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의 건축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비(鷰鳦)

2. 제비의 집짓기

3. 제비의 건축 재료

4. 만드는 방법에 따른 분류

5. 이외의 생물의 건축물

6. 참고 자료

본문내용

와 천정 사이에 틈새가 있으며 따라서 윗부분이 열린
밥공기 형태를 하고 있다. (→ 일반제비 )

② 아가리가 좁은 긴 병 형태의 집
- 위쪽 가장자리가 천정과 밀착되며 출입구로서 구멍이 짧은 터널형을 이
루고 있다. (→ 귀제비 )

③ 항아리형 형태의 집
- 위쪽 가장자리가 천정과 밀착되며 출입구로서의 작은 구멍만이 있고
이 구멍이 방과 직접 이어져 열려있다. (→ 흰털발 제비 )

5. 특징
① 제비는 인공물(특히, 사람의 주거지)에만 집을 만든다.
- 많은 야생조류 중에서 제비는 사람에게 매우 가까이 접근해 오는 편이다.
특히 제비는 오늘날 인공건조물이 아닌 곳에 집을 짓는 예가 세계적으로 볼
때에도 전혀 발견된 적이 없다. 옛날에는 동굴 등에 집을 지었겠지만 지금은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완전히 이동해 온 것으로 생각된다.
② 제비는 집을 재활용한다.
- 보통 한 집에 1개의 둥지를 짓고 매년 같은 둥지를 고쳐서 사용한다. 귀소
성 귀소성 : 동물이 자신의 서식장소나 산란, 육아를 하던 곳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경우, 다시 그 곳으로 되돌아 오는 성질로 귀소성, 회귀성이라고도 한다. 이는 학습되기도 하며 위치 기억이나 후각 기억으로 행하여진다.
이 강해서 여러 해 동안 같은 지방에 돌아오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제비의 집은 항상 다른 작은 새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제비과의 다른 종도 노리고 참새나 할미새도 노린다. 제비의 집은 안전한 장소에 견고하게 만들어지며 도우기 위쪽이 알맞게 열려 있으므로 약간만 손을 대면 다른 작은 새의 집으로 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비는 다른 작은 새를 가장 두려워하기 때문에 사람의 눈길이 닿는 곳으로 피해 온 것이다. 물론 인간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를 전제조건으로 한 것이다.
조류도감
두산 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국가지정 생물학 연구센터
네이버 카페
제비-원라인
사진자료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userId=mdyooao101&logId=5034793
♥ 참고 자료 및 참고 인터넷 사이트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03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