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부사 탐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의 부사 탐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사의 개념과 특징
2. 부사의 종류
2. 1. 성분 부사
2. 1. 1. 성상 부사
2. 1. 2. 지시 부사
2. 1. 3. 상징 부사
2. 1. 4. 부정 부사
2. 1. 5. 성분 부사의 결합 순서
2. 3. 문장 부사
2. 3. 1. 양태 부사
2. 3. 2. 접속 부사

본문내용

따라 순서가 정해진다고 한다. 그래서 문장 부사는 성분 부사에 선행하며, 성분 부사 중 지시 부사가 성상 부사나 부정 부사에 선행한다. 또한 성상 부사 중에서 ‘정도성’을 나타내는 부사는 거리나 방향,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에 선행한다.
(21) ㄱ. 그리 잘 못 노는 사람이 아닌데.
ㄴ. 비행기가 매우 높이 난다.
ㄷ. 어찌 그리 말을 잘 듣니?
ㄹ. 만일 그리 잘 안 먹는 아이라면 안 받겠다.
2. 3. 문장 부사
문장 부사란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로서 양태 부사(樣態副詞)와 접속 부사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2. 3. 1. 양태 부사
양태 부사는 화자의 태도나 주관적인 판단을 표현하는 부사이다. 최현배(2010:600)에서는 양태 부사를 ‘말재 어찌씨’라고 하면서 그 풀이말에 단정을 요구하는 어찌씨와 의혹이나 가설을 요구하는 어찌씨, 바람을 보이는 어찌씨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양태 부사는 반드시 그 뒤에 오는 풀이씨에 일정한 재(方式)를 요구한다. 즉, 양태 부사는 특정 어미나 문장 형식과 호응 관계를 보인다.
(22) ㄱ. 과연 그가 올까?
ㄴ. 결코 그는 오지 않는다.
(22-ㄱ)의 ‘과연’은 추측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말과 호응 관계를 보이며, (22-ㄴ)의 ‘결코’는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호응 관계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즉, 이러한 부사들은 활용 어미에 의해 표시되는 서법 범주인 양태성과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기에 양태 부사라고 하는 것이다.(남기심고영근:1996, 179)에서는 이러한 부사들이 한편, 양태 부사는 문장 안에서 이동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특성이 있다.
2. 3. 2. 접속 부사
접속 부사는 문장과 문장, 단어와 단어를 이어 주는 부사이다. 접속 부사는 양태 부사에 비해 문장 안에서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다.
(23) ㄱ. 우리가 갔다. 그리고 그들이 왔다.
ㄴ. 부사 및 관형사
접속 부사에는 (23-ㄱ)처럼 앞 문장의 의미를 뒤 문장에 이어 주면서 뒤 문장의 의미를 수식하는 경우가 있고, (23-ㄴ)처럼 단어와 단어를 이어 주는 부사가 있다. 하지만 허웅(1984:193)에서는 접속 부사를 독립어인 ‘홀로씨’의 한 가지인 이음씨라는 독립된 품사로 설정한다. 그 이유는 부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말과 긴밀히 이어져서 하나의 통어적 짜임새를 만드는 데 비해, 이음씨는 뒤의 말과 이어지는 힘이 매우 약하기 때문이다. 고영근구본관(2010:135)에서도 문장 부사는 다른 부사와 달리 수식 여부가 명확하지 않기에 접속 부사는 문장 성분의 분류에 있어서도 부사어가 아닌 독립어로 다루어진다고 한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7, 탑출판사
서정수, 『국어 문법』, 1994, 뿌리깊은나무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최현배, 『우리말본』, 1987, 정음사
허웅, 『국어학』, 1983, 샘 문화사
허웅,『20세기 우리말 형태론』, 2000, 샘 문화사
  • 가격20,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2.0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