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라디오 CM 제작
Ⅰ. 라디오 CM 카피의 특질
Ⅱ. 라디오 CM의 표현방식
1. 스트레이트 형식
2. 대화형식
3. 드라마 형식
4. 효과음형식
5. 노래형식
6. 테스티모니얼 형식
7. 주고받기형식
8. 기타 형식
1) 뮤지컬 형식
2) 토론형식
3) 인터뷰 형식
4) 애드리브 형식
Ⅲ. 라디오 광고 제작과정
1. 사전제작단계
2. 제작단계
1) 마이크의 사용
2) 컨트롤보드
3. 사후제작단계
Ⅰ. 라디오 CM 카피의 특질
Ⅱ. 라디오 CM의 표현방식
1. 스트레이트 형식
2. 대화형식
3. 드라마 형식
4. 효과음형식
5. 노래형식
6. 테스티모니얼 형식
7. 주고받기형식
8. 기타 형식
1) 뮤지컬 형식
2) 토론형식
3) 인터뷰 형식
4) 애드리브 형식
Ⅲ. 라디오 광고 제작과정
1. 사전제작단계
2. 제작단계
1) 마이크의 사용
2) 컨트롤보드
3. 사후제작단계
본문내용
다면~
아몬드 봉봉처럼 고소한 사랑
여1: 초콜릿처럼 진한 사랑
여2 : 체리쥬빌레처럼 달콤한 사랑, 아~
SE 쿵!
여1 : 야! 꿈 깨고 먹어
NA 골라먹는 재미가 있다
배스킨라빈스 31
3) 인터뷰 형식
흔히 거리 등에서 이루어지는데, 인터뷰한 것을 CM 속에 도입하는 방법이다.
여 : 그냥 굴비 주세요~하면
영광굴비로 주나요?
그냥 소고기 한 근~하면 한우로 한 근 주나요?
엔진오일도 그냥 엔진오일~하면 지크로 갈아주냐구요.
지크는 기름도 절약된다는데‥‥
SE 피아노소리
NA 소리가 좋은 엔진오일, 지크
여 “ 지크! 한 마디면 되는데‥‥
4) 애드리브 형식
탤런트나 일반인이 CM을 애드리으로(ad lib : 즉흥적 대사)하는 방법이다.
안녕하세요? 카운트다운 카피라이터 차상은입니다. 카운트다운 라디오 시엠을 여러분과 같이 만들고 싶어요. 카피를 써서 제 매매에 직접 녹음해 주세요. 012-214-0409, 잘 만들면 진짜 방송 뜨는 거예요?
유니텔 아이디 패선발전으로 메일도 받습니다. 꼭이요! 카운트다운
III. 라디오 광고 제작과정
라디오 광고는 흔히 스폿(spot) 광고라고 가장 신속하고 간단하며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광고 중의 하나이다. 녹음광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3단계가 필요하다.
(1) 사전제작단계
사전제작단계에서 선임된 라디오 프로듀서는 먼저 비용을 예측하고 광고주에게 이 비용에 대한 예산의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 음향의 최상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음향감독, 기술자, 유명한 성우와 최신장비가 필요하다. 광고제작에 음악이 필요할 경우에 음악감독, 연주자, 가수들도 활용해야 한다. 광고의 녹음을 위한 모든 준비가 이루어질 때까지 감독은 리허설을 한다.
(2) 제작단계
1) 마이크의 사용
라디오 방송에 있어서 소리, 즉 말 음악 효과 등은 대개 마이크의 선택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그 질감이 결정되므로 효과적인 소리를 얻기 위해서는 마이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소리를 전류로 변조시키는 작용을 하는 마이크는 방송에 있어서 소리를 전달하는 기계적인 장치로써 가장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이크는 소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선택에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2) 컨트롤보드
컨트롤보드(control board)는 라디오 방송의 중추신경이라고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소리는 마이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자연음만이 아니라 녹음기를 통하여 재생되는 소리, 턴테이블이 디스크에서 재생되는 음악과 소리, 전화선으로 전달되는 소리 등이 복합된 것이다. 컨트롤보드는 이러한 여러 소리를 조화 있게 배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좋은 음향을 송신기에 보내 준다.
컨트롤보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그 기계적인 기능도 차이가 있지만, 고유한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다. 즉 컨트롤보드는 스위치로 음량을 조절하는데 귀로 정확하게 음량의 고저를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측정기가 부착되어 있다. 내부에는 진공관과 여러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것들이 기능으로 컨트롤보드로 들어오는 소리가 증폭되어 송신기로 보내지고 진행을 확인하기 위해 조정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와 다른 외부기기로 보내지는 것이다.
(3) 사후제작단계
라디오 광고는 제품의 특성과 청취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수차례 녹음되고, 그 중 가장 좋은 것들을 선택하게 된다. 음악, 음향, 음성은 대개 따로 녹음 후 믹싱(mixing)되며, 제작단계나 마무리단계에서 다듬어진다. 이러한 과정이 끝난 후의 최종 녹음본을 완성하게 된다. 이 완성된 제작물을 마스터 테이프라고 한다. 이 마스터 테이프를 복사하여 각 방송국에 보내어 광고방송을 하게 된다.
아몬드 봉봉처럼 고소한 사랑
여1: 초콜릿처럼 진한 사랑
여2 : 체리쥬빌레처럼 달콤한 사랑, 아~
SE 쿵!
여1 : 야! 꿈 깨고 먹어
NA 골라먹는 재미가 있다
배스킨라빈스 31
3) 인터뷰 형식
흔히 거리 등에서 이루어지는데, 인터뷰한 것을 CM 속에 도입하는 방법이다.
여 : 그냥 굴비 주세요~하면
영광굴비로 주나요?
그냥 소고기 한 근~하면 한우로 한 근 주나요?
엔진오일도 그냥 엔진오일~하면 지크로 갈아주냐구요.
지크는 기름도 절약된다는데‥‥
SE 피아노소리
NA 소리가 좋은 엔진오일, 지크
여 “ 지크! 한 마디면 되는데‥‥
4) 애드리브 형식
탤런트나 일반인이 CM을 애드리으로(ad lib : 즉흥적 대사)하는 방법이다.
안녕하세요? 카운트다운 카피라이터 차상은입니다. 카운트다운 라디오 시엠을 여러분과 같이 만들고 싶어요. 카피를 써서 제 매매에 직접 녹음해 주세요. 012-214-0409, 잘 만들면 진짜 방송 뜨는 거예요?
유니텔 아이디 패선발전으로 메일도 받습니다. 꼭이요! 카운트다운
III. 라디오 광고 제작과정
라디오 광고는 흔히 스폿(spot) 광고라고 가장 신속하고 간단하며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광고 중의 하나이다. 녹음광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3단계가 필요하다.
(1) 사전제작단계
사전제작단계에서 선임된 라디오 프로듀서는 먼저 비용을 예측하고 광고주에게 이 비용에 대한 예산의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 음향의 최상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음향감독, 기술자, 유명한 성우와 최신장비가 필요하다. 광고제작에 음악이 필요할 경우에 음악감독, 연주자, 가수들도 활용해야 한다. 광고의 녹음을 위한 모든 준비가 이루어질 때까지 감독은 리허설을 한다.
(2) 제작단계
1) 마이크의 사용
라디오 방송에 있어서 소리, 즉 말 음악 효과 등은 대개 마이크의 선택과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그 질감이 결정되므로 효과적인 소리를 얻기 위해서는 마이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소리를 전류로 변조시키는 작용을 하는 마이크는 방송에 있어서 소리를 전달하는 기계적인 장치로써 가장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이크는 소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선택에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2) 컨트롤보드
컨트롤보드(control board)는 라디오 방송의 중추신경이라고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소리는 마이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자연음만이 아니라 녹음기를 통하여 재생되는 소리, 턴테이블이 디스크에서 재생되는 음악과 소리, 전화선으로 전달되는 소리 등이 복합된 것이다. 컨트롤보드는 이러한 여러 소리를 조화 있게 배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좋은 음향을 송신기에 보내 준다.
컨트롤보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그 기계적인 기능도 차이가 있지만, 고유한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다. 즉 컨트롤보드는 스위치로 음량을 조절하는데 귀로 정확하게 음량의 고저를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측정기가 부착되어 있다. 내부에는 진공관과 여러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것들이 기능으로 컨트롤보드로 들어오는 소리가 증폭되어 송신기로 보내지고 진행을 확인하기 위해 조정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와 다른 외부기기로 보내지는 것이다.
(3) 사후제작단계
라디오 광고는 제품의 특성과 청취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수차례 녹음되고, 그 중 가장 좋은 것들을 선택하게 된다. 음악, 음향, 음성은 대개 따로 녹음 후 믹싱(mixing)되며, 제작단계나 마무리단계에서 다듬어진다. 이러한 과정이 끝난 후의 최종 녹음본을 완성하게 된다. 이 완성된 제작물을 마스터 테이프라고 한다. 이 마스터 테이프를 복사하여 각 방송국에 보내어 광고방송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