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창의적 사고력
2. 창의적 인성
3. 자기결정성 동기
4. 성취목표 동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1) 창의적 사고능력검사
2) 창의적 인성검사
3) 성취목표 동기검사
4) 자기결정성 동기검사
3. 연구모형
4. 결과처리 및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한점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창의적 사고력
2. 창의적 인성
3. 자기결정성 동기
4. 성취목표 동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1) 창의적 사고능력검사
2) 창의적 인성검사
3) 성취목표 동기검사
4) 자기결정성 동기검사
3. 연구모형
4. 결과처리 및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한점
본문내용
인들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창의적 인성과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무동기, 외적동기와는 유머요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 동기와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무동기는 숙달접근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 수행회피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동기는 숙달접근요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제한점
아동의 창의적 사고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정의적 변인으로서 자기결정성 동기, 성취목표 동기가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인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창의적 인성은 창의적 사고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기변인들은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을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아동이 창의적 사고 능력을 표현하는 것과 창의적 인성, 동기변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은 창의성을 이해하는데 단편적인 차원이 아니라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는 통합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창의성의 개념정립에 있어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창의성 관련 측정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성 인성만을 다루고 있어 창의적 산출물을 포함하여 창의성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하지 못하였으며, 성취목표 동기와 자기결정성 동기 변인들 외에도 다른 동기변인들을 폭넓게 포함시키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창의적 인성과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무동기, 외적동기와는 유머요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 동기와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무동기는 숙달접근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 수행회피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동기는 숙달접근요인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와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제한점
아동의 창의적 사고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정의적 변인으로서 자기결정성 동기, 성취목표 동기가 창의적 인성에 직접적인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창의적 인성은 창의적 사고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기변인들은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을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아동이 창의적 사고 능력을 표현하는 것과 창의적 인성, 동기변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은 창의성을 이해하는데 단편적인 차원이 아니라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는 통합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창의성의 개념정립에 있어서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창의성 관련 측정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성 인성만을 다루고 있어 창의적 산출물을 포함하여 창의성을 좀 더 다양한 측면에서 측정하지 못하였으며, 성취목표 동기와 자기결정성 동기 변인들 외에도 다른 동기변인들을 폭넓게 포함시키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추천자료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 Program)
교육심리-귀인이론
교수 체제 개발
승진관리의 중요성, 승진의 기준, 형태, 승진제도, 방향 등 승진에 대한 모든 것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의 특징, 내용, 발달단계, ...
에릭슨의 사상과 프로이드와의 비교연구
휘들러의 상황적합이론
MBO의 성공적 운영조건
학교상담 - 문제영역별 상담
조직이론 및 조직구조
습관의 심리학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계획과정기술하기 대상자를 선정하여 실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작성하기
휘들러(F.E. Fielder)의 상황적합이론(contingency theory).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