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호한다. 가끔 공기에 환부를 노출시킨다.
② 선천성 식도 폐색증/식도 기관루
. 정의: 태아발달 시기에 인두에서 위에 연속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식도의 결함이 있는 상태이다.
. 간호원칙(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계획된 간호를 적용하고, 가능한 합병증상을 관찰한다. 문합부분을 저해하지 않고, catheter를 얼마나 깊이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여 흡입관에 표시하고 자주 흡인하며, 기도폐쇄 증상을 관찰한다. 환아의 자세를 자주 교환하고, 폐가 완전히 팽창할 수 있도록 울게 자극한다. 관찰, 보온, 습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육기 사용을 계속한다. 흡인기, catheter, 산소 후두경 등 응급기구를 갖춘다.
- 산소부족, 무호흡, 분비물,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기도를 유지한다.
- 빠른 치유와 성장발달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 문합수술 후 6∼14일에 경구섭취가 허용된다. 환아가 삼키는 시간이 허용되도록 똑바로 안혀서 천천히 먹이고, 자주 트림을 시킨다. 위루설치술(gastrostomy)후의 영양공급은 수술 후 수 시간 내에 할 수 있으며 소독된 주사기 barrel을 위루관에 끼우고 따뜻한 처방우유를 넣고 걸쇄(clemp)를 제거한다.(이는 위 속에 공기가 들어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그리고 위 속에 중력에 의해 천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주사기를 상승시킨다. 특히, 1세 이하의 환아에게는 위루관을 clamp하지 않고 열어두며, 또한 환아 체부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구토증이 초래될 때 안전판(safety valve)의 역할을 하게 한다. 턱 운동과 정상적인 빠는 욕구의 충족 및 근육의 이완을 돕기 위해서 위루영양을 하는 동안 환아에게 멸균된 인공젖꼭지(pacifier)을 빨게 한다. 가능한 한 영양을 공급하는 동안이나 혹은 후에 환아를 안아 주어 정서적 만족감을 갖도록 하고 위루설치술 부위는 항상 깨끗이 닦고, 아연화연고 및 aluminum연고를 발라 주어 피부의 자극을 방지한다.
③ 선천성 횡경막 탈장
. 정의: 복강 내 여러 장기가 횡경막의 개구부를 통해 흉곽 내로 탈장된 상태를 뜻한다.
. 간호원칙
- (수술 전 간호)위장 흡인(gastric suction)은 위장간으로 연하된 공기와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어져야 한다. 횡경막 위에 있는 복강 내 장기의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환아의 머리를 상승시킨다. 환아를 환측으로 눕혀서 정상적인 폐가 충분히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수술 후 간호)수술 후 복부팽만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시 위장 흡인을 수행하고 필요시에는 혈장이나 전혈을 수혈해 주고, 수액공급은 환아가 복부팽만 없이 구강으로 섭취할 수 있을 때까지 비경구적으로 투여한다.
- (수술 후 간호)영양공급은 수술 2∼3일 후에 위관영양으로 줄 수 있는데, 위과나 영양공급은 환아가 젖꼭지를 빨므로써 올 수 있는 공기 연하를 방지해 준다.
④ 제대탈장, 복벽균열/복벽개열증
. 정의: 태아기 6∼7주에 복강 내용물이 복강에 비해 많으므로, 일단 복강 내용물이 제대를 통해 탈출되었다가 다시 복강이 커지면 복강내로 환원되는 것이 정상인데, 이 환원도는 과정에서 제륜(umblical ring)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서 복부장기가 제대로 탈출된 상태
. 간호원칙
- 소독된 식염수로 적신 가제를 제헤르니아 부위에 건조되지 않도록 덮어준다.
- 장이 부풀어오르는 것을 막는다;silastic ponch로 상처를 싸주면 장이 압축되어 조금씩 줄어든다.
- 정맥으로 영양 공급시킨다.
⑤ 선천성 장폐색증
ⅰ 선천성 장폐색증
. 정의: 십이지장이나 공장, 회장이 폐색되는 것이다.
. 간호원칙
- 수술 전에는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산소공급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보육기 내에서 치료 및 간호를 시행한다. 심한 구토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흡인성 폐염을 방지하고 복강 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관을 삽입하여 위의 내용물을 제거한다. 정맥절개술을 시행하여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해 주고 비타민 C와 K를 투여하며, 항생제 요법을 시행한다.
- 수술 후에는 올 수 있는 합병증을 관찰해야 한다. 특히, 문합한 부위가 새어서 오는 복막염, 증상, 환부장유착으로 인해 다시 폐색된 증상, 수술, 상처, 감염, 증상, 흡인으로 인해 초래되는 2차적 감염(폐염, 무기폐) 증상 유무를 잘 관찰해야 한다.
ⅱ 선천성 거대결장
. 정의: 대변이 결장에 괴어 단단한 변비가 생기고 복부는 이상 팽만을 일으키는 것으로, 증세는 출생 후 곧 배변이 나쁘고 그대로 두면 수주일 동안 배변이 없으나 관장(灌腸)하면 배변된다. 복부는 차차 팽만하여 보기에 맹꽁이의 배 모양으로 되며 영양은 나빠져서 쇠약해진다. 그러나 가벼운 경우에는 적당한 치료에 의하여 영양이 유지되며 잘 자란다.
. 간호원칙
- 수술, 관장 등에 의해 배변하도록 하며, 동시에 부교감신경자극제를 쓴다.
ⅲ 폐쇄나 협착
. 정의: 이것은 회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그 외 십이지장이나 공장, 결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담즙이 섞인 구토로 일반적으로 태변배설의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 간호원칙
-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는데,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여 수술 성공률이 약 95%정도이다.
ⅳ 태변성 장폐색증
. 정의: 거의가 췌장효소 결핍을 가진 낭종성 섬유증(cystic fibrosis)의 한 증상으로 회장이 태변덩어리로 막혀 초래되는 폐색증이다.
. 간호원칙
- 삼투압 높은 액(gastrografin)으로 관장치료를 시도하고, 여의치 않으면 외과적 수술을 한다.
ⅴ 장 이상회전, 중장 염전증
. 정의: 정상적으로 태생기 약 6주 경이 되면 중장의 급격한 발육으로 복강 밖으로 소위 생리적 탈장이 일어난다. 이 시기는 위와 십이지장이 90도 회전이 일어난 다음이다. 8∼9주 경이 되면 다시 복강 내로 환원되는데, 이 때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회맹장 구조가 정상으로 고정되며, 맹장은 복부 우측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장간막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의 어느 한 단계라도 정지되면 장의 이상회전증이 오게 된다.
. 간호원칙
- 염전증인 경우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② 선천성 식도 폐색증/식도 기관루
. 정의: 태아발달 시기에 인두에서 위에 연속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식도의 결함이 있는 상태이다.
. 간호원칙(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계획된 간호를 적용하고, 가능한 합병증상을 관찰한다. 문합부분을 저해하지 않고, catheter를 얼마나 깊이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여 흡입관에 표시하고 자주 흡인하며, 기도폐쇄 증상을 관찰한다. 환아의 자세를 자주 교환하고, 폐가 완전히 팽창할 수 있도록 울게 자극한다. 관찰, 보온, 습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육기 사용을 계속한다. 흡인기, catheter, 산소 후두경 등 응급기구를 갖춘다.
- 산소부족, 무호흡, 분비물,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기도를 유지한다.
- 빠른 치유와 성장발달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절한 영양을 공급한다. 문합수술 후 6∼14일에 경구섭취가 허용된다. 환아가 삼키는 시간이 허용되도록 똑바로 안혀서 천천히 먹이고, 자주 트림을 시킨다. 위루설치술(gastrostomy)후의 영양공급은 수술 후 수 시간 내에 할 수 있으며 소독된 주사기 barrel을 위루관에 끼우고 따뜻한 처방우유를 넣고 걸쇄(clemp)를 제거한다.(이는 위 속에 공기가 들어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그리고 위 속에 중력에 의해 천천히 들어갈 수 있도록 주사기를 상승시킨다. 특히, 1세 이하의 환아에게는 위루관을 clamp하지 않고 열어두며, 또한 환아 체부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구토증이 초래될 때 안전판(safety valve)의 역할을 하게 한다. 턱 운동과 정상적인 빠는 욕구의 충족 및 근육의 이완을 돕기 위해서 위루영양을 하는 동안 환아에게 멸균된 인공젖꼭지(pacifier)을 빨게 한다. 가능한 한 영양을 공급하는 동안이나 혹은 후에 환아를 안아 주어 정서적 만족감을 갖도록 하고 위루설치술 부위는 항상 깨끗이 닦고, 아연화연고 및 aluminum연고를 발라 주어 피부의 자극을 방지한다.
③ 선천성 횡경막 탈장
. 정의: 복강 내 여러 장기가 횡경막의 개구부를 통해 흉곽 내로 탈장된 상태를 뜻한다.
. 간호원칙
- (수술 전 간호)위장 흡인(gastric suction)은 위장간으로 연하된 공기와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어져야 한다. 횡경막 위에 있는 복강 내 장기의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환아의 머리를 상승시킨다. 환아를 환측으로 눕혀서 정상적인 폐가 충분히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수술 후 간호)수술 후 복부팽만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시 위장 흡인을 수행하고 필요시에는 혈장이나 전혈을 수혈해 주고, 수액공급은 환아가 복부팽만 없이 구강으로 섭취할 수 있을 때까지 비경구적으로 투여한다.
- (수술 후 간호)영양공급은 수술 2∼3일 후에 위관영양으로 줄 수 있는데, 위과나 영양공급은 환아가 젖꼭지를 빨므로써 올 수 있는 공기 연하를 방지해 준다.
④ 제대탈장, 복벽균열/복벽개열증
. 정의: 태아기 6∼7주에 복강 내용물이 복강에 비해 많으므로, 일단 복강 내용물이 제대를 통해 탈출되었다가 다시 복강이 커지면 복강내로 환원되는 것이 정상인데, 이 환원도는 과정에서 제륜(umblical ring)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서 복부장기가 제대로 탈출된 상태
. 간호원칙
- 소독된 식염수로 적신 가제를 제헤르니아 부위에 건조되지 않도록 덮어준다.
- 장이 부풀어오르는 것을 막는다;silastic ponch로 상처를 싸주면 장이 압축되어 조금씩 줄어든다.
- 정맥으로 영양 공급시킨다.
⑤ 선천성 장폐색증
ⅰ 선천성 장폐색증
. 정의: 십이지장이나 공장, 회장이 폐색되는 것이다.
. 간호원칙
- 수술 전에는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산소공급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보육기 내에서 치료 및 간호를 시행한다. 심한 구토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흡인성 폐염을 방지하고 복강 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관을 삽입하여 위의 내용물을 제거한다. 정맥절개술을 시행하여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해 주고 비타민 C와 K를 투여하며, 항생제 요법을 시행한다.
- 수술 후에는 올 수 있는 합병증을 관찰해야 한다. 특히, 문합한 부위가 새어서 오는 복막염, 증상, 환부장유착으로 인해 다시 폐색된 증상, 수술, 상처, 감염, 증상, 흡인으로 인해 초래되는 2차적 감염(폐염, 무기폐) 증상 유무를 잘 관찰해야 한다.
ⅱ 선천성 거대결장
. 정의: 대변이 결장에 괴어 단단한 변비가 생기고 복부는 이상 팽만을 일으키는 것으로, 증세는 출생 후 곧 배변이 나쁘고 그대로 두면 수주일 동안 배변이 없으나 관장(灌腸)하면 배변된다. 복부는 차차 팽만하여 보기에 맹꽁이의 배 모양으로 되며 영양은 나빠져서 쇠약해진다. 그러나 가벼운 경우에는 적당한 치료에 의하여 영양이 유지되며 잘 자란다.
. 간호원칙
- 수술, 관장 등에 의해 배변하도록 하며, 동시에 부교감신경자극제를 쓴다.
ⅲ 폐쇄나 협착
. 정의: 이것은 회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그 외 십이지장이나 공장, 결장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담즙이 섞인 구토로 일반적으로 태변배설의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 간호원칙
-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는데,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여 수술 성공률이 약 95%정도이다.
ⅳ 태변성 장폐색증
. 정의: 거의가 췌장효소 결핍을 가진 낭종성 섬유증(cystic fibrosis)의 한 증상으로 회장이 태변덩어리로 막혀 초래되는 폐색증이다.
. 간호원칙
- 삼투압 높은 액(gastrografin)으로 관장치료를 시도하고, 여의치 않으면 외과적 수술을 한다.
ⅴ 장 이상회전, 중장 염전증
. 정의: 정상적으로 태생기 약 6주 경이 되면 중장의 급격한 발육으로 복강 밖으로 소위 생리적 탈장이 일어난다. 이 시기는 위와 십이지장이 90도 회전이 일어난 다음이다. 8∼9주 경이 되면 다시 복강 내로 환원되는데, 이 때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회맹장 구조가 정상으로 고정되며, 맹장은 복부 우측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장간막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의 어느 한 단계라도 정지되면 장의 이상회전증이 오게 된다.
. 간호원칙
- 염전증인 경우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위험산모 case study
임부의 산전간호
임부의 산전간호에 대한 책과 다른자료의 요약내용
고위험 신생아와 관련된 간호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RDS case report.hwp
고위험 임산부의 건강문제 및 신체·심리적 관리 방법
여성건강간호학 1,2장 자료 정리
nicu-미숙아케이스
고위험임부간호에 있어서의 최신간호에 관한 논문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신생아실] 당뇨병 어머니의 신생아 (IDM ; infant of diabetic mother) 케이스 스터디(CaseS...
미숙아(신생아) 황달 케이스 A++ 스터디, 사례연구, CASE STUDY (고빌리루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