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1)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합병증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가) 현병력
(나) 과거력
(다) 가족력
(3) 간호력
(가) 교환
(나) 의사소통
(다) 관계
(라) 가치
(마) 기동
(바) 인지/지각
(사) 지식
(아) 통증
(4)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
(1) Hematology
(2) Blood Chemistry
(3) 기타 검사(방사선, 초음파, 내시경, CT, MRI 등)
(4)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2. 문헌고찰
1)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합병증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가) 현병력
(나) 과거력
(다) 가족력
(3) 간호력
(가) 교환
(나) 의사소통
(다) 관계
(라) 가치
(마) 기동
(바) 인지/지각
(사) 지식
(아) 통증
(4)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
(1) Hematology
(2) Blood Chemistry
(3) 기타 검사(방사선, 초음파, 내시경, CT, MRI 등)
(4)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본문내용
않으시고
지금 있는 곳이 병원이라는 것도 파악하고 있음.
8/23
특별히 불편한 점이 없어보이신다.
어제처럼 편안히 주무시고 특이사항 보이지 않음.
8/24
오전 10시 영남대학병원으로 이송함
(2) 약물치료(IV, IM, PO 순으로 표기함)
Medication
약물 투여일
8/20
8/21
8/22
8/23
Traumeel 2.2ml
Naloxone HCl 2mg
Cefamandole fafate 1g
Epilam 400mg inj
Gaster 20mg
Botropase
Tridol 50mg
Medication 적응증 및 용법
약품명
용량
용법
횟수
비고(적응증, 금기증, 주의사항)
Traumeel 2.2ml
2.2ml
1일 3회
1회 1앰플
출혈, 관절, 염증치료/
중증의 고열압 심질환 신장애 환자는 금기/
과량투여시 갈증, 어지러움, 산동, 체온증가, 구역, 구토, 설사 등
Naloxone HCl 2mg
의사의 지시에 의해 투여
아편류에 의한 호흡억제를 포함한 마약 억제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역전/
금기는 약의 과민반응 보인 환자/
구역, 구토, 발한, 빈맥, 혈압증가, 저혈압이 올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나 심질환 환자는 신중히 투여
Cefamandole nafate 1g
질환, 증상, 환자별로 의사의 지시에 의해 투여
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 감염증, 요로감염증, 복막염, 패혈증 등/
과민반응이나 세팔로스포린계에 과민반응한 환자는 금기/
간효소 수치 상승,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가 부작용
Epilam 400mg inj
400mg
성인 보통 400~800mg 3~5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주사
간질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 예방과 치료, 수술후 및 외상후의 발작/ 과민반응 환자 간이나 췌장에 심각한 이상이 있는 환자, 간 질환 가족력, 포리피린증 환자 는 금기/
월경 주기의 변화, 복부경련, 식욕감퇴, 설사, 오심, 구토, 체중증가는 부작용
Gaster 20mg
의사의 처방에 의한 투여
H2 차단제,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치료, 위내 ph조절, 위식도 역류 질환, 가슴앓이, 위통 완화
/부작용은 발진, 담마진, 식욕부진, 변비, 설사, 구갈, 구역, 맥박수 증가, 이명 등
Botropase
의사의 처방에 의한 투여
지혈제, 혈액응고제/
김기는 과민증이나 혈전증 색전증환자, 트롬빈 투여중인 환자/
발진, 두드러기, 안면홍조가 부작용
Tridol 50mg
50mg
1회 50~100mg
1일 최고 400mg
4~5시간마다 반복주사
중증 및 중증도의 급만성 동통, 진단 및 수술후 동통,
급성 알코올중독 환자, 심한 호흡억제 환자, 의식혼탁 위험이 있는 환자, 임부 및 수유부 아편에 대한 민증 환자/
호흡억제, 심계항진, 냉한,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창백, 졸음, 수면, 두통, 어지러움, 불쾌감, 배뇨곤란, 구갈, 구역, 발열, 열감, 오한, 냉감, 두드러기 등이 부작용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억제대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8/19
8/20
2
스스로 배뇨할 수 없는 능력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8/19
8/24
3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8/19
8/24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억제대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8 월 19 일)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통증이 심하여 계속 몸을 움직이려 함.
2. 억제대를 풀려고 힘을 쓰고 억제대 부위가 붉게 변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억제대 부위의 붉은 빛이 없어지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한다.
plan
1. 1시간씩 억제대가 풀려있는지 확인하고 다시 묶는다.
2. 진통제를 투여한다.
Implication
1. 1시간씩 활력징후 측정하며 억제대가 풀려있는지 확인하고 풀려있을때 다시 단단하게 고정해서 묶었다.
2. 진통제 Tridol 50mg bid로 12시, 24시에 투여
evaluation
손목주위에 붉은 빛이 없어지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 2. Nsg Dx : 스스로 배뇨할 수 없는 능력과 통증과 관련된
배뇨장애 위험성 ( 8 월 19 일)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환자가 Foley 를 설치하고 있다.
2. 통증으로 몸을 비틀고 있다.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환자가 통증이 감소되고 소변량이 정상범위가 된다.
plan
1. 섭취량과 배설량을 매일 기록한다.
2. 도뇨관이 꼬이지 않았는지 관찰한다.
3. 통증이 줄어들도록 진통제를 투여한다.
Implication
1. 매일 I/O Check를 하였다.
2. 도뇨관이 꼬이지 않도록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마다 확인하였다.
3. 통증이 줄어들도록 진통제 Tridol 50mg을 투여하였다.
evaluation
소변량이 정상범위가 되고 통증이 줄어 편하게 누워있을 수 있게 되었다.
# 3. Nsg Dx :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 8 월 19 일)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의식이 불분명하다.
2. 헛소리를 한다.(낫이나 절단기를 달라거나 화장실은 가야한다는.......)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의식이 분명해지고 헛소리가 없어진다.
plan
1. 환자와 대화할 때 천천히 눈을 보고 차분하게 얘기한다.
2. 의사소통을 시도하여 말할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Implication
1. 활력징후를 측정하며 자주 대화를 나누고 얘기하였다.
2.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불편한 점이 없는지 자주자주 물어보았다.
evaluation
대화를 하면 헛소리는 하지 않지만 아직 정신이 confuse하여 얘기가 이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2. 정신간호총론 / 수문사
3. http://blog.naver.com/dbsgml2628?Redirect=Log&logNo=40041988426
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438
지금 있는 곳이 병원이라는 것도 파악하고 있음.
8/23
특별히 불편한 점이 없어보이신다.
어제처럼 편안히 주무시고 특이사항 보이지 않음.
8/24
오전 10시 영남대학병원으로 이송함
(2) 약물치료(IV, IM, PO 순으로 표기함)
Medication
약물 투여일
8/20
8/21
8/22
8/23
Traumeel 2.2ml
Naloxone HCl 2mg
Cefamandole fafate 1g
Epilam 400mg inj
Gaster 20mg
Botropase
Tridol 50mg
Medication 적응증 및 용법
약품명
용량
용법
횟수
비고(적응증, 금기증, 주의사항)
Traumeel 2.2ml
2.2ml
1일 3회
1회 1앰플
출혈, 관절, 염증치료/
중증의 고열압 심질환 신장애 환자는 금기/
과량투여시 갈증, 어지러움, 산동, 체온증가, 구역, 구토, 설사 등
Naloxone HCl 2mg
의사의 지시에 의해 투여
아편류에 의한 호흡억제를 포함한 마약 억제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역전/
금기는 약의 과민반응 보인 환자/
구역, 구토, 발한, 빈맥, 혈압증가, 저혈압이 올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나 심질환 환자는 신중히 투여
Cefamandole nafate 1g
질환, 증상, 환자별로 의사의 지시에 의해 투여
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 감염증, 요로감염증, 복막염, 패혈증 등/
과민반응이나 세팔로스포린계에 과민반응한 환자는 금기/
간효소 수치 상승,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가 부작용
Epilam 400mg inj
400mg
성인 보통 400~800mg 3~5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주사
간질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 예방과 치료, 수술후 및 외상후의 발작/ 과민반응 환자 간이나 췌장에 심각한 이상이 있는 환자, 간 질환 가족력, 포리피린증 환자 는 금기/
월경 주기의 변화, 복부경련, 식욕감퇴, 설사, 오심, 구토, 체중증가는 부작용
Gaster 20mg
의사의 처방에 의한 투여
H2 차단제,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치료, 위내 ph조절, 위식도 역류 질환, 가슴앓이, 위통 완화
/부작용은 발진, 담마진, 식욕부진, 변비, 설사, 구갈, 구역, 맥박수 증가, 이명 등
Botropase
의사의 처방에 의한 투여
지혈제, 혈액응고제/
김기는 과민증이나 혈전증 색전증환자, 트롬빈 투여중인 환자/
발진, 두드러기, 안면홍조가 부작용
Tridol 50mg
50mg
1회 50~100mg
1일 최고 400mg
4~5시간마다 반복주사
중증 및 중증도의 급만성 동통, 진단 및 수술후 동통,
급성 알코올중독 환자, 심한 호흡억제 환자, 의식혼탁 위험이 있는 환자, 임부 및 수유부 아편에 대한 민증 환자/
호흡억제, 심계항진, 냉한,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창백, 졸음, 수면, 두통, 어지러움, 불쾌감, 배뇨곤란, 구갈, 구역, 발열, 열감, 오한, 냉감, 두드러기 등이 부작용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억제대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8/19
8/20
2
스스로 배뇨할 수 없는 능력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8/19
8/24
3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8/19
8/24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억제대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8 월 19 일)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통증이 심하여 계속 몸을 움직이려 함.
2. 억제대를 풀려고 힘을 쓰고 억제대 부위가 붉게 변함.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억제대 부위의 붉은 빛이 없어지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한다.
plan
1. 1시간씩 억제대가 풀려있는지 확인하고 다시 묶는다.
2. 진통제를 투여한다.
Implication
1. 1시간씩 활력징후 측정하며 억제대가 풀려있는지 확인하고 풀려있을때 다시 단단하게 고정해서 묶었다.
2. 진통제 Tridol 50mg bid로 12시, 24시에 투여
evaluation
손목주위에 붉은 빛이 없어지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 2. Nsg Dx : 스스로 배뇨할 수 없는 능력과 통증과 관련된
배뇨장애 위험성 ( 8 월 19 일)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환자가 Foley 를 설치하고 있다.
2. 통증으로 몸을 비틀고 있다.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환자가 통증이 감소되고 소변량이 정상범위가 된다.
plan
1. 섭취량과 배설량을 매일 기록한다.
2. 도뇨관이 꼬이지 않았는지 관찰한다.
3. 통증이 줄어들도록 진통제를 투여한다.
Implication
1. 매일 I/O Check를 하였다.
2. 도뇨관이 꼬이지 않도록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마다 확인하였다.
3. 통증이 줄어들도록 진통제 Tridol 50mg을 투여하였다.
evaluation
소변량이 정상범위가 되고 통증이 줄어 편하게 누워있을 수 있게 되었다.
# 3. Nsg Dx :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 8 월 19 일)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의식이 불분명하다.
2. 헛소리를 한다.(낫이나 절단기를 달라거나 화장실은 가야한다는.......)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의식이 분명해지고 헛소리가 없어진다.
plan
1. 환자와 대화할 때 천천히 눈을 보고 차분하게 얘기한다.
2. 의사소통을 시도하여 말할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Implication
1. 활력징후를 측정하며 자주 대화를 나누고 얘기하였다.
2.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불편한 점이 없는지 자주자주 물어보았다.
evaluation
대화를 하면 헛소리는 하지 않지만 아직 정신이 confuse하여 얘기가 이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2. 정신간호총론 / 수문사
3. http://blog.naver.com/dbsgml2628?Redirect=Log&logNo=40041988426
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438
추천자료
사례연구가 갖는 의미와 내용 및 철도청 공사화 추진의 문제점
[성공사례] 연구개발 성공사례 분석의 종합
사례연구
[평생교육방법론]체험적 교육방법 교수-학습기법의 사례와 분석 - 미술 치료 사례연구-
2009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사례연구 - EU, 신용평가사 신용을 평가하라, 기업 신용등급 버블 심각… 못믿을 신용평가사, ...
제조물책임법 사례 연구 발표
단일사례연구설계
2015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평생교육] 사례연구에 대한 이해와 사례연구 교수법을 이용한 수업 진행 방법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조사론] 사례연구
2017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행정학과 행정사례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2학기 행정사례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