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화][판화의 제작과정][판화의 기법][판화의 찍어내기방법]판화의 교육적 의미, 판화의 특징, 판화의 역사, 판화의 가치, 판화의 제작과정, 판화의 주제선정, 판화의 기법, 판화의 찍어내기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화][판화의 제작과정][판화의 기법][판화의 찍어내기방법]판화의 교육적 의미, 판화의 특징, 판화의 역사, 판화의 가치, 판화의 제작과정, 판화의 주제선정, 판화의 기법, 판화의 찍어내기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판화의 교육적 의미
1. 본능적 표현 욕구를 충족
2. 노작적 사고 활동
3. 정신 집중력이 길러진다
4. 표현 의욕과 표현 능력을 길러준다
5. 복수성
6. 과정의 예술

Ⅲ. 판화의 특징

Ⅳ. 판화의 역사

Ⅴ. 판화의 가치

Ⅵ. 판화의 제작과정
1. 고무, 목판화
2. 종이 판화
3. 직판화
4. 스텐실

Ⅶ. 판화의 주제선정

Ⅷ. 판화의 기법
1. 에칭
1) 특징
2) 재료와 용구
3) 제작 순서
4) 제작 과정
2. 메조틴트(Mezzotint)
3. 애쿼틴트(Aquatint)

Ⅸ. 판화의 찍어내기방법
1. 판에 잉크 묻히기
2. 고무판 옮기기
3. 판 위에 찍을 종이 올려놓기
4. 문질러 찍어내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작성-원화를 얇은 종이에 옮겨 뒤집어 붙이기 -조각칼로 - 새기기 - 롤러로 판에 잉크 칠-종이에 얹고 문지르개(바렌)으로 문질러 찍기-완성
2. 종이 판화
주제 정하기-두꺼운 종이에 스케치-그림부분오리기-밑판에 붙이기-롤러로 판에 잉크 칠 - 바렌으로 문질러 찍기
3. 직판화
목판에 실물을 배치하면서 망치로 두들겨서 자국을 내기-롤러로 판에 잉크를 묻힌 후 종이를 얹고 문질러 찍기-완성
4. 스텐실
기름종이에 원화 그리기-칼로 그림을 오려내기 - 판 밑에 종이를 놓고 잉크를 묻힌 롤러(칫솔, 솜, 스펀지를 이용하기도 함)로 잉크를 묻혀 찍는다.
Ⅶ. 판화의 주제선정
판화라고 해서 특별히 주제를 한정시킬 필요는 없다. 수채화나 그 외 심상 표현의 경우와 같이 어떤 장면이라도 좋다.
풍경, 인물, 동물, 정물, 공상 이야기 등을 제재로 다룰 수 있다.
판화의 특징은 붓이나 연필의 터치 효과를 나타낼 수가 없는 방면에 조작칼에 의한 독특한 새김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고, 특히 지판화의 경우 주변의 다양한 재료들을 붙여 그 재료의 특성을 살려 표현할 수 있어 그 외의 표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채화와 같이 농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반면, 판화는 흑백이나 색의 대비 효과를 살리는 것이 특징이다.
Ⅷ. 판화의 기법
1. 에칭
1) 특징
동판에 그림을 새긴 후 판을 부식시켜 찍어내는 방법으로 부식된 정도에 따라 농담 효과가 다르다.
2) 재료와 용구
동판, 그라운드 니스, 강철 침(니들), 질산 용액, 헝겊, 잉크, 프레스
3) 제작 순서
구상하여 밑그림을 그린다.
동판에 그라운드 니스를 바른다.
판위에 밑그림을 뒤집어서 옮긴 후 강철 침으로 새긴다.
질산 용액에 부식시킨다.
판위에 잉크를 칠한 후 겉면의 잉크를 닦아낸다.
종이(켄트지)에 습기를 준 후 프레스에 찍는다.
4) 제작 과정
<그라운드 액 바르기>
<강철 침으로 새기기>
<부식시키기>
<잉크 묻히기>
<찍어 내기>
○ AP(Artists-Proot)
판화 작품을 보면 아래에 AP라는 글자와 분수(예: 25/100)가 쓰여 있다. 이것은 작가의 사인(sign)이며 분모는 총 인쇄 작품 수, 분자는 찍은 순서를 나타낸다. 이러한 사인을 연필로 하는 것이 상례이고, 사인한 작품은 한점, 한점이 모두 원형으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인이 없는 판화는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보통 인쇄물이 되는 것이다.
2. 메조틴트(Mezzotint)
끝이 가는 톱니처럼 되어있는 반달 모양의 로커로 동판 전면에 무수히 많은 점을 만들어 낸 다음 스크레이퍼와 바니셔로 점을 깎거나 뭉개어 없애 나간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정교하고 풍부한 톤을 얻을 수 있다.
3. 애쿼틴트(Aquatint)
동판 표면에 송진 가루나 니스를 도포한 다음 부식시켜 섬세한 요철을 얻는다. 여기에 방식제로 그려서 다시 부식시키거나 스크레이퍼로 긁어 요철을 없애며 제작하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다양한 기법의 혼용으로 독특한 효과를 얻어 내는 방법을 인타 글리오 라고 한다.
Ⅸ. 판화의 찍어내기방법
1. 판에 잉크 묻히기
잉크를 판화용 나이프로 잉크판에 덜어 낸 다음, 적당량의 바니시유를 섞어 잉크의 농도를 맞춘다.
롤러를 가로, 세로로 움직이며 잉크를 골고루 묻힌다.
신문지 위에 판면을 놓는다.
롤러를 고무판 위에서 가고, 세로로 여러 번 굴려 전체에 골고루 묻힌다.
2. 고무판 옮기기
신문지의 가장 자리에 잉크가 묻어 있으므로 깨끗한 종이에 옮겨 찍어야 한다.
갱지 위에 가장 자리의 여백을 고려하여 고무판에 올려놓는다.
3. 판 위에 찍을 종이 올려놓기
고무판 밑에 깐 갱지의 왼쪽과 찍을 종이의 왼쪽 모서리부터 겨냥하여 네 귀퉁이를 맞춘다.
4. 문질러 찍어내기
종이를 고무판 위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완전하게 밀착시킨다.
왼손은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누르고, 오른 손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둥글게 원을 그리듯이 문지른다.
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누르면서 한쪽 귀퉁이로부터 살며시 떼어 낸다.
참고문헌
김병종 / 미술강의, 서울, 통나무, 1992
교육부 / 미술과 교육 과정, 서울 :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8
박정환 / 미술교육에서 프로타쥬 다색판화 연구, 2001년 발표예정
서승원 외 3인 / 판화미술의 세계, 서치방, 1994
조광석 / 현대미술과 미술관, 미술평단, 서울, 1998
한태상 외 2인 / 미술지도 이렇게 하자 3, 4, 6, 미술공론사, 2001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