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ROBIN WOOD, AN INTRODUCTION TO THE AMERICAN HORROR FILM
- 미국 호러영화에 대한 일련의 일반적인 진술들
1. 대중성과 나쁜 평가
2. 꿈과 악몽
3. 초현실주의자
4. 기본공식
5. 양가성
6. 프로이트적 논제
2. 비판적 견해
1) 분리될 수 없는 대립 쌍
2) 꿈과 영화 : 악몽 혹은 간절히 원하던 꿈
3. 이론의 적용 : <여고괴담 (박기형, 1998)>
- 미국 호러영화에 대한 일련의 일반적인 진술들
1. 대중성과 나쁜 평가
2. 꿈과 악몽
3. 초현실주의자
4. 기본공식
5. 양가성
6. 프로이트적 논제
2. 비판적 견해
1) 분리될 수 없는 대립 쌍
2) 꿈과 영화 : 악몽 혹은 간절히 원하던 꿈
3. 이론의 적용 : <여고괴담 (박기형, 1998)>
본문내용
개인이 아니라 권위적이고 성차별적이고 가부장적인 교육의 대리인인 늙은 여우와 미친개를 죽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이 기존의 영화와 차별화되는 것이다.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은 한정된 주제에만 갇힐 수 있는 영화를 사회에까지 확장시켰다. 선생님들도 피해자로 규정하며 그렇게 몰아가는 사회라는 틀 자체를 비판하는 것이다. 학생의 신분이었다가 다시 선생님으로 같은 학교에 부임하게 되는 은영은 이를 나타낸다. 그녀가 학생 시절에 받았던 억압을 다시 학생들에게 가할 가능성이 재이에 의해 저지되는 것이다. '너 역시 늙은 여우가 될 것'이라며 말이다.
억압된 것의 귀환. 분출된 욕망의 탈출구가 바로 단순한 호러물이라 할 수 있지만 그 속에서 교육문제, 사회문제의 전반을 다루는 억압받는 타자의 진짜 귀환을 이뤄 낸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은 그렇기 때문에 한국영화의 획기적인 호러영화로 칭송받을 수 있는 것이다.
1998년 처음 나온 여고괴담 시리즈가 얼마 전 5편째를 맞이했다. 그만큼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기에도, 또 획기적 호러 영화라는 감상평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영화를 감상하는 내내 불편했고, 악몽과도 같았다. 비판적 견해에서 나는 어쩌면 과잉 엉압의 탈출구로써 호러 영화는 간절히 바라던 꿈일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은 간절히 바라던 꿈이기보다는 악몽이었다. 그런 악몽이었지만 어느새 또다시 여고괴담2 시리즈를 찾고 있는 나를 보면 억압된 욕구의 탈출구로 악몽을 즐기고 있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본다.
이것이 바로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이 기존의 영화와 차별화되는 것이다.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은 한정된 주제에만 갇힐 수 있는 영화를 사회에까지 확장시켰다. 선생님들도 피해자로 규정하며 그렇게 몰아가는 사회라는 틀 자체를 비판하는 것이다. 학생의 신분이었다가 다시 선생님으로 같은 학교에 부임하게 되는 은영은 이를 나타낸다. 그녀가 학생 시절에 받았던 억압을 다시 학생들에게 가할 가능성이 재이에 의해 저지되는 것이다. '너 역시 늙은 여우가 될 것'이라며 말이다.
억압된 것의 귀환. 분출된 욕망의 탈출구가 바로 단순한 호러물이라 할 수 있지만 그 속에서 교육문제, 사회문제의 전반을 다루는 억압받는 타자의 진짜 귀환을 이뤄 낸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은 그렇기 때문에 한국영화의 획기적인 호러영화로 칭송받을 수 있는 것이다.
1998년 처음 나온 여고괴담 시리즈가 얼마 전 5편째를 맞이했다. 그만큼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기에도, 또 획기적 호러 영화라는 감상평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영화를 감상하는 내내 불편했고, 악몽과도 같았다. 비판적 견해에서 나는 어쩌면 과잉 엉압의 탈출구로써 호러 영화는 간절히 바라던 꿈일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여고괴담 (박기형, 1998)>은 간절히 바라던 꿈이기보다는 악몽이었다. 그런 악몽이었지만 어느새 또다시 여고괴담2 시리즈를 찾고 있는 나를 보면 억압된 욕구의 탈출구로 악몽을 즐기고 있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