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교류 증폭기로서의 트랜지스터
② 바이어스 방법과 안정화
③ 이미터 바이패스 커패시터
④ 분압기 바이어스
⑤ 전압 이득
⑥ 입력 임피던스
⑦ 출력 임피던스
⑧ 전력 이득
⑨ 위상 관계
① 바이어스 안정화
② 이미터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이득에 미치는 영향
③ 입력 임피던스 / 출력 임피던스
④ 위상 관계
② 바이어스 방법과 안정화
③ 이미터 바이패스 커패시터
④ 분압기 바이어스
⑤ 전압 이득
⑥ 입력 임피던스
⑦ 출력 임피던스
⑧ 전력 이득
⑨ 위상 관계
① 바이어스 안정화
② 이미터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이득에 미치는 영향
③ 입력 임피던스 / 출력 임피던스
④ 위상 관계
본문내용
1N4154 또는 대치품
기타 : SPST 스위치, 5000Ω 2W 전위차계
<실험 과정>
<바이어스 안정화>
1. 오른쪽과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S1을 닫고, 컬렉터 회로의 전류 IC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VBE, VE, VCE도 측정하여 기록한 후 IE를 계산한다.
3. 음성 신호 발생기를 1000Hz에서 최소 출력으로 조절한 후,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입력 케이블을 증폭기 출력 단자에 연결한다.
4. 일그러짐 없는 최대 정현파가 증폭기 출력에 나타나도록 음성 신호 발생기의 출력을 증가시킨다. Vpp, IC, VBE, VCE를 측정, 기록하고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린다.
5.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일그러짐 없는 출력이 관찰될 때까지 입력 신호를 최소값으로 감소시킨다. Vpp, IC, VBE, VCE를 측정, 기록하고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린다.
<이미터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이득에 미치는 영향>
6. 증폭기의 출력 양단에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고, 증폭기의 일그러짐 없는 최대 출력의 50%가 관측되도록 음성 신호 발생기를 조정한다.
7.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Vpp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또한 이미터-접지간의 교류 파형도 측정하여 기록한다.
8. 증폭기의 교류 이득을 계산하여 기록한다.
9. 음성 신호 발생기의 출력을 그대로 둔 채, C3을 회로에서 제거한다.
10. 과정 7과 8을 반복한다.
11. RE를 단락시킨다.
12. 과정 7과 8을 반복한다.
<입력 임피던스>
13. 오른쪽과 같은 회로를 구성한다. Rx를 1000Ω으로 조정한다.
14. S1을 닫는다. AF 발생기의 주파수를 1000Hz로 한다. 출력 양단에 접속된 오실로스코프상에 일그러짐 없는 최대 출력 Vout의 70%가 나타나도록 AF 정현파 발생기의 레벨을 조정한다.
15. VAC, VBC 혹은 Vin, Vout, 각 전압의 Vpp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16. 양단의 전압 vx를 계산하고 기록한다. iin과 Rin을 계산하여 기록한다.
<출력 임피던스>
17. 입력 신호 레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측정된 출력 신호 Vout이 과정 15에서 측정된 출력의 1/2과 같아질 때까지 Rout을 조정한다.
18. 회로에서 Rout을 제거한다. 저항값을 측정, 기록한다. 이것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Rout의 값이다.
19. 부하가 접속된 상태에서 회로의 전압 이득과 전력 이득(dB)을 계산하여 표에 기록한다.
<바이패스되지 않은 이미터 저항의 영향>
20. 입력 신호 레벨을 변화시키지 않고 회로에서 바이패스 커패시터 C3을 제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출력 신호 Vout을 관측한다. Vout이 1Vpp와 같아질 때까지 발생기 출력을 증가시킨 후, 과정 15~19를 반복한다.
<위상 관계>
21. S1을 열고, C3을 회로에 다시 접속한다.
22. S1을 닫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 파형의 2주기를 관측한다. 파형을 기록한다.
23. 출력 파형 2주기를 관측하고, 입력 신호와 적절한 시간 위상 관계가 되도록 그린다.
기타 : SPST 스위치, 5000Ω 2W 전위차계
<실험 과정>
<바이어스 안정화>
1. 오른쪽과 같이 회로를 구성한다.
2. S1을 닫고, 컬렉터 회로의 전류 IC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VBE, VE, VCE도 측정하여 기록한 후 IE를 계산한다.
3. 음성 신호 발생기를 1000Hz에서 최소 출력으로 조절한 후,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오실로스코프의 수직 입력 케이블을 증폭기 출력 단자에 연결한다.
4. 일그러짐 없는 최대 정현파가 증폭기 출력에 나타나도록 음성 신호 발생기의 출력을 증가시킨다. Vpp, IC, VBE, VCE를 측정, 기록하고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린다.
5.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일그러짐 없는 출력이 관찰될 때까지 입력 신호를 최소값으로 감소시킨다. Vpp, IC, VBE, VCE를 측정, 기록하고 입력 파형과 출력 파형을 그린다.
<이미터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이득에 미치는 영향>
6. 증폭기의 출력 양단에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고, 증폭기의 일그러짐 없는 최대 출력의 50%가 관측되도록 음성 신호 발생기를 조정한다.
7.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Vpp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또한 이미터-접지간의 교류 파형도 측정하여 기록한다.
8. 증폭기의 교류 이득을 계산하여 기록한다.
9. 음성 신호 발생기의 출력을 그대로 둔 채, C3을 회로에서 제거한다.
10. 과정 7과 8을 반복한다.
11. RE를 단락시킨다.
12. 과정 7과 8을 반복한다.
<입력 임피던스>
13. 오른쪽과 같은 회로를 구성한다. Rx를 1000Ω으로 조정한다.
14. S1을 닫는다. AF 발생기의 주파수를 1000Hz로 한다. 출력 양단에 접속된 오실로스코프상에 일그러짐 없는 최대 출력 Vout의 70%가 나타나도록 AF 정현파 발생기의 레벨을 조정한다.
15. VAC, VBC 혹은 Vin, Vout, 각 전압의 Vpp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16. 양단의 전압 vx를 계산하고 기록한다. iin과 Rin을 계산하여 기록한다.
<출력 임피던스>
17. 입력 신호 레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측정된 출력 신호 Vout이 과정 15에서 측정된 출력의 1/2과 같아질 때까지 Rout을 조정한다.
18. 회로에서 Rout을 제거한다. 저항값을 측정, 기록한다. 이것이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 Rout의 값이다.
19. 부하가 접속된 상태에서 회로의 전압 이득과 전력 이득(dB)을 계산하여 표에 기록한다.
<바이패스되지 않은 이미터 저항의 영향>
20. 입력 신호 레벨을 변화시키지 않고 회로에서 바이패스 커패시터 C3을 제거한다. 오실로스코프로 출력 신호 Vout을 관측한다. Vout이 1Vpp와 같아질 때까지 발생기 출력을 증가시킨 후, 과정 15~19를 반복한다.
<위상 관계>
21. S1을 열고, C3을 회로에 다시 접속한다.
22. S1을 닫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 파형의 2주기를 관측한다. 파형을 기록한다.
23. 출력 파형 2주기를 관측하고, 입력 신호와 적절한 시간 위상 관계가 되도록 그린다.
키워드
추천자료
오실로스코프사용법 -예비보고서
[기초회로실험][예비]OP-AMP 증폭실험
회전체속도측정
실험 13. 선형증폭기 회로
가산기 및 혼합기 예비 및 결과 보고서
반전 및 비반전 연산증촉기 예비보고서
전자회로실험 보고서 (사전 결과)
트랜스의 직류 특성
전자공학실험 상보전력증폭기(push-pull) 실험보고서 <상보전력증폭기의 특성>
공통 소오스 증폭기 예비레포트
[전자공학][교과과정][반도체][집적회로(IC)][증폭기][제어시스템]전자공학의 발전, 전자공학...
[전자 회로 실험] (결과) 실험 06 : 증폭기 바이어스와 이득
전자공학 실험 - MOSFET 증폭회로
(3) 공통 소스 JFET 증폭기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