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들어가는 글
2. 우리나라 "비무장지대"의 정의
3. 우리나라 "비무장지대"의 특성
1) 비무장지대의 공간적 특성
2) 비무장지대의 잠재력
4. 통일 후 "비무장지대" 의 중요성
본론
5. 통일 후, "비무장지대" 개발계획
1) 개발계획 개요
2) “영상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관련법, 필요한 절차
3) “영상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하는 이유
6. 맺는말
※ 참고문헌
1. 들어가는 글
2. 우리나라 "비무장지대"의 정의
3. 우리나라 "비무장지대"의 특성
1) 비무장지대의 공간적 특성
2) 비무장지대의 잠재력
4. 통일 후 "비무장지대" 의 중요성
본론
5. 통일 후, "비무장지대" 개발계획
1) 개발계획 개요
2) “영상산업단지” 조성과 관련된 관련법, 필요한 절차
3) “영상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하는 이유
6. 맺는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다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영상 산업단지가 조성될 경우, 자연환경의 보전과 함께 또 하나의 문화산업이 진흥되는, 문화컨텐츠가 국민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배경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서 사람들은 좀 더 질좋은 양질의 문화 컨텐츠를 만나게 될 것이고, 비무장지대의 자연환경도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역이 되지 않을까? 또 영상산업단지가 개발되고, 한반도의 평화적인 모습과 특성있는 모습이 해외에 알려진다면, 우리나라의 해외자본이 유치될 가능성은 높아지고, 이는 일자리의 창출 등으로 국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3) 문화적 이질감을 바꿀 수 있는 문화 교류의 장
지금까지 비무장지대는 어떤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제적인 교류가 이루어 졌었던 곳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개발 등 남북 협력사업을 통해 경제적 교류를 해온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 가운데 문화적인 교류가 있었을 수 있지만, 사회, 문화적인 교류는 분명 많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통일 후에 비무장지대를 시작으로 북한의 개발이 되지 않은 지역들의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서, 개발계획을 짜기 위해서는 먼저 통일 이후 사회, 문화적인 차이에서 느껴지는 이질감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런 해결은 분명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비무장지대가 남북협력의 교류의 장소였다면 이제는 남북문화의 공유, 이해의 장 나아가서는 한민족성의 회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장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어떤 다른 문화를 쉽게 접하고, 이해하고, 공유하는 데는 영상 컨텐츠만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남과 북이 공동으로 영상산업단지를 조성했을 때, 그리고 함께 영상산업단지를 활용하여서 영상 문화컨텐츠를 생산, 서로에게 제공한다면 이는 서로 문화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사업이 되지 않을까 기대가 된다.
그렇다. 영상 산업단지조성이라는 좀 어울리지 않을 수 있는 개발계획을 선정한 것은 나름 이런 장점들을 복합적으로 얻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였다. 자연환경을 보전하는 것은 분명 중요하지만, 개발을 통한 장점과 함께 가는 보전이 좀더 의미있고, 우리에게 효율성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생각에, 그리고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의 계획, 또 사회 문화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개발계획은 영상산업단지라고 생각되었다. 그렇지만 자칫하면 이런 얻고자 하는 목적들과 방향을 잃어버리고, 한쪽으로 치우쳐진 개발계획이 실행되기도 쉬울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또 영상산업단지를 비무장 지대 전체에 조성할 수는 없다. 분명 영상산업단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계획이지만, 생태공원 등과 여러 다른 보전계획들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무장지대 인근에서 이 개발계획을 실행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개발계획의 특성을 고려해서 수도권과 교통망이 잘 연결되어진, 파주시 인근이나, 함께 영상산업단지라는 성격의 특성화산업단지를 추진하고 있는 김포지역의 사이에서 이 개발계획을 진행한다면, 좀 더 기대효과에 대해서 효율성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결론
6. 맺는말
- 과제를 정리하며 처음 드는 생각은 비무장지대라는 곳에 개발에 있어서 한번도 생각을 해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스런 생각이었다. 분명 우리나라에 존재하고, 앞으로 통일 이후에 있어서, 아니 통일이 되지 않더라도 그 필요에 의하여 주변을 개발할 수 있는 지역인데, 마치 다른 나라의 상황인 것처럼 한번도 생각을 하지 못한 것에 스스로 당황스러웠던 것 같다. 그래서 여러 논문을 보면서 어떻게 개발계획을 짜고, 그것들을 시행해야 되는지 고민을 해봤는데, 대부분 보전을 주장하거나, 또는 관광자원으로서 비무장지대의 개발계획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아무 생각이 잡혀있지 않았기에 그것들을 따라서, 그런 논리에 주장을 펼쳐볼까 했는데, 그것은 내 생각이 아닌 것 같아서, 좀 더 고민하고 정리를 한 것이 지금의 과제내용이다. 약간 무리하게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과제를 못했단 느낌을 스스로 많이 느끼기에 부끄럽고, 이 내용을 제출하기가 교수님께 참 죄송스러운데 일단 이 내용이 내가 생각한 내용이고, 통일 후 비무장지대의 개발계획임을 밝히는 바다.
서론에 비해 본론(구체적인 개발 계획)의 내용이 적고, 부족한데, 좀 더 시간이 있었다면 다른 방안들과 구체적인 절차, 현황, 비교사례 등을 찾아 볼 수도 있었을 수도 있는데, 아쉬운 마음이 많다. 과제의 내용은 참 많이 부족하지만, 일단 과제를 하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었기에 다행인 것 같다.
분명 통일은 될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잠겨져 있던 비무장지대의 개발은 필히 그 논의가 필요한 개발계획이다. 앞으로 우리 부동산 학도들은 비무장지대의 상황과 환경 등을 고려해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부동산개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통일이 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준비하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런 계기를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 조사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이 분명 필요하다. 먼 남의 나라의 상황이 아니라, 우리에게 필요한, 우리가 사용할 땅의 개발 계획이다.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부족한 생각들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공유하며 보완해 나가서 앞으로 가장 적절한 개발계획이 비무장지대에 제시되는 일들이 있었음 좋겠다.
※ 참고문헌
<논문자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심양식 [비무장지대의 관광자원개발 방안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이기환 [비무장지대 일원 유산의 보전방안 연구]
<인터넷자료>
네이버 용어사전
환경지킴이기자단
http://www.knnews.net/?doc=bbs/gnuboard.php&bo_table=clipping2&sselect=&stext=&ssort=wr_num&sor
네이버 카페 넘버원 미래투자모임
cafe.naver.com/rtwo1004.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605&
파주 인포 뉴스
http://www.pajuinfo.net/15074
영상 산업단지가 조성될 경우, 자연환경의 보전과 함께 또 하나의 문화산업이 진흥되는, 문화컨텐츠가 국민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배경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서 사람들은 좀 더 질좋은 양질의 문화 컨텐츠를 만나게 될 것이고, 비무장지대의 자연환경도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역이 되지 않을까? 또 영상산업단지가 개발되고, 한반도의 평화적인 모습과 특성있는 모습이 해외에 알려진다면, 우리나라의 해외자본이 유치될 가능성은 높아지고, 이는 일자리의 창출 등으로 국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3) 문화적 이질감을 바꿀 수 있는 문화 교류의 장
지금까지 비무장지대는 어떤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제적인 교류가 이루어 졌었던 곳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개발 등 남북 협력사업을 통해 경제적 교류를 해온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 가운데 문화적인 교류가 있었을 수 있지만, 사회, 문화적인 교류는 분명 많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통일 후에 비무장지대를 시작으로 북한의 개발이 되지 않은 지역들의 개발을 시작하기 위해서, 개발계획을 짜기 위해서는 먼저 통일 이후 사회, 문화적인 차이에서 느껴지는 이질감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런 해결은 분명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비무장지대가 남북협력의 교류의 장소였다면 이제는 남북문화의 공유, 이해의 장 나아가서는 한민족성의 회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장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어떤 다른 문화를 쉽게 접하고, 이해하고, 공유하는 데는 영상 컨텐츠만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남과 북이 공동으로 영상산업단지를 조성했을 때, 그리고 함께 영상산업단지를 활용하여서 영상 문화컨텐츠를 생산, 서로에게 제공한다면 이는 서로 문화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사업이 되지 않을까 기대가 된다.
그렇다. 영상 산업단지조성이라는 좀 어울리지 않을 수 있는 개발계획을 선정한 것은 나름 이런 장점들을 복합적으로 얻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서였다. 자연환경을 보전하는 것은 분명 중요하지만, 개발을 통한 장점과 함께 가는 보전이 좀더 의미있고, 우리에게 효율성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생각에, 그리고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의 계획, 또 사회 문화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개발계획은 영상산업단지라고 생각되었다. 그렇지만 자칫하면 이런 얻고자 하는 목적들과 방향을 잃어버리고, 한쪽으로 치우쳐진 개발계획이 실행되기도 쉬울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또 영상산업단지를 비무장 지대 전체에 조성할 수는 없다. 분명 영상산업단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계획이지만, 생태공원 등과 여러 다른 보전계획들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무장지대 인근에서 이 개발계획을 실행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개발계획의 특성을 고려해서 수도권과 교통망이 잘 연결되어진, 파주시 인근이나, 함께 영상산업단지라는 성격의 특성화산업단지를 추진하고 있는 김포지역의 사이에서 이 개발계획을 진행한다면, 좀 더 기대효과에 대해서 효율성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결론
6. 맺는말
- 과제를 정리하며 처음 드는 생각은 비무장지대라는 곳에 개발에 있어서 한번도 생각을 해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스런 생각이었다. 분명 우리나라에 존재하고, 앞으로 통일 이후에 있어서, 아니 통일이 되지 않더라도 그 필요에 의하여 주변을 개발할 수 있는 지역인데, 마치 다른 나라의 상황인 것처럼 한번도 생각을 하지 못한 것에 스스로 당황스러웠던 것 같다. 그래서 여러 논문을 보면서 어떻게 개발계획을 짜고, 그것들을 시행해야 되는지 고민을 해봤는데, 대부분 보전을 주장하거나, 또는 관광자원으로서 비무장지대의 개발계획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아무 생각이 잡혀있지 않았기에 그것들을 따라서, 그런 논리에 주장을 펼쳐볼까 했는데, 그것은 내 생각이 아닌 것 같아서, 좀 더 고민하고 정리를 한 것이 지금의 과제내용이다. 약간 무리하게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과제를 못했단 느낌을 스스로 많이 느끼기에 부끄럽고, 이 내용을 제출하기가 교수님께 참 죄송스러운데 일단 이 내용이 내가 생각한 내용이고, 통일 후 비무장지대의 개발계획임을 밝히는 바다.
서론에 비해 본론(구체적인 개발 계획)의 내용이 적고, 부족한데, 좀 더 시간이 있었다면 다른 방안들과 구체적인 절차, 현황, 비교사례 등을 찾아 볼 수도 있었을 수도 있는데, 아쉬운 마음이 많다. 과제의 내용은 참 많이 부족하지만, 일단 과제를 하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었기에 다행인 것 같다.
분명 통일은 될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잠겨져 있던 비무장지대의 개발은 필히 그 논의가 필요한 개발계획이다. 앞으로 우리 부동산 학도들은 비무장지대의 상황과 환경 등을 고려해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부동산개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통일이 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준비하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런 계기를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 조사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이 분명 필요하다. 먼 남의 나라의 상황이 아니라, 우리에게 필요한, 우리가 사용할 땅의 개발 계획이다.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부족한 생각들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공유하며 보완해 나가서 앞으로 가장 적절한 개발계획이 비무장지대에 제시되는 일들이 있었음 좋겠다.
※ 참고문헌
<논문자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심양식 [비무장지대의 관광자원개발 방안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이기환 [비무장지대 일원 유산의 보전방안 연구]
<인터넷자료>
네이버 용어사전
환경지킴이기자단
http://www.knnews.net/?doc=bbs/gnuboard.php&bo_table=clipping2&sselect=&stext=&ssort=wr_num&sor
네이버 카페 넘버원 미래투자모임
cafe.naver.com/rtwo1004.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605&
파주 인포 뉴스
http://www.pajuinfo.net/15074
추천자료
부동산의 자역적특성, 차액지대설, 고전학파 신고전학파 비교
부동산 가격과 경제원칙
[북한경제][북한외교][북한토지][북한IT산업]북한의 지하자원 고찰과 북한의 경제정책(경제제...
[지대][지대론][지대추구][리카르도]자본주의적 지대의 발생, 리카르도의 지대론, 지대추구의...
[지대추구][사회적 수익이 없는 지대추구][Tullock 지대추구론][정부규제와 지대추구활동]지...
[성경][성서][그리스도][심판][주님][과정신학]성경(성서)의 지질학, 성경(성서)의 토지법, ...
토지재배분
토지_재배분_제도에_대한_합의(PPT자료)
1810년대 조선사회, 1840년대 보수당, 1860년대 농민항쟁과 거창민란, 1880년대 리스트작품과...
[국유, 국유와 국유부동산, 국유와 국유재산, 국유은행, 국유기업, 국유특허, 토지국유화운동...
NLL관련 정상회담 기록공개논쟁의 본질과 해소방안
부동산경제학
필요한 경제학 용어 - 잠재적 가격, 경제학적 비용, 회계학적 이윤, 지대, 경제적 지대, 보복...
[토지정책론] 부동산보유세 (한동근 교수 vs 김경환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