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체가름시험
1. 시험 목적
2. 시험용 기구
3. 시험 방법
4. 결과정리 및 분석
-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1. 시험 목적
2. 시험용 기구
3. 시험 방법
4. 결과정리 및 분석
-잔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본문내용
1
시료+Pen의 무게 (건조 후)
1565.4
1567.1
Pen의 무게
1070.4
1070.9
밀도 〔〕이다.
흡수율 〔%〕이다.
여기서
우리조의 잔골재 밀도의 평균값은 2.50815 , 흡수율은 0.8880 이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밀도는 2.55~2.77 정도이고, 흡수율은 0.5~3.5% 정도이다. 일반적인 기준에 알맞으므로 잘 된 시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잔골재의 흡수율 시험에서 오차가 조금 발생하였다. 우리가 건조포화된 시료 준비를 제때 하지 못하여 속안은 건조하고 바깥만 포화된 시료로 실험 하였기 때문에 시험값이 정확히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시료를 미리 준비하여 건조포화된 시료로 시험을 했다면 더욱더 정확한 결과값이 나왔을 것이다.
또한 플로 콘을 들어 올려 잔골재가 최초로 무너진 건조 상태를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보고 이것을 시료로 하는데 육안으로 판별하였기 때문에 최초로 무너진 상태인지 아닌지를 정확히 알수 없다.
잔골재의 흡수율 시험에서 잔골재의 공극을 알 수 있고, 또 큰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계산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행한다. 골재의 밀도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의 결정, 골재의 적부 판정을 위하여도 필요하다. 또한 흡수율 시험은 골재 내부의 공극을 알고 콘크리트 배합설계 계산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한다.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1.시험 목적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는 골재립 내부의 공극 외에도 골재립이 차지하는 용적을 필요로 하고, 또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골재립의 밀도가 필요하게 된다.
2.실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굵은 골재
-저울(시료 질량의 0.1 % 이내를 읽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 저울에는 중심으로부터 지름 3mm 이하의 금속선으로 철망태를 매달고, 이것을 수중에 담글 수 있는 적절한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철망태
-물탱크
-흡수천
-건조기.
-체
3.시료 준비
-10mm 체에 남는 골재에 대하여 대표적인 굵은 골재를 최대치수가 25mm이하인 경우에는 약 2kg, 25mm 이상의 경우는 약 5kg을 시료로 하여 물로 잘 씻고 24시간 침수 시킨 다음 마른 천으로 문질러 표면 건조 포화상태로 한다.
4.시험 방법
①공기 중의 철망태 무게를 측정한다.
②공기중의 철망태와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하고 0.5g까지 시료를 잰다.
③청망태의 수중무게를 측정한다.
④시료와 철망태의 수중무게 를 측정한다.
⑤시료를 용기(시료 팬)에 쏟는다.
⑥에서 일정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킨다.
⑦용기(시료 팬)의 무게와 용기와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한다.
5. 결과정리 및 분석
측정번호
1
2
공기 중의 철망태의 무게 (g)
1001.5
925.3
공기 중의 철망태와 시료의 무게 (g)
6001.5
5925.4
공기 중의 시료의 무게 (g)
5000
5000.1
수중의 철망태의 무게 (g)
887.8
816
수중의 철망태와 시료의 무게 (g)
4025.1
3960.9
수중의 시료의 무게 (g)
3137.3
3144.9
밀도 (g/cm³)
2.6843
2.6952
밀도의 평균값 (g/cm³)
2.6897
평균값으로부터의 편차
-0.0055
0.0055
건조 후 시료의 무게 (g)
4954.8
4954.2
흡수율 (%)
0.9122
0.9265
흡수율의 평균값 (%)
0.9194
평균값으로부터의 편차
-0.0071
0.0071
시료 + Pen의 무게 (건조 후)
5511.6
5615.3
Pen의 무게
556.8
661.1
밀도 〔〕이다.
흡수율 〔%〕이다.
여기서
우리조의 굵은골재 밀도의 평균값은 2.6897 , 흡수율은 0.9194이다.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밀도는 2.55~2.70 정도이고, 흡수율은 0.5~3.5%정도이다. 일반적인 기준에 알맞으므로 잘 된 시험이라 할 수 있다.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물속에 담궈져있는 굵은골재를 사용하였다. 물속의시료를 꺼내어 흡수천으로 눈에 보이는 수막이 없어질 때까지 닦는 과정을 실외에서 진행하다 보니중간에 수분이 증발되는 경우가 발생해서 결과값에 미세한 차이를 생기게 했을 것이다. 그리고 흡수천을 이용하여 골재의 수분을 닦는 과정에서 육안으로 정확한 표면건조포화상태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결과값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골재의 밀도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의 결정, 골재의 적부 판정을 위하여도 필요하다. 또한 흡수율 시험은 골재 내부의 공극을 알고 콘크리트 배합설계 계산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한다.
시료+Pen의 무게 (건조 후)
1565.4
1567.1
Pen의 무게
1070.4
1070.9
밀도 〔〕이다.
흡수율 〔%〕이다.
여기서
우리조의 잔골재 밀도의 평균값은 2.50815 , 흡수율은 0.8880 이다.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밀도는 2.55~2.77 정도이고, 흡수율은 0.5~3.5% 정도이다. 일반적인 기준에 알맞으므로 잘 된 시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잔골재의 흡수율 시험에서 오차가 조금 발생하였다. 우리가 건조포화된 시료 준비를 제때 하지 못하여 속안은 건조하고 바깥만 포화된 시료로 실험 하였기 때문에 시험값이 정확히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시료를 미리 준비하여 건조포화된 시료로 시험을 했다면 더욱더 정확한 결과값이 나왔을 것이다.
또한 플로 콘을 들어 올려 잔골재가 최초로 무너진 건조 상태를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보고 이것을 시료로 하는데 육안으로 판별하였기 때문에 최초로 무너진 상태인지 아닌지를 정확히 알수 없다.
잔골재의 흡수율 시험에서 잔골재의 공극을 알 수 있고, 또 큰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계산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행한다. 골재의 밀도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의 결정, 골재의 적부 판정을 위하여도 필요하다. 또한 흡수율 시험은 골재 내부의 공극을 알고 콘크리트 배합설계 계산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한다.
*굵은골재 밀도 및 흡수율 시험
1.시험 목적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는 골재립 내부의 공극 외에도 골재립이 차지하는 용적을 필요로 하고, 또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골재립의 밀도가 필요하게 된다.
2.실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굵은 골재
-저울(시료 질량의 0.1 % 이내를 읽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 저울에는 중심으로부터 지름 3mm 이하의 금속선으로 철망태를 매달고, 이것을 수중에 담글 수 있는 적절한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철망태
-물탱크
-흡수천
-건조기.
-체
3.시료 준비
-10mm 체에 남는 골재에 대하여 대표적인 굵은 골재를 최대치수가 25mm이하인 경우에는 약 2kg, 25mm 이상의 경우는 약 5kg을 시료로 하여 물로 잘 씻고 24시간 침수 시킨 다음 마른 천으로 문질러 표면 건조 포화상태로 한다.
4.시험 방법
①공기 중의 철망태 무게를 측정한다.
②공기중의 철망태와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하고 0.5g까지 시료를 잰다.
③청망태의 수중무게를 측정한다.
④시료와 철망태의 수중무게 를 측정한다.
⑤시료를 용기(시료 팬)에 쏟는다.
⑥에서 일정질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킨다.
⑦용기(시료 팬)의 무게와 용기와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한다.
5. 결과정리 및 분석
측정번호
1
2
공기 중의 철망태의 무게 (g)
1001.5
925.3
공기 중의 철망태와 시료의 무게 (g)
6001.5
5925.4
공기 중의 시료의 무게 (g)
5000
5000.1
수중의 철망태의 무게 (g)
887.8
816
수중의 철망태와 시료의 무게 (g)
4025.1
3960.9
수중의 시료의 무게 (g)
3137.3
3144.9
밀도 (g/cm³)
2.6843
2.6952
밀도의 평균값 (g/cm³)
2.6897
평균값으로부터의 편차
-0.0055
0.0055
건조 후 시료의 무게 (g)
4954.8
4954.2
흡수율 (%)
0.9122
0.9265
흡수율의 평균값 (%)
0.9194
평균값으로부터의 편차
-0.0071
0.0071
시료 + Pen의 무게 (건조 후)
5511.6
5615.3
Pen의 무게
556.8
661.1
밀도 〔〕이다.
흡수율 〔%〕이다.
여기서
우리조의 굵은골재 밀도의 평균값은 2.6897 , 흡수율은 0.9194이다.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밀도는 2.55~2.70 정도이고, 흡수율은 0.5~3.5%정도이다. 일반적인 기준에 알맞으므로 잘 된 시험이라 할 수 있다.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물속에 담궈져있는 굵은골재를 사용하였다. 물속의시료를 꺼내어 흡수천으로 눈에 보이는 수막이 없어질 때까지 닦는 과정을 실외에서 진행하다 보니중간에 수분이 증발되는 경우가 발생해서 결과값에 미세한 차이를 생기게 했을 것이다. 그리고 흡수천을 이용하여 골재의 수분을 닦는 과정에서 육안으로 정확한 표면건조포화상태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이러한 점이 결과값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골재의 밀도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의 결정, 골재의 적부 판정을 위하여도 필요하다. 또한 흡수율 시험은 골재 내부의 공극을 알고 콘크리트 배합설계 계산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