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간호력
1)경과기록 3
2)간호사정 3
3)진단적 검사 11
4)투여 약물 11
2.간호진단 12
3.간호중재 13
4.문헌고찰
1)질병명 14
2)식이요법 15
1)경과기록 3
2)간호사정 3
3)진단적 검사 11
4)투여 약물 11
2.간호진단 12
3.간호중재 13
4.문헌고찰
1)질병명 14
2)식이요법 15
본문내용
기가 싫어요”
3.12.24일 Rounding시 계속 침대에 누워만 있음
관찰
신체활동 저하
1.12/22일 “원래 난 아침엔 항상 빵을 먹어”
2.12/22일 “병원밥은 맛이 없어서 못 먹겠어”
3.12/23일 입원전 하루 3끼 드심
→수술 후 하루 1끼 드심
4.12/23일 Rounding시 식사 취소해달라고하심
영양부족
영양
-섭취
1.12/22일“수술부위가 아직도 아파요”
2.12/22일 통증척도 7, 통증부위 지속적 쑤심
3.12/23일“바늘로 찌르는 것만 같은데 진통제는
언제 주나요?”
통증
식욕부진
영양부족
1.12/22일 “병원밥은 맛이 없어서 못 먹겠어”
2.12/22일 Rounding시 식사먹지 않고 그대로 있음 3.12/23일 입원전 하루 3끼 드심
→수술 후 하루 1끼 드심
식욕부진
7.간호중재
우선순위
간호진단
관련요인:진단명
목표
계획
중재
평가
1
불안
6시간 이내에 자신의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1.q4hr마다 통증 척도 측정한
다.
2.안절부절 상태의 증가, 불
안 여부 관찰한다.
3.환자의 감정 표현을 격려한
다.
4.환자와 함께 있으면서 안정
에 대해 확신을 준다.
5.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설명해 준다.
6.환자의 말을 주의깊에 경청
한다.
7.치료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
해 준다.
8.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1.q4hr마다 통증 척도 측정함
2.안절부절 상태의 증가, 불
안 여부 관찰함
3.환자의 감정 표현을 격려함
4.환자와 함께 있으면서 안정
에 대해 확신을 줌
5.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설명해 줌
6.환자의 말을 주의깊에 경청
함
7.치료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
함
8.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함
목표 달성
2
변비 위험성
24시간 이내 한번 변을 보았다고 말한다.
1.복부 팽만 장음 사정한다.
2.섭취량, 배설량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교육 한다.
3.2~3L의 수분 섭취를 격려
한다.
4.복도를 여러번 걸어다니도
록 교육 한다.
5.활동을 격려 한다.
6.장마사지 방법을 교육한다.
1.섭취량,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교육 함
2.복도를 여러번 걸어다니도록
교육함
3.활동을 격려함
4.장마사지 방법을 교육함
목표달성 못함
3
영양부족
하루에 300g씩 몸무게 늘어남을 확인
1.I/O를 모니터링 한다.
2.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하
게 도와준다.
3.식전 구강 간호를 한다.
4.침상 곁에 간식을 준비해
둔다.
5.고단백, 고칼로리 보충식이
를 제공함
6.기호 식품을 자주 섭취하게
교육 한다.
7.후각, 시각을 자극하여 식
욕을 증진시키는 음식을 제
공한다.
1.I/O를 모니터링 함
2.소량의 음식을 자주 섭취하
게 교육 함
3.침상 곁에 간식을 두게함
4.기호 식품을 섭취하게 교육
함
목표달성 못함
4.문헌고찰
1)질병명 - gallbladder stone
- 정의 : 담낭에서 생긴 담석이 담낭 경부, 담낭관 혹은 총담관으로 이동하여 염증이나 폐쇄를 일으켜 증상을 일으키는 것
- 원인 : 지방질이나 무기염(inorganic acids), 유기염(organic acid) 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침전되는 것
비정상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담즙 내의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므로 침전되어 담석이 형성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 인자 : 고령, 인종(서양인), 유전적 경향, 고지방 식이, 비만 및 체중 감소, 임신, 경구용 피임제와 같은 약제, 당뇨나 장결핵
콜레스테롤 담석의 형성 : 담즙의 콜레스테롤 과포화(supersaturation), 담즙 내 핵화(nucleation), 담낭의 운동성 저하(hypomotility) 작용
색소성 담석의 위험 인자 : 인종(동양인), 만성 용혈성 질환, 간경변증, 췌장염, 고탄수화물-저지방식이
-증상 : 담낭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담낭이 늘어나 통증이 발생
담도산통 - 심와부(명치)나 오른쪽 위쪽 배에 발생하는 지속적
심한 통증 또는 중압감이며, 우측 견갑하부(날개뼈 아래)나 어깨 쪽으로 통증이 퍼져 나감.
대개 통증은 갑자기 시작, 보통 1~4시간 동안 지속되며, 서서히 또는 갑자기 소실
오심과 구토가 흔히 동반, 발열이나 오한 등이 동반됨
-합병증 : 담낭염이나 담관염 등의 발생, 총담관 담석증, 황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 혈액검사, 내시경검사, 방사선검사 등을 시행한다. 확진을 위해서 주로 방사선검사 시행
-검사 : 복부 초음파 검사, 경구 담낭조영술, 방사선 동위원소 스캔
-치료 :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곤란한 경우 - 개복 담낭 절제술
만약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원하지 않거나 수술에 의한 위험성이 큰 경우 또는 증상의 정도나 빈도가 심하지 않으면 경구 담석 용해요법이나 초음파 쇄석술 또는 경피경간 담낭경하 쇄석술
급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금식을 하고 항생제를 투여하고 이후에 담석제거술을 시행
-간호 : T-tube 삽입
수분 전해질 보충
감염예방
기침, 심호흡 격려
출혈, shock징후 사정
BP측정 관찰
배액양, 색깔, 양상 확인
통증 위치, 유형, 정도 기록
Dressing 교환시 수술부위 관찰
-식이 요법
1. 저지방 식사를 하되 특히 동물성 지방을 제한한다.
2. 비만한 경우는 적절한 열량으로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3.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저녁식사 때 과식을 피한다.
4. 자극을 줄 수 있는 음주, 커피, 도넛, 케익 등은 피한다.
5.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여 비타민등 영양소 결핍을 방지한다.
*제한식품
- 고기의 기름부분, 내장육, 닭껍질, 소시지, 핫도그, 베이컨, 생선알(명란, 창란 등), 오징어류
- 보통 우유, 보통치즈
- 난황
- 버터, 크림 및 지방을 많이 사용하여 조리한 음식(튀김 등)
- 상업적인 제과식품,(파이, 케이크, 도넛, 페이스트리, 크로와상, 비스켓, 쿠키)
- 쵸콜릿, 사탕류, 버터, 코코넛, 야자유, 팜유
-참고문헌
: 김금자외 4명/현문사 (2006)/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NANDA) p35~p40
이항련외 8명/수문사 (2008)/ 성인간호학 p644~p650
식품의약품안정청 홈페이지
3.12.24일 Rounding시 계속 침대에 누워만 있음
관찰
신체활동 저하
1.12/22일 “원래 난 아침엔 항상 빵을 먹어”
2.12/22일 “병원밥은 맛이 없어서 못 먹겠어”
3.12/23일 입원전 하루 3끼 드심
→수술 후 하루 1끼 드심
4.12/23일 Rounding시 식사 취소해달라고하심
영양부족
영양
-섭취
1.12/22일“수술부위가 아직도 아파요”
2.12/22일 통증척도 7, 통증부위 지속적 쑤심
3.12/23일“바늘로 찌르는 것만 같은데 진통제는
언제 주나요?”
통증
식욕부진
영양부족
1.12/22일 “병원밥은 맛이 없어서 못 먹겠어”
2.12/22일 Rounding시 식사먹지 않고 그대로 있음 3.12/23일 입원전 하루 3끼 드심
→수술 후 하루 1끼 드심
식욕부진
7.간호중재
우선순위
간호진단
관련요인:진단명
목표
계획
중재
평가
1
불안
6시간 이내에 자신의 불안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1.q4hr마다 통증 척도 측정한
다.
2.안절부절 상태의 증가, 불
안 여부 관찰한다.
3.환자의 감정 표현을 격려한
다.
4.환자와 함께 있으면서 안정
에 대해 확신을 준다.
5.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설명해 준다.
6.환자의 말을 주의깊에 경청
한다.
7.치료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
해 준다.
8.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1.q4hr마다 통증 척도 측정함
2.안절부절 상태의 증가, 불
안 여부 관찰함
3.환자의 감정 표현을 격려함
4.환자와 함께 있으면서 안정
에 대해 확신을 줌
5.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해
설명해 줌
6.환자의 말을 주의깊에 경청
함
7.치료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
함
8.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함
목표 달성
2
변비 위험성
24시간 이내 한번 변을 보았다고 말한다.
1.복부 팽만 장음 사정한다.
2.섭취량, 배설량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교육 한다.
3.2~3L의 수분 섭취를 격려
한다.
4.복도를 여러번 걸어다니도
록 교육 한다.
5.활동을 격려 한다.
6.장마사지 방법을 교육한다.
1.섭취량,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교육 함
2.복도를 여러번 걸어다니도록
교육함
3.활동을 격려함
4.장마사지 방법을 교육함
목표달성 못함
3
영양부족
하루에 300g씩 몸무게 늘어남을 확인
1.I/O를 모니터링 한다.
2.소량씩 자주 음식을 섭취하
게 도와준다.
3.식전 구강 간호를 한다.
4.침상 곁에 간식을 준비해
둔다.
5.고단백, 고칼로리 보충식이
를 제공함
6.기호 식품을 자주 섭취하게
교육 한다.
7.후각, 시각을 자극하여 식
욕을 증진시키는 음식을 제
공한다.
1.I/O를 모니터링 함
2.소량의 음식을 자주 섭취하
게 교육 함
3.침상 곁에 간식을 두게함
4.기호 식품을 섭취하게 교육
함
목표달성 못함
4.문헌고찰
1)질병명 - gallbladder stone
- 정의 : 담낭에서 생긴 담석이 담낭 경부, 담낭관 혹은 총담관으로 이동하여 염증이나 폐쇄를 일으켜 증상을 일으키는 것
- 원인 : 지방질이나 무기염(inorganic acids), 유기염(organic acid) 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침전되는 것
비정상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담즙 내의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므로 침전되어 담석이 형성
콜레스테롤 담석의 위험 인자 : 고령, 인종(서양인), 유전적 경향, 고지방 식이, 비만 및 체중 감소, 임신, 경구용 피임제와 같은 약제, 당뇨나 장결핵
콜레스테롤 담석의 형성 : 담즙의 콜레스테롤 과포화(supersaturation), 담즙 내 핵화(nucleation), 담낭의 운동성 저하(hypomotility) 작용
색소성 담석의 위험 인자 : 인종(동양인), 만성 용혈성 질환, 간경변증, 췌장염, 고탄수화물-저지방식이
-증상 : 담낭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담낭이 늘어나 통증이 발생
담도산통 - 심와부(명치)나 오른쪽 위쪽 배에 발생하는 지속적
심한 통증 또는 중압감이며, 우측 견갑하부(날개뼈 아래)나 어깨 쪽으로 통증이 퍼져 나감.
대개 통증은 갑자기 시작, 보통 1~4시간 동안 지속되며, 서서히 또는 갑자기 소실
오심과 구토가 흔히 동반, 발열이나 오한 등이 동반됨
-합병증 : 담낭염이나 담관염 등의 발생, 총담관 담석증, 황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 혈액검사, 내시경검사, 방사선검사 등을 시행한다. 확진을 위해서 주로 방사선검사 시행
-검사 : 복부 초음파 검사, 경구 담낭조영술, 방사선 동위원소 스캔
-치료 :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곤란한 경우 - 개복 담낭 절제술
만약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원하지 않거나 수술에 의한 위험성이 큰 경우 또는 증상의 정도나 빈도가 심하지 않으면 경구 담석 용해요법이나 초음파 쇄석술 또는 경피경간 담낭경하 쇄석술
급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금식을 하고 항생제를 투여하고 이후에 담석제거술을 시행
-간호 : T-tube 삽입
수분 전해질 보충
감염예방
기침, 심호흡 격려
출혈, shock징후 사정
BP측정 관찰
배액양, 색깔, 양상 확인
통증 위치, 유형, 정도 기록
Dressing 교환시 수술부위 관찰
-식이 요법
1. 저지방 식사를 하되 특히 동물성 지방을 제한한다.
2. 비만한 경우는 적절한 열량으로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3.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저녁식사 때 과식을 피한다.
4. 자극을 줄 수 있는 음주, 커피, 도넛, 케익 등은 피한다.
5.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여 비타민등 영양소 결핍을 방지한다.
*제한식품
- 고기의 기름부분, 내장육, 닭껍질, 소시지, 핫도그, 베이컨, 생선알(명란, 창란 등), 오징어류
- 보통 우유, 보통치즈
- 난황
- 버터, 크림 및 지방을 많이 사용하여 조리한 음식(튀김 등)
- 상업적인 제과식품,(파이, 케이크, 도넛, 페이스트리, 크로와상, 비스켓, 쿠키)
- 쵸콜릿, 사탕류, 버터, 코코넛, 야자유, 팜유
-참고문헌
: 김금자외 4명/현문사 (2006)/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NANDA) p35~p40
이항련외 8명/수문사 (2008)/ 성인간호학 p644~p650
식품의약품안정청 홈페이지
추천자료
case study
치매 노인 환자의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대장암수술전후간호
성인간호 컨퍼런스
정신간호학케이스
뇌졸중 CVA 케이스스터디
croup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소아 case
화순전남대학교병원 63병동 뇌종양(Braintumor) Case, 5가지 간호진단과 3가지 간호과정
[성인간호학][간내결석][간내담석][Intrahepatic duct stone][IHD stone] 케이스 스터디(Case...
[ICU 간호과정] 진단명 : scalp wound infection / 주호소 : fever. op wd infection
급성담낭염 간호진단과 중재
정형외과 실습 [ 골절 case study 완벽 자료 - 검사 약물 문헌고찰 간호과정(간호진단 2가지...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간호과정,간호진단의 정의,간호진단의 유용성,간호진단의 분류체계,NANDA의 분류체계,Omaha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