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시조영 리피트 (촬영)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투 시 조 영 촬 영




조영제의 분류
━━━━━━━━━─────────

음성 조영제 : Air, CO2, N2, N2O등 [혈관에 사용금지]
양성 조영제 : x선흡수차크다
수용성 비뇨.혈관계 – Isovist, Telebrix, Hexabrix,
Ultravist, Omniqaue
위.장관계 – 바륨, Gastrografin
호흡기계-Hytrast
유용성(지용성) – Lipiodol (검사후 배액)
- gastrografin : 위장의 천공, 누공
위장관계의 협착 및 폐색, 급성출혈

조영제의 물리.화학적 작용
저삼투압, 저 점도, 저단백율, 고용해성, 고신장내성

조영제 부작용
경증 - 피부박적, 담마진, 발열
중증 - 혈압강하, 의식불명
치사증상 - 호흡정지, 쇼크

농도
W/V % = 바륨무개/현탁액총량 *100 [g/cc]
W/w % = 바륨의 무게/바륨의 무게 + 물의양 * 100 [g/g]




━━━━━━━━━━━━━━━━━━━━━━━━━━━━━━━━━━━━━━━━━━━━━━━━━━━
 ┃ 장점 ┃ 단점
━━━━━━━━━━━━━━━━━━━━━━━━━━━━━━━━━━━━━━━━━━━━━━━━━━━
Under Tube
………………………………………………………………………………………………………………………………………
산란선적음 위의 전복벽관찰용이
………………………………………………………………………………………………………………………………………
환자 위치잡이 어려움 압박콘 사용번잡, 상의 확대
───────────────────────────────────────────────────
Over Tube
………………………………………………………………………………………………………………………………………
환자 위치잡이 편리
Remote방식
FFD거리 변화 없음
압박시행 용이
위의 후복벽 관찰 용이
………………………………………………………………………………………………………………………………………
산란선이 많이 발생
위의전복벽영상불량
───────────────────────────────────────────────────




위.장관계 조영검사
━━━━━━━━━─────────

식도조영검사 [esophagography] – C6~T11 (25Cm)
목적 : 게실, 궤양, 식도염, 종양등
전처치 : 없음
조영제 : 황산바륨 and Air
Pt. Position
- erect AP :협착 부위 관찰용이
- RAO View : Holzknecht space 내 식도 윤곽 = LPO
(대동맥궁 압박만곡상 복부식도 본문이행부가 잘 관찰)
- RPO : 횡격막 아래 식도 관찰
- Lat. : 대동맥궁, 좌기관지, 좌심방 압박상
참고] 협착부위
제1협착부위 : 윤상연골 뒤 C6
제2협착부위 : 기관분지(대동맥궁) T4~T5
제3협착부위 : 식도열공(횡격막관통부) T11 - E.G junction부위
  • 가격3,000
  • 페이지수108페이지
  • 등록일2011.09.20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03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