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돌][구들][궁실건축 온돌구조][아파트 온돌사용][재래식 온돌방 개자리]온돌(구들)의 역사, 온돌(구들)의 발생, 온돌(구들)의 구조, 궁실건축의 온돌구조, 아파트에서의 온돌사용, 재래식 온돌방의 개자리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돌][구들][궁실건축 온돌구조][아파트 온돌사용][재래식 온돌방 개자리]온돌(구들)의 역사, 온돌(구들)의 발생, 온돌(구들)의 구조, 궁실건축의 온돌구조, 아파트에서의 온돌사용, 재래식 온돌방의 개자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온돌(구들)의 역사

Ⅲ. 온돌(구들)의 발생
1. 기원전 4, 5세기경 철기시대
2. 5, 6세기경
3. 16, 17세기경

Ⅳ. 온돌(구들)의 구조
1. 아궁이
2. 부뚜막 및 부뚜막 후렁이
3. 부넹기
4. 구들 개자리
5. 구들 고래
6. 고래 개자리
7. 내굴길 및 굴뚝 개자리
8. 구새

Ⅴ. 궁실건축의 온돌구조
1. 권근(權近):「선산 월파정중건기(善山 月波亭重建記)」
2. 권근:「금교역루기(金郊驛樓記)」
3. 「연안도호부동헌중수기(延安都護府東軒重修記)」
4. 『명종실록』

Ⅵ. 아파트에서의 온돌사용

Ⅶ. 재래식 온돌방의 개자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기술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다.
선진국에서는 대부분 온돌이 다른 난방방식에 비해 고급 난방방식이며, 저가의 난방장치가 아닌 고급 주택에서나 적용할 수 있는 고가의 난방장치로 취급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오히려 이들 나라에서는 우리를 부러워하고 있다. 아무리 온돌의 종주국이라고 해도 체계적인 기술 하나 없는 나라에서 모든 주거건물에 온돌을 적용하고 있는 것을 보고 부러워하다 못해 의아하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한 가지 현상만을 보더라도 우리의 기술인 온돌기술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더 나아가 지금부터라도 우리는 온돌기술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켜야 할지를 생각하게 해 준다.
Ⅶ. 재래식 온돌방의 개자리
. 우선 불을 땔 수 있는 \"아궁이\"를 만든다.
. 방 내부에 연기나 지나 갈수 있는 통로로 \"방고래\"라는 것을 만든다.
( 방고래는 아궁이와 반대 방향으로 세로로 방 밑의 땅에 고랑을 파서 여러 개 만든다.)
. 방고래의 세로로 배열된 마지막 부분에서는 각각의 방고래가 서로 만나게 연결 해 두어야 하지 않는가 ? 그래야 연기가 함께 모아져 나갈 수 있다. 방의 웃목 쪽에 그 만나는 부분을 벽을 따라 길게 하는데, 그 깊이를 앞에서 먼저 만들어 온 방고래 보다는 좀 깊게 만들어 놓는다. 바로 이것이 \"개자리\"이다.
. 다음에는 개자리의 어느 한쪽에서 연기가 빠져 하늘로 올라 갈수 있도록 \"굴뚝\"을 만드는 것이다. 이때에도 굴뚝으로 연기가 바로 나가지 않도록, 굴뚝 시작점의 땅속을 좀 깊이 파 놓는다.(굴뚝으로 들어간 이물질 제거용으로도 씀.)
. 이번에는 앞서 파 놓은 \"방고래\"의 길다란 홈들을 얇은 돌로 만든 \"방구들\"로 덮여야 한다.(\"구들장\"이라고도 함) 그리고 울퉁불퉁한 부분을 흙으로 메우면 방바닥이 완성 되는 것입니다.(그 다음에야 방바닥을 시멘트로 바르든가, 장판을 깔던가, 나무판자로 덮든가 하면 된다.)
· \"개자리\"의 용도
아궁이에서 발생된 연기가 방고래를 타고 방바닥 밑을 지나 바로 굴뚝으로 빨리 빠져 나가면,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열기도 방바닥에 전도되기 전에 빨리 굴뚝으로 빠져 버릴 것이다. 따라서 연기 및 열기가 조금이라도 더 방바닥 속에 머물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 굴뚝 아래 깊이 파놓은 곳도 비슷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아마 기압과도 관계는 있을 듯.)
· 사전에 있는 \"개자리\"의 의미
\"개자리\" ~ 불기를 빨아들이고, 연기를 머무르게 하기 위하여 방구들 웃목 속에 깊게 파 놓은 고랑.
참고문헌
김남응(2004), 문헌과 유적으로 본 구들이야기 온돌이야기, 단국대학교출판부
배순훈 외 9명(1974), 온돌개량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원(과학기술처 연구 보고서)
주남철(1990), 온돌의 역사, 건축과 환경
주강현(2000),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2 - 민족의 영원한 탯자리 구들, 한겨레신문사
최영택, 구들, 고려서적주식회사
최정화·김문숙(2007), 온돌과 한국인의 수면 생활(침상 기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부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