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실험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3. 실험방법
4. 주의사항
5. 실험결과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방법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3. 실험방법
4. 주의 사항
5. 실험 결과
6. 고찰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3. 실험방법
4. 주의사항
5. 실험결과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방법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3. 실험방법
4. 주의 사항
5. 실험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 시료를 24±4시간 동안 실내 온도의 물 속에 담가 골재가 습윤상태가 되도록 한다..
f. 시료를 꺼내어 마른 수건으로 표면의 물기를 닦아내 표면 건조포화 상태로 만든다.
표면건조 포화상태 : 손바닥으로 잡았다 놓아서 손바닥이 약간 습윤한 정도 상태
<비중 실험>
a. 철망태와 갈고리의 물 속 무게를 단다.
※ 철망태는 물에 잠겨야 한다.
b. 철망태에 시료를 넣고, 물속에서 전체 무게를 단다.
※ 물통 속의 물의 높이는 일정하도록 유의한다.
비중(표면건조포화상태)
c. 물속의 철망태와 시료의 전체무게에서 철망태의 무게를 빼서 수중에서의 시료의 무게(B)를 구한다.
D : 비중
A : 표면 건조포화상태의 시료의 중량 (g)
B : 수중에서의 시료의 중량 (g)
<흡수율 실험>
a. 시료를 건조로에 넣고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절대건조상태의 무게를 측정한다.
b, 표건상태의 시료 무게와 절건상태의 무게를 이용 흡수률을 계산한다.
흡수률
Q : 흡수률 (%)
A :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시료의 중량 (g)
B : 절대건조상태의 시료의 중량 (g)
4. 주의 사항
- 시험은 두 번 이상 실시하고 그 측정값의 오차가 범위는 아래와 같다.
비중 시험: 0.02 이하, 흡수율 시험 : 0.05 이하
- 굵은 골재 시료 작업 중 골재 속의 물기가 마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No.4 체를 통과하는 것은 모두 버려야 한다.
- 수중중량 측정시는 언제나 수조 속에 철망태의 위치(수위)가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 흡수율은 시간와 온도에 민감한 수치임을 고려해야한다.
- 굵은 골재 시료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신속히 다음 실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5. 실험 결과
<비중 실험>
측 정 번 호
1
2
평 균
① 절대건조 상태의 중량
g
4002
4005
②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중량
4019
4020
③ 물속에서의 시료의 중량
2426
2453
④ 시험시 수중온도(t)
℃
15
15
⑤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ρ)
g/㎤
0.9991
0.9991
진비중 =
g/㎤
2.576
2.556
2.566
절대 건조포화 상태 비중 =
2.507
2.551
2.526
표면 건조포화 상태 비중 =
2.518
2.561
2.554
<흡수율 실험>
측 정 번 호
1
2
평균
① 표면건조 포상태의 중량
g
4019
4020
4019.5
② 절대건조 상태의 중량
4002
4005
4003.5
흡수율 =
%
0.425
0.375
0.4
6. 고찰
이번 실험은 실험 과정이 단순해서 오차가 다른 실험에 비해서 적은 실험이었던 것 같다.
그래도 오차가 생기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
우선 잔골재에서는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조금씩 오차 났다.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기가 쉽지 않아서 조금씩 오착가 생겼다. 또한 미세한 값이기는 하지만 잔골재의 시료의 표면 건조상태를 위해서 분무기로 물을 조금씩 뿌리면서 실험을 진행했다. 이 과정 속에서 미세한 오차가 생길 수 있었다.
굵은 골재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일 먼저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생겼다. 골재를 충분한 시간동안 물에 담궈두었다가 꺼내서 닦고 또 담궈두어서 골재의 표면을 표면건조 상태로 만들어야 하지만 실험 여건상 그럴 수 없었다. 그리고 그런다 하더라고 100%로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다.
골재의 비중과 흡수율 실험은 온도와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조금 더 정확한 실험값을 얻기위해서는 신경써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표면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빠른 시간동안 실험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무게를 잴 때 또한 정확한 값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조금씩 실험에 주의를 기울여서 최대한 정확한 값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해야 겠다.
f. 시료를 꺼내어 마른 수건으로 표면의 물기를 닦아내 표면 건조포화 상태로 만든다.
표면건조 포화상태 : 손바닥으로 잡았다 놓아서 손바닥이 약간 습윤한 정도 상태
<비중 실험>
a. 철망태와 갈고리의 물 속 무게를 단다.
※ 철망태는 물에 잠겨야 한다.
b. 철망태에 시료를 넣고, 물속에서 전체 무게를 단다.
※ 물통 속의 물의 높이는 일정하도록 유의한다.
비중(표면건조포화상태)
c. 물속의 철망태와 시료의 전체무게에서 철망태의 무게를 빼서 수중에서의 시료의 무게(B)를 구한다.
D : 비중
A : 표면 건조포화상태의 시료의 중량 (g)
B : 수중에서의 시료의 중량 (g)
<흡수율 실험>
a. 시료를 건조로에 넣고 하루 동안 건조시켜 절대건조상태의 무게를 측정한다.
b, 표건상태의 시료 무게와 절건상태의 무게를 이용 흡수률을 계산한다.
흡수률
Q : 흡수률 (%)
A :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시료의 중량 (g)
B : 절대건조상태의 시료의 중량 (g)
4. 주의 사항
- 시험은 두 번 이상 실시하고 그 측정값의 오차가 범위는 아래와 같다.
비중 시험: 0.02 이하, 흡수율 시험 : 0.05 이하
- 굵은 골재 시료 작업 중 골재 속의 물기가 마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No.4 체를 통과하는 것은 모두 버려야 한다.
- 수중중량 측정시는 언제나 수조 속에 철망태의 위치(수위)가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 흡수율은 시간와 온도에 민감한 수치임을 고려해야한다.
- 굵은 골재 시료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신속히 다음 실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5. 실험 결과
<비중 실험>
측 정 번 호
1
2
평 균
① 절대건조 상태의 중량
g
4002
4005
②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중량
4019
4020
③ 물속에서의 시료의 중량
2426
2453
④ 시험시 수중온도(t)
℃
15
15
⑤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ρ)
g/㎤
0.9991
0.9991
진비중 =
g/㎤
2.576
2.556
2.566
절대 건조포화 상태 비중 =
2.507
2.551
2.526
표면 건조포화 상태 비중 =
2.518
2.561
2.554
<흡수율 실험>
측 정 번 호
1
2
평균
① 표면건조 포상태의 중량
g
4019
4020
4019.5
② 절대건조 상태의 중량
4002
4005
4003.5
흡수율 =
%
0.425
0.375
0.4
6. 고찰
이번 실험은 실험 과정이 단순해서 오차가 다른 실험에 비해서 적은 실험이었던 것 같다.
그래도 오차가 생기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
우선 잔골재에서는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조금씩 오차 났다.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기가 쉽지 않아서 조금씩 오착가 생겼다. 또한 미세한 값이기는 하지만 잔골재의 시료의 표면 건조상태를 위해서 분무기로 물을 조금씩 뿌리면서 실험을 진행했다. 이 과정 속에서 미세한 오차가 생길 수 있었다.
굵은 골재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일 먼저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생겼다. 골재를 충분한 시간동안 물에 담궈두었다가 꺼내서 닦고 또 담궈두어서 골재의 표면을 표면건조 상태로 만들어야 하지만 실험 여건상 그럴 수 없었다. 그리고 그런다 하더라고 100%로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다.
골재의 비중과 흡수율 실험은 온도와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조금 더 정확한 실험값을 얻기위해서는 신경써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표면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빠른 시간동안 실험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무게를 잴 때 또한 정확한 값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조금씩 실험에 주의를 기울여서 최대한 정확한 값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해야 겠다.
추천자료
액체의비중
골재의 체가름 시험(2)
액체의 비중 측정
골재의 체가름 시험
[결과 레포트] 비중 및 밀도 측정
천칭에 의한 고체의 비중 측정 결과 레포트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분석. 실험4. 우유 및 유제품의 품질검사 - 우유의 비중, 우유의 산도, 우유의 Resazurin 시...
일반물리학실험 - 물질의 비중측정
[실험보고서] 비중의 측정
실험보고서 - 시멘트 비중시험 보고서[Specific gravity of hydraulic cement]
[입도분석시험] 비중계 시험
[건설재료실험]골재의 체가름시험(골재의 체가름실험 KSF 2502) 토목 재료 실험 입도분
철근 콘크리트 역학 실험 - 골재 체가름 시험 (KS F 2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