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1)소구의 개념 및 종류
2)광고 신뢰성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2. 이론적 배경
1)소구의 개념 및 종류
2)광고 신뢰성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본문내용
고 대답한 사람들이 말한 이유로는
“확실한 구매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구입 시에는 실용적인 부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등이 가장 많았다.
이번 설문을 통해서 도출 할 수 있는 내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또 여성의 경우가 더 감성적 소구의 광고에 신뢰감을 느끼며 구매에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결론
이 연구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의 광고가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들은 어떻게 두 종류의 광고를 받아들이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소구는 소비자들의 욕구, 필요성, 욕망, 충동과 같은 심리를 자극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선택하도록 호소하는 방법이로 이 소구는 일반적으로 이성적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나눌 수 있는데, 이성적 소구는 주로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구매 했을 경우 얻게 될 편익 등을 전달하며, 이에 반대되는 감성적 소구는 소비자의 정서나 감정을 자극해서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형태로 긍적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이용해 소비자에게 어필하며 주로 기업의 이미지에 관련된 광고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모든 소구형태는 감성적 소구를 조금씩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런 광고는 소비자의 다양한 정서와 감정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통해 소비자는 신뢰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어떤 형태를 통해 더 신뢰감을 느끼는 가에 대해 설문을 통해 알 수 있었는데, 여성일수록 연령대가 낮을수록 감성적인 소구의 광고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감성적 소구의 광고는 인상에 남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만, 반대로 인상에는 남지만 직접적인 구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대답도 많았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구매 후 신뢰감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이성적 소구가 감성적 소구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성적 소구가 소비자에게 더 합리정인 구매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확실하게 전달해야하는 광고일 경우 감성적 소구보다는 이성적 소구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더 효과 적일 것이다. 또한 감성적 소구는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데에는 이성적 소구보다 효과적이지만, 그에 반해 제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부분에서는 애매모호하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광고를 할 때는 제품의 특성과 주 타깃에 따라 적절한 소구 형태를 띄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의 가장 큰 한계는 설문대상자가 제한적이고 다양하지 못했던 점과 좀 더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부분이었다.
■ 참고문헌 ■
-단행본.
이종호(2002). 광고론:중문사 P146
두산백과사전(2007). 2007
-국내 논문.
강홍도(2000). “광고의 소구유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종엽(2005). “광고소구형태에 따른 수용자 태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성진(1994). “관여와 소구형태의 시각적인 요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해석(2003). “광고 소구 유형과 자기 검색도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학위 논문
■ 설문조사기관 ■
-네이버 카페
일본패션브랜드전문카페(http://cafe.naver.com/okjapan.cafe)
모닝구 & 하로프로젝트 연구소(http://cafe.naver.com/momus)
ARASHI WORLD(http://cafe.naver.com/arashivvorld)
-네이트온 메신져
“확실한 구매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구입 시에는 실용적인 부분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등이 가장 많았다.
이번 설문을 통해서 도출 할 수 있는 내용은 연령이 낮을수록 또 여성의 경우가 더 감성적 소구의 광고에 신뢰감을 느끼며 구매에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결론
이 연구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의 광고가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들은 어떻게 두 종류의 광고를 받아들이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소구는 소비자들의 욕구, 필요성, 욕망, 충동과 같은 심리를 자극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선택하도록 호소하는 방법이로 이 소구는 일반적으로 이성적소구와 감성적 소구로 나눌 수 있는데, 이성적 소구는 주로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구매 했을 경우 얻게 될 편익 등을 전달하며, 이에 반대되는 감성적 소구는 소비자의 정서나 감정을 자극해서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형태로 긍적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이용해 소비자에게 어필하며 주로 기업의 이미지에 관련된 광고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모든 소구형태는 감성적 소구를 조금씩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런 광고는 소비자의 다양한 정서와 감정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통해 소비자는 신뢰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어떤 형태를 통해 더 신뢰감을 느끼는 가에 대해 설문을 통해 알 수 있었는데, 여성일수록 연령대가 낮을수록 감성적인 소구의 광고를 통해 구매하는 경우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감성적 소구의 광고는 인상에 남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만, 반대로 인상에는 남지만 직접적인 구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대답도 많았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구매 후 신뢰감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이성적 소구가 감성적 소구보다 더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성적 소구가 소비자에게 더 합리정인 구매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확실하게 전달해야하는 광고일 경우 감성적 소구보다는 이성적 소구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더 효과 적일 것이다. 또한 감성적 소구는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데에는 이성적 소구보다 효과적이지만, 그에 반해 제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부분에서는 애매모호하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광고를 할 때는 제품의 특성과 주 타깃에 따라 적절한 소구 형태를 띄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의 가장 큰 한계는 설문대상자가 제한적이고 다양하지 못했던 점과 좀 더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부분이었다.
■ 참고문헌 ■
-단행본.
이종호(2002). 광고론:중문사 P146
두산백과사전(2007). 2007
-국내 논문.
강홍도(2000). “광고의 소구유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종엽(2005). “광고소구형태에 따른 수용자 태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성진(1994). “관여와 소구형태의 시각적인 요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해석(2003). “광고 소구 유형과 자기 검색도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학위 논문
■ 설문조사기관 ■
-네이버 카페
일본패션브랜드전문카페(http://cafe.naver.com/okjapan.cafe)
모닝구 & 하로프로젝트 연구소(http://cafe.naver.com/momus)
ARASHI WORLD(http://cafe.naver.com/arashivvorld)
-네이트온 메신져
추천자료
사례를 통한 광고전략
광고매체
각각의 광고가 가진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대한 생각(예시와 함께)
감성마케팅 광고 현황분석과 감성마케팅 광고 사례들
설득이론과 광고
DM(Direct Mail)광고 마케팅 전략
공익광고의 변천사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광고윤리][광고윤리규제][광고심의][소비자역할][소비자만족][광고윤리성]광고윤리의 개념, ...
광고속의 섹스어필
최근 자신이 본 TV광고들 중 특별히 기억나는 광고를 선정하여 소비자 정보처리과정에 맞추어...
섹스어필 광고 사례 분식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단체연합회 ADIC(광고정보센터)의 영상DB운영, 검색시스템, DATA를 중심으로
[광고대행사, 광고주, 광고산업, 광고표현, 주제전문사서, 광고행정]광고대행사와 광고주, 광...
미스터 피자 (Mr.Pizza) 광고 분석 (광고의 목표 소비자층, 메시지, 광고메시지 전달 소구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