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용어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세포막

세포질



★) 척추.

★) 피부계.

★) 뼈의 구조와 기능.

Ⅰ. 심장을 통하는 혈액의 경로

Ⅱ.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호흡기관.

본문내용

은 폐에서 폐정맥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흘러들어간다.
7. 혈액은 좌심방에서 이첨판을 통해 좌심실로 들어간다.
8. 좌심실수축에 의해서 혈액은 대동맥판을 지나 대동맥으로 박출되어 혈액을 체순환계로 보낸다.
Ⅱ.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체격 : 일반적으로 체격이 큰 사람의 박동은 느리다.
2. 성별 : 여성은 남성보다 심박수가 빠르다.
3. 연령 : 건강한 성인의 심박수는 70~80회/분 정도이며, 어린이는 100회, 유아는 120회, 영아는 140회/분이다.
4. 운동 : 운동에 의해 심박수는 증가한다.
5. 자율신경에 의한 자극 : 교감신경의 흥분은 동방결절을 자극하여,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부교감 신경의 자극은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6. 호르몬의 영향 : 몇 개의 호르몬은 심박수에 영향을 미친다.
부신에서 분비되는 에피네프린과 노에피네프린 및 갑상선호르몬은 심박수를 증가시킨다.
7. 질환 : 심환자상태는 심박수에 영향을 미친다.(서맥, 빈맥)
8. 약물 : 디키탈리스는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해 부 학
Ⅲ. 호흡기관.
1. 목구멍의 기능
- 공기를 기관으로 운반하고 음식물을 식도로 운반한다. 성대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며 편도로 항체를 만들고, 몸을 세균으로부터 보호한다. 목구멍은 인두와 후두로 되어 음식물과 공기를 나눈다.
2. 성대의 구조
- 성대의 길이는 남성 약 2cm, 여성 약 1.6cm 호흡할 때에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성문이 열린다. 닫힌 성문에 공기가 부딪혀, 성대가 울려 그 진동이 목소리가 된다. 여성의 목소리가 남성보다 높은 것은 성대의 길이가 남성보다 짧아 진동하기 쉽기 때문이다.
3. 기관, 기관지의 구조
- 공기는 수십회 나뉘어 폐로 나아간다. 공기와 음식물이 통과하는 인두는 하방에서 식도와 기관으로 갈라진다. 기관은 후두를 경유하여 하강하고, 폐로 화장된 근, 연골성관으로 길이는 약 10~ 11cm이다. 기관은 1차, 2차, 3차 기관지로 나뉜다.
4. 가수교환의 구조
- 호흡에 따라 들어온 공기는 폐로 운반되고 공기 중 산소는 혈액에 들어가 전신으로 보내진다. 헤모글로빈은 산소가 많은 곳에서는 산소분자와 결합하고, 적은 곳에서는 그것을 방출한다. 헤모글로빈은 이산화탄소가 많은 곳에서는 이산화탄소가 결합하고 적은 곳에서는 그것을 방출한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체내를 순회해온 이산화탄소를 많이 포함한 적혈구는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고 대신 산소와 결합하여 그것을 방출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29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