
싫은 선생님이 있다면 그 사람의 태도나 행동을 미워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그 선생님을 싫어하지는 마라. 그것이 힘들다면 적어도 그 과목만은 미워하지 마라. 왜? 미워하는 사람만 손해니까.
*싫은 선생님도 내 편으로 만들어라.
-선생님들이 모두 천사표일 수 없음을 인정한다.
-남의 잘못을 타산지석으로 삼는다.
-싫을수록 내 편으로 만든다.
2. 생각을 바꾸면 목표 달성이 쉬워진다.
욕망처럼 막강한 자기 격려는 없다
*욕망이 이기적이어야 하는 까닭
“욕망이 이기적이어야 한다.”는 말에 여러분은 거부감을 느낄지 모르겠다. 그러나 인간의 이기적 욕망은 그 개인뿐 아니라 사회를 윤택하게 만드는 가장 강력하고 훌륭한 자산이다.
*성공한 사람에게 그 비결을 물어보자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가 이룩한 성공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자신의 성공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에 대해 호감을 갖는다. 따라서 성공한 사람들에게 지레 겁을 먹을 필요가 없다. 어떤 분야에서 뭔가 크게 성취한 사람이 있으면 한 번 찾아가 보자. 만약 멀리 있다면 편지나 이메일로 흠모하는 이유를 적고 궁금한 점을 정중하게 물어보자.
서양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부자가 되려면 부자에게 점심을 사라.”
목표, 아직도 그걸 갖지 못한 까닭
*우리가 목표를 멀리하는 까닭은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