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수학 -일기 자료에서 찾을 수 있는 통계적・확률적 수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여름 엠티 최적의 날을 선정하라!
2. 기상의 변화-삼한사온은 옛말?
3. 지구, 얼마나 더워졌을까?
4. 올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일까?
5. 소감 및 느낀점

본문내용

-2.64
26
1.2
1.5
2.7
-5.9
1.6
0.22
0.2
1.4
-2.7
-3.3
-4.1
-1.70
27
0.0
-0.2
-1.7
-4.1
1.3
-0.94
1.4
0.7
-1.4
-1.9
-0.2
-0.28
28
-3.0
-3.0
-8.1
-0.4
2.1
-2.48
1.3
0.2
-0.8
1.5
-0.4
0.36
29
-2.6
-1.7
-11.7
2.3
-0.8
-2.90
4.5
1.0
-0.2
3.3
-2.1
1.30
30
-0.5
-0.5
-7.2
1.7
-7.0
-2.70
5.0
-0.4
-2.2
5.8
1.5
1.94
31
-0.3
-1.8
-2.5
1.9
-7.3
-2.00
3.8
-3.7
-4.2
6.1
1.8
0.76
#결론 1961년도부터 2010년까지 일별 기온을 5개년으로 평균을 내어 분석해본 결과 1월 한 달 동안 추운 날과 비교적 따뜻한 날이 계속적으로 반복되었으며 주기는 짧으면 3일에서 길면 10일 정도가 되었다. 기온변화가 절대적으로 3일간 추웠다, 4일 간 따뜻했다를 보이는 것은 아니더라도 대체적으로 삼한사온의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지구, 얼마나 더워졌을까?
#개요
산업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시각자료로 제시하여 그 심각성을 각성시킨다.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으로, 온실가스에 의한 온실효과(green house effect)가 그 원인으로 지적된다. 즉 인간의 활동, 특히 화석연료를 태울 때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증가로 지구의 온도가 계속 상승한다는 것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사전, 검색어: 지구 온난화>
#조사방법
1960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도별 우리나라 서울의 1월 평균 기온을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로 작성하여 그 변화 추세를 나타낸다.
#자료
1960~2010년까지의 1월 서울지역 평균기온
연도(년)
기온(℃)
연도(년)
기온(℃)
연도(년)
기온(℃)
연도(년)
기온(℃)
연도(년)
기온(℃)
1960
-3.3
1970
-4.8
1980
-3.7
1990
-3.2
2000
-2.1
1961
-5.2
1971
-2.4
1981
-7
1991
-2.6
2001
-4.2
1962
-3.4
1972
0.8
1982
-3.6
1992
-0.2
2002
0.3
1963
-9.2
1973
0.4
1983
-1.7
1993
-1.9
2003
-2.6
1964
-0.1
1974
-2.5
1984
-5.9
1994
-0.9
2004
-1.6
1965
-4.2
1975
-2.7
1985
-5.9
1995
-2.1
2005
-2.5
1966
-4.7
1976
-3.8
1986
-5.4
1996
-2.2
2006
-0.2
1967
-4.5
1977
-6.7
1987
-3
1997
-3.3
2007
0.4
1968
-4
1978
-2.4
1988
-2.1
1998
-1.4
2008
-1.7
1969
-3.5
1979
0.9
1989
0.8
1999
-0.8
2009
-2
#결론
미미하지만 1월 기온이 평균적으로 소폭 상승하였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온도변화가 누적될 경우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겠다.
4. 올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일까?
#개요
매년 크리스마스에는 모두가 눈이 올지 안 올지를 궁금해 한다. 기업에서는 크리스마스에 눈이 오면 상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내걸기도 한다. 그렇다면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 확률은 과연 어느 정도 되는 것일까? 1980년 부터 크리스마스 이브날과 크리스마스 당일 날 눈이 내렸었는지를 대표 지역별로 분석해서 눈이 올 확률을 알아보자.
#조사방법
지난 30년간 크리스마스 이브날과 당일날 서울, 인천, 대관령, 부산지역에 눈이 왔는지를 표시하여 화이트 크리스마스가 될 확률을 구해본다.
지역
년도
서울
인천
대관령
부산
24일
25일
24일
25일
24일
25일
24일
25일
1980
O
O
O
O
1981
1982
O
O
1983
O
O
O
1984
O
1985
O
O
1986
1987
1988
1989
O
O
1990
O
O
1991
O
1992
O
1993
1994
O
1995
O
O
1996
1997
O
1998
1999
O
O
O
O
O
2000
O
O
O
O
O
O
2001
O
O
O
2002
O
O
O
2003
2004
O
O
2005
O
O
O
2006
2007
2008
2009
O
O
2010
합계
5
7
5
6
10
11
1
0
확률
0.16
0.23
0.16
0.19
0.32
0.35
0.03
0
#결론
조사한 모든 지역에서 화이트 크리스마스가 될 확률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특히 부산과 같은 남쪽지역에서는 일생동안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한 번 볼 수 있을지도 장담하기 어렵다. 그러나 비교적 눈이 자주내리는 대관령을 찾아간다면 세 번에 한 번은 크리스마스에 눈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인천보다는 서울에서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 확률이 약간 높게 나왔으므로, 눈을 보길 바란다면 서울로 가자!
<참고문헌>
기상청 관측자료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past_table.jsp
한국의 기후, 기상청기후국, 2004, 서울:기상청기상연구소
근대 기상 100년사, 기상청기후국, 2004, 서울:기상청
5. 소감 및 느낀점
이번 과제를 하면서 스스로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는 등의 어려운 점이 많았지만 다 끝내고 나니 재미있고 참 기억에 많이 남는 활동이란 걸 느꼈습니다. 주제 선정을 할 때 생활 속 곳곳의 수학을 조사하며 내 손과 발이 닿는 모든 것이 수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일기자료를 찾고 표로 정리하는 일이 쉬운 일만은 아니었습니다. 비록 정확하고 타당한 예측이 아닐지라도 저만의 방식으로 생각해보고 탐구하기위해 노력했습니다. 단순한 과거의 일기 자료만을 가지고 미래를 예측한다는 게 의미 없는 일일수도 있지만 정답이 필요 없다는 교수님의 말씀을 듣고 끝까지 최선을 다했습니다. 오랜 기간의 과제를 끝마치고 난 뒤 주위의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비판하고 원리를 파헤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1.11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3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