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장치 (STR 7)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2. 실험 장치 (STR 7)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본문내용
p o r t
5. 고찰
이번 실험은 대칭 부재가 아닌 비대칭 부재를 이용해서 그 부재에 작용하는 휨과 전단중심값을 구해보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비대칭 부재에 대해서는 2학년때 배운 기억이 있지만 시간이 많이 지나서 철콘에서 배운 개념으로 접근했다.
전단중심을 알기 위해서는 평형이라는 개념이 필요한데 평형에서 힘과 모멘트의 평형이 이루어지면 좌우측 값이 서로 교차되서면서 모이게 되는 점이 전단중심이고 힘과 모멘트의 평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부재가 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위와 같은 설명이 맞지만 실험상 오차가 발생했다.
여러번 실험을 통해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아보았고 이번 실험에서도 오차의 원인으로 꼽힌 것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첫째로 추의 하중이 부재에 정확하게 가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동으로 직접 실을 이동시키면서 하중을 가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가 어려웠다. 두 번째로 추의 흔들림과 실험기구에 가해지는 외부의 다른 힘이 작용했다는 점이다. 이전 실험과 마찬가지고 추에 흔들림이 생기면서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정확한 값을 도출 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계속된 반복하중으로 인해서 알게 모르게 부재에 잔여하중이 남아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추의 하중을 손이 아닌 기계를 통해 정확히 가해질 수 있도록 하고 추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일도 중요하다.
마지막 실험이었지만 정말 빠르게 시간이 지나간 것 같다. 정말 소중한 기회를 마련해주신 교수님과 대학원생 형들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으로 드리고 싶다.
5. 고찰
이번 실험은 대칭 부재가 아닌 비대칭 부재를 이용해서 그 부재에 작용하는 휨과 전단중심값을 구해보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비대칭 부재에 대해서는 2학년때 배운 기억이 있지만 시간이 많이 지나서 철콘에서 배운 개념으로 접근했다.
전단중심을 알기 위해서는 평형이라는 개념이 필요한데 평형에서 힘과 모멘트의 평형이 이루어지면 좌우측 값이 서로 교차되서면서 모이게 되는 점이 전단중심이고 힘과 모멘트의 평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부재가 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위와 같은 설명이 맞지만 실험상 오차가 발생했다.
여러번 실험을 통해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아보았고 이번 실험에서도 오차의 원인으로 꼽힌 것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첫째로 추의 하중이 부재에 정확하게 가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동으로 직접 실을 이동시키면서 하중을 가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가 어려웠다. 두 번째로 추의 흔들림과 실험기구에 가해지는 외부의 다른 힘이 작용했다는 점이다. 이전 실험과 마찬가지고 추에 흔들림이 생기면서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정확한 값을 도출 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계속된 반복하중으로 인해서 알게 모르게 부재에 잔여하중이 남아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추의 하중을 손이 아닌 기계를 통해 정확히 가해질 수 있도록 하고 추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일도 중요하다.
마지막 실험이었지만 정말 빠르게 시간이 지나간 것 같다. 정말 소중한 기회를 마련해주신 교수님과 대학원생 형들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으로 드리고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시멘트의 비중시험
골재의 체 가름 시험
상가건물 사례조사
철근량및옹벽안정성검토(철근콘크리트)
팽창콘크리트(expensive concrete)에 관한 발표자료 PPT(해설 첨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실험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실험
단지재생-오키나와 단지의 현상과 재생에 대해
동명사 철큰콘크리트 저자변영균,5장문제풀이
[결과 보고서] 골재시험 (체가름시험 & 잔골재,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영남대 PSC교량 시공문제점
영남대 psc레포트2
탄소섬유 보강공법 (탄소섬유보강공법, 탄소섬유의 특징, 보강공법 비교, SK탄소섬유시트의 ...
복합체(복합재료)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