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아우라’의 상실
Ⅲ. 맺음말
Ⅱ.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아우라’의 상실
Ⅲ. 맺음말
본문내용
다.
‘의식가치’와 ‘전시가치’는 벤야민이 지적한 예술 작품의 수용의 두 가지 양상이다. ‘전시가치’의 증가로 예술은 대중화된다. 그러나 대중화는 철저한 자본의 논리에 의해 폭력적으로 자행된다. 다만 느끼지 못할 뿐이다. 수많은 잡지와 영화의 종류, 과연 독자들이 취향에 따라 분석한 것인가, 아니면 자본에 의해 대중들이 분류된 것인가?
‘전시가치’를 중시하는 자본의 논리에 의해 기술이 적용되는 목록은 정해져 있다. 자본과 기술은 이 목록 안에서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내려고 한다. 그 결과는 똑 같지만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다. 동일성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것이다. 사극이나 현대 드라마나 영화의 기본 문법에는 항상 삼각관계가 있다. 형식만 다른 조폭 영화는 끊임없이 재생산되지만 내용은 변하지 않는다. 기술이 대중에게 가져다 준 비평가와 감상자로서의 자질 역시 목록 안에서 행해지고, 집단적 반응에 의해 개인의 반응은 제한된다.
모든 것은 변한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다. 전통은 하나의 유기체로 무엇인가 살아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 살아있기에 무엇인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다이즘은 새로운 창조를 위한 기존의 전통적인 형식의 파괴였다. 하지만 문화 산업에 의한 현대 영화는 이윤 창조를 위한 전통의 고수다.
벤야민은 기존의 전통적인 예술에 대한 혁명적 비판으로서 영화의 기능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영화를 꿈꾸었다. 그 중 하나가 독자와 작자의 관계 변화였다. 러시아 영화의 경우 배우가 곧 일하는 민중이라고 했지만 러시아 영화 역시 정치에 종속된 예술이 아니었던가? 서구 영화는 경제에 종속된 예술이라면.
‘의식가치’와 ‘전시가치’는 벤야민이 지적한 예술 작품의 수용의 두 가지 양상이다. ‘전시가치’의 증가로 예술은 대중화된다. 그러나 대중화는 철저한 자본의 논리에 의해 폭력적으로 자행된다. 다만 느끼지 못할 뿐이다. 수많은 잡지와 영화의 종류, 과연 독자들이 취향에 따라 분석한 것인가, 아니면 자본에 의해 대중들이 분류된 것인가?
‘전시가치’를 중시하는 자본의 논리에 의해 기술이 적용되는 목록은 정해져 있다. 자본과 기술은 이 목록 안에서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내려고 한다. 그 결과는 똑 같지만 다르게 표현하는 것이다. 동일성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것이다. 사극이나 현대 드라마나 영화의 기본 문법에는 항상 삼각관계가 있다. 형식만 다른 조폭 영화는 끊임없이 재생산되지만 내용은 변하지 않는다. 기술이 대중에게 가져다 준 비평가와 감상자로서의 자질 역시 목록 안에서 행해지고, 집단적 반응에 의해 개인의 반응은 제한된다.
모든 것은 변한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다. 전통은 하나의 유기체로 무엇인가 살아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 살아있기에 무엇인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다이즘은 새로운 창조를 위한 기존의 전통적인 형식의 파괴였다. 하지만 문화 산업에 의한 현대 영화는 이윤 창조를 위한 전통의 고수다.
벤야민은 기존의 전통적인 예술에 대한 혁명적 비판으로서 영화의 기능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영화를 꿈꾸었다. 그 중 하나가 독자와 작자의 관계 변화였다. 러시아 영화의 경우 배우가 곧 일하는 민중이라고 했지만 러시아 영화 역시 정치에 종속된 예술이 아니었던가? 서구 영화는 경제에 종속된 예술이라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