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변지이의 기사와 인식, 대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삼국사기속의 천변지이 기사

2. 일본서기의 천변지이 기사

3.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비교

4. 중국사료의 천변지이

5. 천변지이에 대한 인식

6. 천변지이에 대한 대처

7. 나의 의견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후로는 다수가 소수를 폭압하고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병탄하였다.
-사기 천관서
2년, 혜성(彗星)이 나타났다. ...(중략)... 4년에는 포판(蒲阪)을 빼앗았고, 다시 혜성이 나타났다. -사기 진 본기
5. 천변지이에 대한 인식
통치자가 정치를 바로 하지 않아 그것을 하늘이 경고하는 것이다.
억울하게 형을 받은 사람이 있으면 음양이 흐트러져서 그것을 하늘이 경고하여 천변지 이가 나타난다.
종묘의 수호를 바로 하지 못하면 천변지이가 나타난다.
천변지이를 막으려면 올바른 정치가 행해져야 한다.
왕에게 가장 무섭게 인식된 것은 일식으로 왕을 상징하는 해가 빛을 잃는 것이기 때문 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시대에도 나타나고 있다.
당시 중국의 경우는 자미성을 왕을 상징하는 별로 해서 자미성의 변화 및 그 주변 별 자리의 변화를 천문으로 보아서 재앙과 길흉을 보기도 했다. 자미성에 변화가 생기면 그것은 곳 왕의 신변에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여겼다.
6. 천변지이에 대한 대처
죄수를 사면하거나 행동을 근신하여 덕정(德政)을 배풀었다.
삼국사기에서는 시조신(始祖廟)에 대한 제사의 형태이고 일본서기에서는 신불(神佛)에 대한 제사의 형태이다.
억울하게 형을 받은 사람이 있는지 재조사를 하기도 했다.
또한 수묘인(守廟人)을 늘리기도 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조지왕(照知王) 7년
7. 나의 의견
조사를 하던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조사를 하다 보니 나름대로 이제껏 몰랐던 것들을 알게 되었다. 우선 그 당시에도 생각이상으로 천체에 대해서 알고 있었고 그것들을 관측해 냈다는 것은 단지 그것을 드라마로만(선덕여왕을 봤기에) 여겼던 내게는 나름의 발견이었다. 사기의 천관서를 보니 생각보다 우주의 행성이 지금에 가깝게 알려져 있었고 그 별들의 위치가 어디로 가고 어떤 형상으로 보이느냐에 따라 어떤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생각보다 정밀하게 정리해 둔 것을 보고 적잖이 놀랐다. 또 별자리의 이동을 보아서 그것으로 왕의 신변이나 자신의 신변 나아가서 나라의 일을 점치고 그것에 따라 대책을 세우는 것 역시도 재미있는 내용이었다. 이전에 읽었던 소설에 이러한 내용이 나와 있어서 흥미를 가지고 있는 주제였는데 마침 맡게 되어서 나름의 소소한 재미를 누렸던 과제였다.
<참고자료>
三國史記와 日本書紀의 天變地異 記事의비교 고찰-김현석
삼국사기-허성도역
사기-정범진외 역주, 2001, 까치글방
중국사상의 원류-황원구, 1976, 연세대학교출판사

키워드

천변지이,   기사,   인식,   대처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