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국학자들의 주돈이 사상 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一, 들어가며
二, 『太極圖說』
1)無極과 太極
2)動靜과 生
3)主靜과 無欲
三, 『通書』
1)誠
2)神
3)幾
4)思
5)剛柔之性
6)無欲
7)志向과 學問
四, 分析과 反思
五, 나오며

본문내용

성인되는 공부의 근본임을 인정하지만, 그 대상은 서로 다르게 상정한다. 한편은 직접적으로 선악을 살피고 구별하는 수양방법으로 이해하지만, 다른 한편은 사란 성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明朗하게 하는 것이기에, 결국 일종의 성체로부터 발휘되는 지혜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思通’하면 ‘通微’하여 ‘無不通’의 경지까지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필자가 보기에, 사에는 이와 같은 두 가지 의미(그 대상이 기미이기도 하고 성체이기도 하다.)가 모두 있다. 그러나 ‘사통’은 작용이기 때문에 그 본체인 본심(도덕심)을 반드시 전제해야 하는데, 주돈이는 이 점을 분명하게 자각하지 못했고, 그래서 냉랭하게 만물 위에서 관상만 하는 도가적 분위기를 떨치지 못했다. 이는 아마도 주돈이가 아직 도불을 배척하려는 마음도, 배척해야 하는 이유도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일곱째, (主靜)無欲에 관해 현대 중국학자들의 견해는 극명하게 구분된다. 한편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이런 주장은 간단하지만 훌륭한 논리(의식이 고요하고 텅 빈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필요조건)에 따른 것이기에 쉽게 알 수 있고, 그래서 또한 설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 또 다른 한편은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하며, (주정)무욕은 주돈이의 우주론내지 형이상학 체계에서는 나타날 수 없고, 오히려 ‘無息’ ‘强’의 특성이 제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보기에, 욕망은 우주의 변화발전과정에서 모든 생명체에게 자연스럽게 부여된 속성이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욕망이 어떻게 ‘不善’과 연계되어지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했어야 했다. 반면에 (주정)무욕을 긍정하는 입장에서는 주돈이가 순자식의 虛一而靜에 따라 사려를 주장한 것이냐는 질문에 답해야 할 것이다. 만약 긍정적인 답변이 나온다면, 주돈이의 사상은 더 이상 공맹의 전통을 이었다고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현대 중국학자들은 주돈이의 학문이 곧 그가 바라마지 않던 ‘안연의 학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이것이 곧 유학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고 주장하기 어려울 것 같다. 왜냐하면 주돈이가 추구하던 이상이 반드시 유학적 내성외왕이 아니라는 혐의가 짙기 때문이다. 만물 위에서 냉랭하게 관조하는 태도는 결코 유학의 내성도, 외왕은 더욱 아니다.
五, 나오며
들어가는 말에서 이미 말했던 것처럼, 이 글은 주돈이 사상에 대한 독창적 연구를 진행한 것이 아니라, 현대 중국학자들의 해석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필자가 주돈이 사상을 공부하는데 도움을 받기 위해서 우선 기획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말 그대로 보고서인 것만은 아니다. 주돈이 사상에서 나타나는 주요 개념과 명제에 대한 필자 스스로의 분석을 통해, 현대 중국학자들의 해석을 비판하고 종합하여 나름의 견해를 가질 수 있었다. 나아가 그런 과정을 하나하나 보인 것이 단지 필자에게만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글에 나름의 가치가 있다면, 아마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현대 중국학자들은 대부분 객관적이라기보다는 자신의 학적 바탕에 따라 주돈이 사상을 해석했다. 예를 들어 태극이나 성, 신과 기, 사 혹은 주정무욕 등과 같은 주요 개념이나 명제에 관해, 주자학에 동의하는 학자는 주희의 해석에 따르는 경향이 강했고, 양명학을 유학의 정통으로 주장하는 학자는 가능하면 양명학의 논리에 가까운 쪽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전체 중국철학을 관통하는 하나의 개념을 강조하는 학자는 그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이 모든 해석이 나름의 의미를 갖겠지만, 또한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위와 같은 해석들을 종합정리하여 그 객관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胡寶(淸), 周子全書, 臺北: 武陵, 1990
牟宗三, 心體與性體(一), 臺北: 正中, 1968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5), 臺北: 藍燈, 1991
唐君毅, 中國哲學原論(導論篇), 臺北: 學生, 1986 全集校訂板
陳來(안재호역),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勞思光, 新編中國哲學史(三上), 臺北: 三民, 1981
陳郁夫, 周敦, 臺北: 東大, 1990
侯外廬 등, 宋明理學史(上), 北京: 人民, 1984
方東美, 新儒家哲學18講, 臺北: 黎明, 1983
국문요약
이 글은 주돈이 사상에 대한 독창적 연구를 진행한 것이 아니라, 현대 중국학자들의 해석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필자가 주돈이 사상을 공부하는데 도움을 받기 위해 우선 기획되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말 그대로 보고서인 것만은 아니다. 주돈이 사상에서 나타나는 주요 개념과 명제에 대한 필자 스스로의 분석을 통해, 현대 중국학자들의 해석을 비판하고 종합하여 나름의 견해를 가질 수 있었다. 나아가 그런 과정을 하나하나 보인 것이 단지 필자에게만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현대 중국학자들은 대부분 객관적이라기보다는 자신의 학적 바탕에 따라 주돈이 사상을 해석했다. 예를 들어 태극이나 성, 신과 기, 사 혹은 주정무욕 등과 같은 주요 개념이나 명제에 관해, 주자학에 동의하는 학자는 주희의 해석에 따르는 경향이 강했고, 양명학을 유학의 정통으로 주장하는 학자는 가능하면 양명학의 논리에 가까운 쪽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전체 중국철학을 관통하는 하나의 개념을 강조하는 학자는 그 개념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이 모든 해석이 나름의 의미를 갖겠지만, 또한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위와 같은 해석들을 종합정리하여 그 객관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현대 중국학자, 주돈이 사상, 태극, 동정, 성, 신, 기, 주정무욕, 사, 강유지성
中文提要
本文不是進行對周敦思想獨特的硏究, 而是爲了整理分析現代中國學者的解釋來幇助筆者學習周敦思想而首先規劃的. 雖然這樣, 但不只是一分報告而已. 通過筆者自身的分析, 能批判現代中國學者的解釋而建立起自己的見解. 筆者認爲, 一個一個地露呈那整個過程, 可能是一對筆者也對讀者有意義的工作.
現代中國學者大部分都不客觀, 他門由自己的學脈來解釋周敦思想. 那些解釋都有各自的意義, 但又不免露呈其界限. 筆者認爲, 通過對那種種解釋的綜合和整理, 筆者稍微透視了周敦思想的客觀眞實.
主要詞匯: 現代中國學者, 周敦思想, 太極, 動靜, 誠, 神, 幾, 主靜無欲, 思, 剛柔之性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0.05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