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 2 장 이론적 배경검토 --------------------------- 2
제 1 절 저탄소 녹색도시 의의 -------------------------------- 2
제 2 절 저탄소 녹색도시에 관한 정부정책방향 ----------------- 3
제 3 장 사례연구대상지역 현황 및 분석 ------------- 4
제 1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녹색교통의 현황 및 분석 ---- 4
제 2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그린건축물의 현황 및 분석 ---- 5
제 3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녹색물류의 현황 및 분석------- 5
제 4 장 결 론 ---------------------------------- 6
제 5 장 참고문헌 ---------------------------------- 7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 2 장 이론적 배경검토 --------------------------- 2
제 1 절 저탄소 녹색도시 의의 -------------------------------- 2
제 2 절 저탄소 녹색도시에 관한 정부정책방향 ----------------- 3
제 3 장 사례연구대상지역 현황 및 분석 ------------- 4
제 1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녹색교통의 현황 및 분석 ---- 4
제 2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그린건축물의 현황 및 분석 ---- 5
제 3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녹색물류의 현황 및 분석------- 5
제 4 장 결 론 ---------------------------------- 6
제 5 장 참고문헌 ---------------------------------- 7
본문내용
저탄소녹색도시 - 그린건축물의 현황 및 분석
현재 강원도의 경우 공공 부문관련 건축물과 주택 및 관광 관련 숙박시설 등의 주 건축물에서 『에너지 다소비형』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강원도는 획일적인 에너지 절감 정책보다는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서 에너지 소비 구조가 높은 건축물을 중심으로 에너지 소비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에너지 수요관리를 통해서 지역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김승희, “저탄소 녹색성장시대 그린 건축물 관련 제도와 강원도에의 시사점”, 강원발전연구원, 2009, pp.11
덧붙여 강원도의 경우에는 관광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이를 살려서 녹색도시에 어울리는 그린건축물을 건설한다면 에너지와 저탄소 모두 절감과 축소를 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 3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녹색물류의 현황 및 분석 김재진, “녹색물류 추진방향”, 강원발전연구원, 2009, pp.16
수송수단별 단위 이산화 배출량은 2006년 기준으로 화물차>해운>철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보아 저탄소 녹색도시로서 철도 중심의 친환경 물류 수송망 확충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강원도 친환경 물류 수송 네트워크 구축안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기후 협약과 더불어서 최대의 화두인 기존 경유화물차를 천연가스 LNG 용어정의 : 액화천연가스 (LNG: Liquefied Natural Gas)
화물차로 전환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제 4 장 결 론
저탄소 녹색성장시대에 춘천시는 현재에도 정부의 정책, 지자체의 노력,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인해 계속해서 저탄소 녹색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것은 아직 이 도시계획이 시작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확히 법으로 제정되어 있는것이 없어서 자료에 대한 많은 제약이 있었다. 현재 춘천은 저탄소 녹색 도시의 시범도시로서 사례연구에서 언급했던 내용들에 대해 실행 및 추진준비를 하고 있었다. 자료 수집 및 논문을 작성하면서 강원발전연구원의 자료중 녹색도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녹색도시를 갖추기 위해서 그에 맞는 형식을 갖추어 개발을 하면 인센티브에 관한 규정이 참 흥미로웠다. 현재는 많은 기업들이 참여를 하지 않는 상황으로 앞으로의 많은 기업들의 참여로 국가경제와 지구의 환경까지 고려한 개발이 많이 추진되길 바라며 마친다.
< 출 처 >
“강원도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도시 계획 방안”, 류종헌, 2009
“강원도 녹색 물류정책 추진방향”, 김재진, 2009
“저탄소 녹색 성장시대 그린건축물 관련 제도와 강원도에의 시사점”, 김승희, 2009
“춘천시 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향 연구”, 김범수, 2009
“강원발전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gdri.re.kr”
“기후변화홍보 홈페이지 http://www.gihoo.or.kr”
“대통령 직속 녹색 성장 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greengrowth.go.kr”
“에너지 경제 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keei.re.kr”
현재 강원도의 경우 공공 부문관련 건축물과 주택 및 관광 관련 숙박시설 등의 주 건축물에서 『에너지 다소비형』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강원도는 획일적인 에너지 절감 정책보다는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서 에너지 소비 구조가 높은 건축물을 중심으로 에너지 소비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에너지 수요관리를 통해서 지역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김승희, “저탄소 녹색성장시대 그린 건축물 관련 제도와 강원도에의 시사점”, 강원발전연구원, 2009, pp.11
덧붙여 강원도의 경우에는 관광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이를 살려서 녹색도시에 어울리는 그린건축물을 건설한다면 에너지와 저탄소 모두 절감과 축소를 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 3 절 춘천시의 저탄소녹색도시 - 녹색물류의 현황 및 분석 김재진, “녹색물류 추진방향”, 강원발전연구원, 2009, pp.16
수송수단별 단위 이산화 배출량은 2006년 기준으로 화물차>해운>철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보아 저탄소 녹색도시로서 철도 중심의 친환경 물류 수송망 확충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강원도 친환경 물류 수송 네트워크 구축안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기후 협약과 더불어서 최대의 화두인 기존 경유화물차를 천연가스 LNG 용어정의 : 액화천연가스 (LNG: Liquefied Natural Gas)
화물차로 전환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제 4 장 결 론
저탄소 녹색성장시대에 춘천시는 현재에도 정부의 정책, 지자체의 노력,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인해 계속해서 저탄소 녹색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것은 아직 이 도시계획이 시작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확히 법으로 제정되어 있는것이 없어서 자료에 대한 많은 제약이 있었다. 현재 춘천은 저탄소 녹색 도시의 시범도시로서 사례연구에서 언급했던 내용들에 대해 실행 및 추진준비를 하고 있었다. 자료 수집 및 논문을 작성하면서 강원발전연구원의 자료중 녹색도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녹색도시를 갖추기 위해서 그에 맞는 형식을 갖추어 개발을 하면 인센티브에 관한 규정이 참 흥미로웠다. 현재는 많은 기업들이 참여를 하지 않는 상황으로 앞으로의 많은 기업들의 참여로 국가경제와 지구의 환경까지 고려한 개발이 많이 추진되길 바라며 마친다.
< 출 처 >
“강원도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도시 계획 방안”, 류종헌, 2009
“강원도 녹색 물류정책 추진방향”, 김재진, 2009
“저탄소 녹색 성장시대 그린건축물 관련 제도와 강원도에의 시사점”, 김승희, 2009
“춘천시 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향 연구”, 김범수, 2009
“강원발전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gdri.re.kr”
“기후변화홍보 홈페이지 http://www.gihoo.or.kr”
“대통령 직속 녹색 성장 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greengrowth.go.kr”
“에너지 경제 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kee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