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미술재료의 의미
Ⅲ. 미술재료의 기능
Ⅳ. 미술재료와 표현
1. 아이스너(Eisner)의 견해
2. 아른하임(Arnheim)의 견해
Ⅴ. 미술재료의 한국화재료
Ⅵ. 미술재료의 유의사항
Ⅶ. 미술재료의 선택 방안
참고문헌
Ⅱ. 미술재료의 의미
Ⅲ. 미술재료의 기능
Ⅳ. 미술재료와 표현
1. 아이스너(Eisner)의 견해
2. 아른하임(Arnheim)의 견해
Ⅴ. 미술재료의 한국화재료
Ⅵ. 미술재료의 유의사항
Ⅶ. 미술재료의 선택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화지나 켄트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 외에도 색깔이나 무늬가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들 중에서 어린이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줄 수 있는 재료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에는 화장지, 티슈, 키친 타올, 골판지, 달력지, 포장지, 복사지, 종이 가방, 사포지, 벽지, 신문지 등이 있는데, 이것은 특별히 비싸게 살 필요도 없고 주변에서 구하기도 쉬운 것들이다. 하얀색의 네모난 도화지보다는 여러 가지 색의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진 종이를 아동들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흥미 있는 수업을 전개시킬 수 있고 의욕적인 학습 활동으로의 전환이 빠를 것이다. 또 종이 외에도 나무나 금속판, 헝겊, 부직포, 우드락 등에 그림을 그리고 꾸미게 함으로써 주변의 것이 모두 미술 활동의 재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시켜 미술이 생활의 일부임을 상기시키는 것도 좋은 교육이 될 것이다.
둘째, 그리기 재료에서는 아동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크레파스나 물감 외에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는 것을 찾아내어 크레파스와 물감과 접목시킴으로써 더욱 재미있는 효과를 창조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찾아내어 그 재료들의 특성을 알고 주제에 맞는 다양한 표현 방법과 더불어 잘 표현 해 내면 그림의 독특한 분위기를 표현하거나 자세한 부분을 표현하거나 그림의 중심 주제 표현하는 것을 돕게 될 것이다. 또 아동들이 각자의 기호와 작품 성향, 의도에 따라 재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 이런 경험을 통하여 아동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재료의 특성을 살려 좀 더 잘 나타낼 수 있고 작품 활동을 흥미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만들기 재료에서는 위생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우리 생활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폐품이나 자연 재료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자원을 아낄 수 있는 마음을 길러줄 수도 있고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미술을 생활의 한 부분이자 자연의 일부로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우리 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자연의 변화를 분명히 느낄 수 있는 나라이다. 미술 활동을 통해 우리 나라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감을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또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작품의 제시나 대체 재료의 제시가 필요하다. 만들기 재료는 지역에 따라 응용할 수 있는 재료가 많이 있으며 도시, 농촌, 어촌, 산촌, 섬 등 지역에 따라 구하기 쉬운 재료의 소개와 다양한 대체 재료의 제시로 표현 활동의 폭을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박병학 / 사랑의 수업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7
임영방 저 / 미술과 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82
전영탁 / 미술재료학, 일선출판사, 1984
페기 데이빈슨 젠킨스 저, 김수영 역 / 재미있는 미술공부, 교육과학사, 서울, 1998
필립 르정드르 저 / 우리아이 첫 미술 수업, 청어람미디어, 2008
허균 /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교보문고, 1994
둘째, 그리기 재료에서는 아동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크레파스나 물감 외에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는 것을 찾아내어 크레파스와 물감과 접목시킴으로써 더욱 재미있는 효과를 창조해 낼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찾아내어 그 재료들의 특성을 알고 주제에 맞는 다양한 표현 방법과 더불어 잘 표현 해 내면 그림의 독특한 분위기를 표현하거나 자세한 부분을 표현하거나 그림의 중심 주제 표현하는 것을 돕게 될 것이다. 또 아동들이 각자의 기호와 작품 성향, 의도에 따라 재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 이런 경험을 통하여 아동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재료의 특성을 살려 좀 더 잘 나타낼 수 있고 작품 활동을 흥미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만들기 재료에서는 위생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우리 생활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폐품이나 자연 재료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자원을 아낄 수 있는 마음을 길러줄 수도 있고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미술을 생활의 한 부분이자 자연의 일부로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우리 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자연의 변화를 분명히 느낄 수 있는 나라이다. 미술 활동을 통해 우리 나라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감을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또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작품의 제시나 대체 재료의 제시가 필요하다. 만들기 재료는 지역에 따라 응용할 수 있는 재료가 많이 있으며 도시, 농촌, 어촌, 산촌, 섬 등 지역에 따라 구하기 쉬운 재료의 소개와 다양한 대체 재료의 제시로 표현 활동의 폭을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박병학 / 사랑의 수업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7
임영방 저 / 미술과 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82
전영탁 / 미술재료학, 일선출판사, 1984
페기 데이빈슨 젠킨스 저, 김수영 역 / 재미있는 미술공부, 교육과학사, 서울, 1998
필립 르정드르 저 / 우리아이 첫 미술 수업, 청어람미디어, 2008
허균 /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교보문고, 1994
추천자료
한국화 교육의 이론적 배경
판화교육에 있어 아동발달단계에 따른 적절한 재료 및 도구의 선정
미술과 교육특징과 교육목표,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내용, 고등학교 미술과 미술사교육, 고등...
[아동미술재료용도]아동들의 미술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 10개 이상 소개하고 그 재료...
4학년)미술과지도안(재미있는_표현2차시-여러가지재료와방법으로표현하기)
[일본 미술교육][일본 미술교육 교과서][일본 미술교육 감상영역]일본 미술교육의 특징, 일본...
제7차 미술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제7차 미술과교육과정 구성중점, 제7차 미술과교육과정...
가을 주제의 미술 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
[유아미술교육] 가을 주제, 가을동산 꾸미기 조형 활동 모의수업
[탐구활동교육(탐색활동교육), 탐구활동, 탐색활동]탐구활동교육(탐색활동교육)의 의미, 탐구...
만4세) <수업계획안> 주제(소주제) : 가을(가을의 변화) / 활동명 : 낙엽 연상그림 / 활동유...
(만5세) <아동 미술 교육계획안-모의수업계획안 (소집단)> 활동명 : 나뭇잎을 찍어요(가을 나...
(아동미술)미술활동관련 동화책 목록화
(A+ 레포트,시험대비) [아동미술] 아동미술의 실제활동 예시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