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칼빈의 인간론
1. 서언
2. 창조된 인간
3. 타락한 인간
4. 중생한 인간
5. 결언
칼빈의 구원론
1. 인간구원
2. 예정과 인간의 책임
3. 중생
4. 칭의
5. 성화
6. 궁극적 구원
1. 서언
2. 창조된 인간
3. 타락한 인간
4. 중생한 인간
5. 결언
칼빈의 구원론
1. 인간구원
2. 예정과 인간의 책임
3. 중생
4. 칭의
5. 성화
6. 궁극적 구원
본문내용
B. 중생의 필요성
i. 중생 곧, 하나님 나라
C. 중생의 방법
i. 성령의 역사
ii. 중생은 구원의 시작 만이 아니라 완성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이 있다
iii. 말씀 선포
D. 중생의 결과
i. 인격 전체가 새로워진다
ii. 의지가 새로워진다
iii. 믿음이 생긴다
4. 칭의
A. 믿음으로 구원함을 얻는다
B. 벌코프 “성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공로를 근거하고 죄인들을 의롭다고 선고하시는 법적 선포이다”
5. 성화
A. 칭의와 성화
i. 칭의는 밖에서 되어지는 것, 성화는 내부에서 되어지는 것
ii. 칭의는 원죄에서 놓이는 것, 성화는 자범죄에서부터 놓이는 것
iii. 칭의는 완성적인 것, 성화는 미완성적인 것
B. 인격과 성화
성화과 구원 문제와 관련은 없을지라도 이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i. 성화의 차이는 마음 속에 새겨진 그리스도의 형상의 정도를 말한다
ii. 성화의 차이는 영적 통찰력의 정도를 말한다
iii. 성화의 차이는 행보의 정도를 말한다
C. 성화의 방편
i. 하나님의 말씀
ii. 성례
iii. 극기 : 자기를 부정하는 일
6. 궁극적 구원
A. 궁극적인 구원은 칼빈의 5대 교리 중 하나
B. 성도의 견인
i. 중생 곧, 하나님 나라
C. 중생의 방법
i. 성령의 역사
ii. 중생은 구원의 시작 만이 아니라 완성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이 있다
iii. 말씀 선포
D. 중생의 결과
i. 인격 전체가 새로워진다
ii. 의지가 새로워진다
iii. 믿음이 생긴다
4. 칭의
A. 믿음으로 구원함을 얻는다
B. 벌코프 “성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공로를 근거하고 죄인들을 의롭다고 선고하시는 법적 선포이다”
5. 성화
A. 칭의와 성화
i. 칭의는 밖에서 되어지는 것, 성화는 내부에서 되어지는 것
ii. 칭의는 원죄에서 놓이는 것, 성화는 자범죄에서부터 놓이는 것
iii. 칭의는 완성적인 것, 성화는 미완성적인 것
B. 인격과 성화
성화과 구원 문제와 관련은 없을지라도 이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i. 성화의 차이는 마음 속에 새겨진 그리스도의 형상의 정도를 말한다
ii. 성화의 차이는 영적 통찰력의 정도를 말한다
iii. 성화의 차이는 행보의 정도를 말한다
C. 성화의 방편
i. 하나님의 말씀
ii. 성례
iii. 극기 : 자기를 부정하는 일
6. 궁극적 구원
A. 궁극적인 구원은 칼빈의 5대 교리 중 하나
B. 성도의 견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