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암 (esophageal cancer) 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도암 (esophageal cancer)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간호력
 1)경과기록 3
 2)간호사정 3
 3)진단적 검사 11
 4)투여 약물 12
2.간호진단 13
3.간호중재 14
4.문헌고찰
 1)질병명 16
 2)수술명 17
 3)식이요법 17

본문내용

8.소량식 자주 제공한다.
1.I/O를 모니터링 함
2.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게 교육함
3.침상 곁에 간식을 준비하게
교육 함
4.섬유질 많은 채소를 섭취하
게 교육 한다.
부분적 달성 - 몸무게가 200g늘어남을 확인
4.문헌고찰
1)질병명 - 식도암 (esophageal cancer)
1.정의
-식도암은 식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2.검사
1) 내시경
-식도암이 의심될 때 시행
-직접 식도 점막을 관찰하는 것이므로 조기 식도암에서 나타나는 융기되지 않은 병적 변화, 색조상의 변화만
있는 병리적 변화도 찾아냄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검사시행
-식도내강이 심하게 협착되어 내부가 매우 좁아졌을 때에는 내시경이 종양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이 경
우에는 솔을 이용한 세포진 검사가 시행
2) 바륨 식도조영술
-종양의 위치, 길이, 및 주위 구조물과의 관계를 추정
-종양의 정확한 위치 파악, 협착의 정도 파악, 병적인 변화의 대칭성 여부 등을 평가하여 스텐트(인공관) 등
완화 목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됨
-기관-식도 누공 진단에 유용
3) 컴퓨터단층촬영(CT)
-병의 진행 단계 결정과 절제 가능성 파악에 필요
-종양이 인근 기관에 침윤해 들어간 정도를 평가하고, 폐, 간, 뼈, 림프절 등 원격 전이 여부를 진단
4) 내시경 초음파
-식도 점막부터 외벽까지 식도 벽을 층별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병적인 변화가 식도 벽에 어느 정도까
지 침입했는지 평가하는 데 유용
-수술 전 병의 진행 단계를 결정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고, 경과 및 치료 결과를 추정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
하는 데에도 도움
3.원인
- 식이 요소: 뜨거운 음료, 영양소 결핍(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아연등), 마테차, 곰팡이 독소(퓨사리움(fusarium), 알테나리아(alternaria)), 니트로사민(nitrosamine; 소금에 절인 음식, 훈제 음식 등에 존재)
- 만성적인 식도 자극: 하부식도 연하곤란증(achalasia; 아칼라지아, 이완불능증), 양잿물
- 흡연
- 음주
- 방사선
- 바레트 식도(Barrett’s esophagus): 지속적인 위산의 역류에 의해 식도와 위의 경계 부위에서 식도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한 상태
4.증상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없음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이미 다른 곳으로 전이된 경우가 많음
-대표적인 증상 :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연하곤란 : 90% 이상의 식도암에서 나타남
-초기 : 고형 음식을 삼킬 때에만 불편감을 느낌
점차 부드러운 유동식을 넘길 때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고, 나중에는 물조차 삼킬 수 없게 됨
만성적으로 계속 진행되며 호전되지 않음
-체중 감소 발생
-연하통 : 전형적인 연하통은 지속적이고 둔한 통증, 등으로 뻗치는 듯한 증상
심한 지속성 통증이 있으면 전이를 의심
-구토, 출혈, 쉰 목소리, 만성 기침이 나타날 수 있고, 소화액, 음식물, 이물질 등이 기도로 잘못 흡인되어 야기
되는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이 발생
5.경과, 합병증
-예후가 좋지 않으며 5년 생존율은 5~20% 정도이다.
6.치료
-외과적 절제 : 국소 재발 방지와 근본적 치료를 위한 절제를 목적
식도와 주변의 림프절과 종격동 지방조직을 함께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방법
-식도절제와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함께 적용하는 병합 요법을 시행
2)수술명
- (chemoport insertion)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1.중심정맥에 삽입되는 관의 일종으로 항암제와 항생제, 혈액성분과 같은 정맥주사가 계속적으로 필요한 환자의
치료에 유용
2.쇄골하정맥을 통하여 삽입하는 것과 팔의 대정맥을 통하여 삽입하는 것으로 구분
3.종류
1)쇄골하정맥 : Hickman catheter , Centrasil, Chemoport
2)대정맥 : Intrasil
4. 주의점
1)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소독해야 하나 숙달되면 1주일에 1~2회 소독
2)혈전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파린을 주입
3)식이 요법
-음식 조리시 실천 가능 방법
1. 채소나 과일은 물로 충분히 씻는다.
농약과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식초, 소금물에 10~20분 정도 담구었다가 헹구어 이용한다.
2. 너무 뜨거운 요리는 피한다.
3. 생선 및 고기 요리는 청주, 포도주, 생강, 마늘에 재워서 발암물질을 제거하고 맛을 좋게 한다.
4. 채소는 물에 담가 떫은맛을 빼거나 끊는 물에 삶는 등 밑 손질을 하여 발암물질을 제거한다.
5. 콩이나 채소류의 항암 작용을 하는 페놀, 지방을 함유한 종실류(대두, 참깨)나 곡류(밀, 맥아, 쌀겨) 및 견
과류(호두, 잣) 등에 있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비타민 E는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 과가 있으므로 함께 조리하면 좋다.
5. 생고기는 불에 구우면 벤조피렌과 헤테로사이클릭아민이란 발암물질이 생성되므로 타지 않도록 한다.
양배추, 풋고추, 토마토, 옥수수, 우엉 등 섬유질이 많은 채소를 곁들여 먹어 발암물질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 또는 분해하게 한다.
6. 차 잎에는 비타민, 항암 성분인 페놀 성분이 있으므로 차를 우려낸 후 잎은 나물로 볶음밥에 넣어 비벼 먹거
나 된장국에 넣는다.
7. 양파, 마늘은 항암, 항균작용과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가 있는 유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지나치게 가열하
지 않는다.
8. 철이나 구리로 만든 조리 기구는 채소와 과일의 비타민 C, 베카카로틴, 비타민 E, 페놀성분 등의 산화를 촉
진할 수 있으므로 냄비, 프라이팬, 칼 등은 스테인레스나 불소처리 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 식단
구분
아침
점심
저녁
음식
현미밥
맑은 두부 국
삼치구이
깻잎나물
우엉호두조림
배추김치
비빔밥
아욱된장국
단호박 샐러드
알타리김치
잡곡밥
배추들깨된장국
닭고기토마토조림
새송이 파프리카
취나물
열무김치
-참고문헌
: 김금자외 4명 현문사 (2006)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NANDA)
이항련외 8명 수문사 (2008) 성인간호학
식품의약품안정청 홈페이지
  • 가격3,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10.26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