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직 확고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동화책을 아이가 읽어 주는가에 따라서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패러디 동화책이라고 해서 무조건 표절하고 멋대로 엔딩을 마무리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이 동화책이 재해석 되므로 보다 더 유익하고 해피엔딩이 될 수가 있는 동화책을 패러디 한다면 아이들에게 그 동화책을 읽어 주더라도 보람되고 뜻 깊을 것이다.
추천자료
포스트 모더니즘의 키워드- 패러디와 패스티쉬
패러디와 신화의 3개, 물과 대지의 원형적인 이미지
인터넷상의 패러디 표현의 자유인가? 명예훼손인가?
하위문화
19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시
패러디와 페스티쉬, 그리고 포스트 모더니즘 -영화 '지구를 지켜라'
레포트_사회학(주변환경 키치적요소)
광고 파헤치기
심청전 다시 읽기
현대성과 서사문화 - 1980년대 이후의 시
광고와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이유.
의사소통이론에 기댄 유머 텍스트의 분석 -개그콘서트를 중심으로 [메타극 유머 텍스트]
최인훈의 환상성, 환상성 속의 세계
장르로 알아보는 “지구를 지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