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경제의 글로벌화와 항공운송
2. 국제 항공화물의 동향
2. 국제 항공화물의 동향
본문내용
체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고, 94년 대비95년의 화물운송 증가율은 13.7%로 여객운송의 증가율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 중 김포공항의 화물운송은 95년 148만 489톤으로 국제선이 84.8 %로 압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항공화물은 수출면에서는 섬유, 의류, 잡화, 컴퓨터, 전자제품, 기계, 전기 등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수입화물은 기계, 전자, 전기, 통신, 의약품 등의 비율이 높고 냉동 냉장을 요하는 품목이 수출화물보다 많은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전체 수출입화물 중 항공화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톤 기준으로 0.3%이지만 이를 금액기준으로 보면 수출 10.3%. 수입 16.1%로 수출입 평균으로 13.2%를 나타내고 있다. 금액기준으로 수출 16%, 수입 22%인 일본과 비교하면 한국의수출입화물 중 항공화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금액과 화물량 모두에서 낮다.
따라서 경제규모의 확대에 의해 항공화물의 급속한 증가와 항공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할 것이 예상된다. 한국의 항공화물의 운송수요의 증가추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항공화물 운송 수요추이(단위: 톤)
한국의 국제선 항공화물은 1990년-1995년 사이에 10.7%의 증가를 보였다. 증가요인의 품목특징으로서는 섬유제품, 의류, 전자제품, 반도체, 기계, 전기제품 등의 착실한 신장에 의한 것이 많다. 수출항공화물을 지역별로 보면 1980년대 말까지 미국, 일본지역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5년부터 서서히 비율이 감소하여1994년에는 50%선을 맴돌고 있다. 이에 비해 동남아시아의 비율은 착실히 늘어나 1994년에는 23.4%를 차지했다.
한국의 국가별 수출항공화물 운송실적(단위: 톤)
이에 대해 한국의 국별 수입항공화물 운송실적을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국별 수입항공화물 운송실적(단위: 톤, %)
수입항공화물의 경우 수출의 경우와 같이 1994년 기준 미국과 일본이 61.5%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한국의 항공화물 품목별 수출화물량은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공항화물 품목별 수출화물량 비율단위(단위: 톤, %)
수출항공화물의 경우 섬유제품이 1994년 기준으로 전체의 38.0%를 점하고 있고, 다음에 잡화류 26.7%, 전자류 23.8%의 순이다. 반대로 수입항공화물의 경우는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항공화물 품목별 수입과 비율(단위: 톤, %)
한국의 항공화물은 수출면에서는 섬유, 의류, 잡화, 컴퓨터, 전자제품, 기계, 전기 등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수입화물은 기계, 전자, 전기, 통신, 의약품 등의 비율이 높고 냉동 냉장을 요하는 품목이 수출화물보다 많은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전체 수출입화물 중 항공화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톤 기준으로 0.3%이지만 이를 금액기준으로 보면 수출 10.3%. 수입 16.1%로 수출입 평균으로 13.2%를 나타내고 있다. 금액기준으로 수출 16%, 수입 22%인 일본과 비교하면 한국의수출입화물 중 항공화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금액과 화물량 모두에서 낮다.
따라서 경제규모의 확대에 의해 항공화물의 급속한 증가와 항공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할 것이 예상된다. 한국의 항공화물의 운송수요의 증가추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항공화물 운송 수요추이(단위: 톤)
한국의 국제선 항공화물은 1990년-1995년 사이에 10.7%의 증가를 보였다. 증가요인의 품목특징으로서는 섬유제품, 의류, 전자제품, 반도체, 기계, 전기제품 등의 착실한 신장에 의한 것이 많다. 수출항공화물을 지역별로 보면 1980년대 말까지 미국, 일본지역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1985년부터 서서히 비율이 감소하여1994년에는 50%선을 맴돌고 있다. 이에 비해 동남아시아의 비율은 착실히 늘어나 1994년에는 23.4%를 차지했다.
한국의 국가별 수출항공화물 운송실적(단위: 톤)
이에 대해 한국의 국별 수입항공화물 운송실적을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국별 수입항공화물 운송실적(단위: 톤, %)
수입항공화물의 경우 수출의 경우와 같이 1994년 기준 미국과 일본이 61.5%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한국의 항공화물 품목별 수출화물량은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공항화물 품목별 수출화물량 비율단위(단위: 톤, %)
수출항공화물의 경우 섬유제품이 1994년 기준으로 전체의 38.0%를 점하고 있고, 다음에 잡화류 26.7%, 전자류 23.8%의 순이다. 반대로 수입항공화물의 경우는 아래의 표와 같다.
한국의 항공화물 품목별 수입과 비율(단위: 톤, %)
추천자료
해상보험과 국제운송
복합 및 항공운송업 현황
인천국제공항 Hub화 계획과 그에 따른 공항접근교통의 효율성 분석
인천국제공항과 일본 하네다공항의 마케팅 비교
항공화물 대리점과 항공 혼재업
[항공운송] 항공화물기의 분류, 단위탑재용기, 수출입항공화물의 운송, 항공화물 포워더, 항...
항공운송업 Ⅱ - 아시아나항공
[A+] 대한항공 마케팅 및 경영전략 (시장현황분석, SWOT, 7PS, STP분석, 경쟁사분석, 외부마...
[A+] 항공산업에서의 RFID - 정의, 이점, 도입의 필요성, 항공화물흐름, 관세청, 인천공항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대해서
항공 화물운송
[항공운임 종류] 항공운임제도와 종류
세부 퍼시픽-필리핀 민영 국제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