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질풍노도, 사춘기의 비밀>
사춘기란?
사춘기와 기면병의 관계
수면패턴 변화
사춘기의 특징
도파민
쥐 실험
청소년기는 제일 외로움을 탄다
부모의 양육유형
<사춘기>
1. 정상적인 사춘기의 발달
2. 사춘기
3.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
4. 사춘기 호르몬 변화
5.사춘기 테스트
<결과>
사춘기란?
사춘기와 기면병의 관계
수면패턴 변화
사춘기의 특징
도파민
쥐 실험
청소년기는 제일 외로움을 탄다
부모의 양육유형
<사춘기>
1. 정상적인 사춘기의 발달
2. 사춘기
3.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
4. 사춘기 호르몬 변화
5.사춘기 테스트
<결과>
본문내용
는 반응이 약하나 사춘기가 진행되면서 현저하게 증가됩니다.
성장호르몬도 성선자극호르몬과 마찬가지로 파동적인 형태로 분비되는데 사춘기 중 특히 수면 시에 파동의 진폭이 증가하게 됩니다. 만약 성장호르몬의 분비 진폭의 증가가 적거나 빈도가 적으면 성장은 천천히 일어나게 됩니다. 성장호르몬의 파동적 분비는 성장호르몬 분비호르몬에 의하여 촉진되며 소마토트로핀 분비억제호르몬(somatotropin releasing-inhibiting hormone)에 의하면 억제됩니다. 프로락틴도 사춘기에 증가하고 수면중 더욱 증가하는 현상을 보입니다.
3) 에스트로젠(estrogen)
사춘기 시작과 더불어 난포자극호르몬이 서서히 증가함에 따라 10∼12세부터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젠도 꾸준히 증가하여 일반적으로 초경이 시작되는 태너(Tanner) 4기가 되면 성인 수준에 도달합니다. 그리고 사춘기 후기에 가면 황체형성호르몬 분비폭발(surge)을 일으킬 정도의 대량의 에스트로젠을 분비하게 되어 양성 되먹임이 작동을 시작하여 배란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보통 초경 이후 12∼18개월 동안은 무배란성 월경으로 계속되다가 사춘기의 마지막 내분비적 변화로 에스트로젠의 양성 되먹임 기전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사춘기 여성의 약 25∼50%에서는 초경 이후 4년이 지날 때가지도 무배란성 월경을 보이기도 합니다.
4) 난소 안드로젠(androgen)
테스토스테론 및 안드로스테네디온 등은 난소에서생성되는 안드로젠으로서 사춘기에 서서히 증가합니다.
5) 프로제스테론
초경은 보통 무배란성이며 초경 이후 12∼18개월이 지날 때까지도 무배란성 월경이기 때문에 사춘기 여성의 프로제스테론은 매우 낮은 수치를 보입니다. 그러나 시상하부의 양성 되먹임 중추가 성숙되면 비로소 황체형성호르몬 분비폭발(surge)이 나타나고 따라서 배란성 월경을 하게 됨으로써 프로제스테론치가 증가하게 됩니다.
6) 부신 안드로젠(androgen)
DHEA, DHEAS 및 안드로스테네이온(ADD) 등은 부신에서 분비되는 안드로젠으로서 여성에서는 8세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13∼15세까지 서서히 증가합니다. 이들 부신 안드로젠은 부신사춘기(adrenarche)를 유발합니다.
5.사춘기 테스트
1. 부모님과 이야기가 통하지 않는다.
2. 엄마한테 잔소리 들으면 짜증 난다.
3. 거짓말을 한적이 많다.
4. 눈물이 자주난다.
5. 거울을 자주본다.
6. 옷차림에 신경쓰인다.
7. 연예인 팬클럽 같은데에 가입을 많이 했다.
8. 친구들과 문자나 전화를 자주한다.
9. 일을 결정할때 친구말을 잘 따른다.
10. 부모님보단 친구와 같이 있는게 좋다.
11. 친구 사귀기가 힘들어진다.
12. 쉽게 화가 난다.
13. 동생과 자주 싸운다.
14. 이성에게 관심이 간다.
15. 내 몸에 대해 점점 알고 싶어진다.
16. 우울해진다.
17. 감수성이 예민해졌다.
<결과>
0~5개 : 사춘기는~저 멀리~
6~9개 : 사춘기 준~비~
10~13개 : 사춘기 시~작!! 땅!
14~17개 : 사춘기 진행중....
성장호르몬도 성선자극호르몬과 마찬가지로 파동적인 형태로 분비되는데 사춘기 중 특히 수면 시에 파동의 진폭이 증가하게 됩니다. 만약 성장호르몬의 분비 진폭의 증가가 적거나 빈도가 적으면 성장은 천천히 일어나게 됩니다. 성장호르몬의 파동적 분비는 성장호르몬 분비호르몬에 의하여 촉진되며 소마토트로핀 분비억제호르몬(somatotropin releasing-inhibiting hormone)에 의하면 억제됩니다. 프로락틴도 사춘기에 증가하고 수면중 더욱 증가하는 현상을 보입니다.
3) 에스트로젠(estrogen)
사춘기 시작과 더불어 난포자극호르몬이 서서히 증가함에 따라 10∼12세부터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젠도 꾸준히 증가하여 일반적으로 초경이 시작되는 태너(Tanner) 4기가 되면 성인 수준에 도달합니다. 그리고 사춘기 후기에 가면 황체형성호르몬 분비폭발(surge)을 일으킬 정도의 대량의 에스트로젠을 분비하게 되어 양성 되먹임이 작동을 시작하여 배란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보통 초경 이후 12∼18개월 동안은 무배란성 월경으로 계속되다가 사춘기의 마지막 내분비적 변화로 에스트로젠의 양성 되먹임 기전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사춘기 여성의 약 25∼50%에서는 초경 이후 4년이 지날 때가지도 무배란성 월경을 보이기도 합니다.
4) 난소 안드로젠(androgen)
테스토스테론 및 안드로스테네디온 등은 난소에서생성되는 안드로젠으로서 사춘기에 서서히 증가합니다.
5) 프로제스테론
초경은 보통 무배란성이며 초경 이후 12∼18개월이 지날 때까지도 무배란성 월경이기 때문에 사춘기 여성의 프로제스테론은 매우 낮은 수치를 보입니다. 그러나 시상하부의 양성 되먹임 중추가 성숙되면 비로소 황체형성호르몬 분비폭발(surge)이 나타나고 따라서 배란성 월경을 하게 됨으로써 프로제스테론치가 증가하게 됩니다.
6) 부신 안드로젠(androgen)
DHEA, DHEAS 및 안드로스테네이온(ADD) 등은 부신에서 분비되는 안드로젠으로서 여성에서는 8세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13∼15세까지 서서히 증가합니다. 이들 부신 안드로젠은 부신사춘기(adrenarche)를 유발합니다.
5.사춘기 테스트
1. 부모님과 이야기가 통하지 않는다.
2. 엄마한테 잔소리 들으면 짜증 난다.
3. 거짓말을 한적이 많다.
4. 눈물이 자주난다.
5. 거울을 자주본다.
6. 옷차림에 신경쓰인다.
7. 연예인 팬클럽 같은데에 가입을 많이 했다.
8. 친구들과 문자나 전화를 자주한다.
9. 일을 결정할때 친구말을 잘 따른다.
10. 부모님보단 친구와 같이 있는게 좋다.
11. 친구 사귀기가 힘들어진다.
12. 쉽게 화가 난다.
13. 동생과 자주 싸운다.
14. 이성에게 관심이 간다.
15. 내 몸에 대해 점점 알고 싶어진다.
16. 우울해진다.
17. 감수성이 예민해졌다.
<결과>
0~5개 : 사춘기는~저 멀리~
6~9개 : 사춘기 준~비~
10~13개 : 사춘기 시~작!! 땅!
14~17개 : 사춘기 진행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