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로마네스크 건축의 의의
Ⅲ. 로마네스크 건축의 특색
Ⅳ. 로마네스크 건축의 발전
Ⅴ. 로마네스크 건축의 배경
1. 지리
2. 종교
3. 정치
4. 문화
Ⅵ. 로마네스크 건축의 입면평면구성
1. 구조
2. 평면의 변화
1) 방사상 평면
2) 교호식 평면
3. 입면
Ⅶ. 로마네스크 건축의 건축물
참고문헌
Ⅱ. 로마네스크 건축의 의의
Ⅲ. 로마네스크 건축의 특색
Ⅳ. 로마네스크 건축의 발전
Ⅴ. 로마네스크 건축의 배경
1. 지리
2. 종교
3. 정치
4. 문화
Ⅵ. 로마네스크 건축의 입면평면구성
1. 구조
2. 평면의 변화
1) 방사상 평면
2) 교호식 평면
3. 입면
Ⅶ. 로마네스크 건축의 건축물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Ⅵ. 로마네스크 건축의 입면평면구성
1. 구조
3량식 바실리카 전부를 교차볼트로 덮는 방향으로 진행창건 당시 목조 천장이던 것을 화재에 대한 보강을 목적으로 바실리카에 볼트를 덮기 시작2개의 배럴 볼트를 직각으로 교차시킨 교차 그로인 볼트로 횡압력을 네 지점으로 분산리브만으로 지지되며 그 사이에 경량의 석판을 메워 만든 리브 볼트로 발전
2. 평면의 변화
내부 공간이 3차원적 기둥 간격의 단위(bay unit)로 구성챈슬(chansel)하부에 성자의 유해를 안치하는 크리프트(crypt)설치동측 평면의 변화
1) 방사상 평면
주 앱스 주위에 회랑을 두르고 여기에 작은 앱스를 덧붙였다.(성 마르텔성당)
2) 교호식 평면
소규모 공간을 트란셉트와 주 앱스 사이에서 교호하면서 덧붙였다. 잦은 미사로 더 많은 제단과 공간이 요구되었다.(2차 클뤼니성당)
3. 입면
방호와 자아초월의 의미가 담긴 육중한 외관과 뚜렷한 수직성동측 단부의 강조
- 길어진 트란셉트, 교차부의 탑, 방사의 채플, 주된 앱스로 강조탑의 산재
- 교차부위와 양쪽 트란셉트 양단의 계단, 서쪽 출입구 양쪽 등
Ⅶ. 로마네스크 건축의 건축물
950~1050년에 구조스케일디자인볼트법을 자유자재로 다루면서 건축에 조각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새로운 로마네스크 양식이 생겼다. 이것은 1075~1125년에 전성기를 이루고 이후 쇠퇴했다. 1090년 이후에는 첨두형 아치를 사용한 교차 볼트법이 개발되어 가볍고 강하고 개방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건축 외관에 변화가 생겼다. 그 후 이 양식은 독일폴란드헝가리이탈리아스페인포르투갈 등지로 퍼졌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건축 양식으로 된 아미앵 대성당이 1220년부터 건립되기 시작했다. 클뤼니 수도회와 시토 수도회는 부르고뉴 공국의 수도원을 대표하는 2개의 교파였다. 1077~85년 재건된 클뤼니 수도원은 당시 가장 큰 로마네스크 교회였으며 긴 비례, 다발 기둥, 첨두 아치, 특수화된 벽식구조와 볼트 시공법 등 고딕 양식의 탄생을 알리는 많은 특색을 지니고 있다. 시토 수도회는 1098년 창립되어 급속하게 퍼졌다. 시토 수도회 건축가들은 첨두 아치를 사용하고 반(半)고딕이라 부를 수 있는 새로운 형태를 개발했다(→ 색인 : 시토 양식). 부르고뉴의 영향으로 드디어 파리 근교 생드니 수도원에서 고딕 건축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또한 베네딕투스 수도회를 따라 영국에서 발달한 노르만 양식은 목조 지붕으로 된 네이브, 볼트로 된 아일, 장식된 내부, 공간감 있는 트랜셉트[翼廊], 깊이 있는 성소가 특징이다. 더럼 대성당은 노르만 양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김석철 : 20세기 건축, 생각의 나무
비난트 클라센 저 : 서양건축사, 아키그램
서현 : 건축을 묻다(서현의 인문적 건축론, 예술, 건축을 의심하고 건축, 예술을 의심하다), 효형출판, 2009
케롤 스트릭 랜드 : 클릭, 서양건축사, 예경
패트릭 넛갠스 지음 : THE STORY OF ARCHITECTURE 건축이야기, 동녘
한양대 산업대학원 현대건축 연구모임 : 유럽 건축과 만남, 기문당
Ⅵ. 로마네스크 건축의 입면평면구성
1. 구조
3량식 바실리카 전부를 교차볼트로 덮는 방향으로 진행창건 당시 목조 천장이던 것을 화재에 대한 보강을 목적으로 바실리카에 볼트를 덮기 시작2개의 배럴 볼트를 직각으로 교차시킨 교차 그로인 볼트로 횡압력을 네 지점으로 분산리브만으로 지지되며 그 사이에 경량의 석판을 메워 만든 리브 볼트로 발전
2. 평면의 변화
내부 공간이 3차원적 기둥 간격의 단위(bay unit)로 구성챈슬(chansel)하부에 성자의 유해를 안치하는 크리프트(crypt)설치동측 평면의 변화
1) 방사상 평면
주 앱스 주위에 회랑을 두르고 여기에 작은 앱스를 덧붙였다.(성 마르텔성당)
2) 교호식 평면
소규모 공간을 트란셉트와 주 앱스 사이에서 교호하면서 덧붙였다. 잦은 미사로 더 많은 제단과 공간이 요구되었다.(2차 클뤼니성당)
3. 입면
방호와 자아초월의 의미가 담긴 육중한 외관과 뚜렷한 수직성동측 단부의 강조
- 길어진 트란셉트, 교차부의 탑, 방사의 채플, 주된 앱스로 강조탑의 산재
- 교차부위와 양쪽 트란셉트 양단의 계단, 서쪽 출입구 양쪽 등
Ⅶ. 로마네스크 건축의 건축물
950~1050년에 구조스케일디자인볼트법을 자유자재로 다루면서 건축에 조각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새로운 로마네스크 양식이 생겼다. 이것은 1075~1125년에 전성기를 이루고 이후 쇠퇴했다. 1090년 이후에는 첨두형 아치를 사용한 교차 볼트법이 개발되어 가볍고 강하고 개방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건축 외관에 변화가 생겼다. 그 후 이 양식은 독일폴란드헝가리이탈리아스페인포르투갈 등지로 퍼졌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건축 양식으로 된 아미앵 대성당이 1220년부터 건립되기 시작했다. 클뤼니 수도회와 시토 수도회는 부르고뉴 공국의 수도원을 대표하는 2개의 교파였다. 1077~85년 재건된 클뤼니 수도원은 당시 가장 큰 로마네스크 교회였으며 긴 비례, 다발 기둥, 첨두 아치, 특수화된 벽식구조와 볼트 시공법 등 고딕 양식의 탄생을 알리는 많은 특색을 지니고 있다. 시토 수도회는 1098년 창립되어 급속하게 퍼졌다. 시토 수도회 건축가들은 첨두 아치를 사용하고 반(半)고딕이라 부를 수 있는 새로운 형태를 개발했다(→ 색인 : 시토 양식). 부르고뉴의 영향으로 드디어 파리 근교 생드니 수도원에서 고딕 건축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또한 베네딕투스 수도회를 따라 영국에서 발달한 노르만 양식은 목조 지붕으로 된 네이브, 볼트로 된 아일, 장식된 내부, 공간감 있는 트랜셉트[翼廊], 깊이 있는 성소가 특징이다. 더럼 대성당은 노르만 양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김석철 : 20세기 건축, 생각의 나무
비난트 클라센 저 : 서양건축사, 아키그램
서현 : 건축을 묻다(서현의 인문적 건축론, 예술, 건축을 의심하고 건축, 예술을 의심하다), 효형출판, 2009
케롤 스트릭 랜드 : 클릭, 서양건축사, 예경
패트릭 넛갠스 지음 : THE STORY OF ARCHITECTURE 건축이야기, 동녘
한양대 산업대학원 현대건축 연구모임 : 유럽 건축과 만남, 기문당
추천자료
중국건축물의 특징
중국의 건축 문화
건축재료학 <목재>
루이스 칸(Louis I. Kahn)
건축의 관계성
[건축가] 미스반데로에(Mies van der Rohe)의 건축과 디자인
한국의 근대 도시형 개량한옥
에스크로,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아파트에 대하여
중국의 건축의 시대적 요약
[건축물][건물][건축기술]건축물(건물)의 건축기술, 건축물(건물)의 건축공학, 건축물(건물)...
[건축역사] 조선시대 한옥의 이해 - 한옥의 개념, 특징(지역별 구분, 계층별 구분), 조선시대...
[서양건축사] 바로크 건축에 해당하는 베르사유 건축 - 베르사유 궁전 (Chateau de Versaille...
도심 속 전통사찰과 현대도시형 사찰의 배치분석
중국 건축사의 이해 일반적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