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유통의 핵심개념] 유통의 구성요소와 기본개념 및 유통현상을 설명하는 유통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e-유통의 핵심개념

Ⅰ. 유통의 구성요소와 기본개념

Ⅱ. 유통현상을 설명하는 유통이론

1. 총 거래수 최소의 원칙
2. 분업의 원리
3. 집중준비의 원칙
4. 소매수레바퀴이론
5. 소매적응행동이론
6. 소매아코디언이론
7. 소매변증법이론
8. 소매공룡멸종이론
9. 소매수명주기이론

본문내용

이 개입하여 생산자나 소매상이 보관할 재고량을 일정량 분담함으로써 사회 전체적으로 상품의 보관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소매상과 생산자는 최소량만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가 전국의 소매점에 상품을 판매할 때까지 상품을 집중 보관한다면 생산자는 대규모 창고를 건립하여 많은 재고량을 부담해야 되고, 소매상도 자체 창고를 마련하여 운영해야 한다.
4. 소매수레바퀴이론
소매수레바퀴이론은 1958년 하버드대학의 맥나이어 교수에 의해 정립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소매기관들이 처음에는 혁신적인 형태에서 출발하여 성장하다가 새로운 혁신 유통업태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사라진다는 이론이다. 수레바퀴가 슁 없이 돌아가는 것처럼 유통시장은 항상 고가격, 고마진, 고서비스 방식으로 운영되는 기존의 소매업태가 저가격, 저이윤, 저서비스방식의 신규 소매 업태로 수레바퀴의 순환처럼 반복적으로 대체된다는 이론이다.
즉,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기존의 유통업체는 동일 유형의 신규 소매업체가 시장에 진입하여 이들 사이에 경쟁이 격화되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세련된 점포시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추구하게 되어 성숙기에는 고비용, 고가격, 고서비스 소매점의 위치에 서게 되고, 저가격, 저마진, 저서비스의 신규 업체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
소매수레바퀴가설은 유통시장에서 전문점이 백화점을 거쳐 할인점으로 대체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항상 저서비스만이 저가격을 가져올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는데 저가격은 저서비스뿐만 아니라 물류합리화와 같은 경영합리화 및 규모의 경제를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소매기관 변화의 소매수레바퀴이론
수레바퀴이론
5. 소매적응행동이론
유통시장은 다윈이 주장한 진화론의 자연도태설처럼 유통환경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한 소매업태는 살아남고, 유통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소매업태는 유통시장에서 도태된다는 이론이다. 소매업태가 변화무쌍한 소비자의 수요변화와 사회 경제적인 변화에 적응하면서 생성, 발전, 쇠퇴한다는 이론이다.
6. 소매아코디언이론
소매아코디언 이론은 1963년 브랜드(E. Brand)에 의해 전개되어 1966년 홀랜더(S. C Hollander)에 의해 명명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미국의 소매업의 발전을 판매되는 상품계열의 특성으로 설명한 이론이다.
소매기관 변화의 아코디언이론
즉,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구색이 넓은 소매업태에서 전문화된 좁은 상품구색의 소매업태로 변화되었다가 다시 넓은 상품구색의 소매업태로 변화되어 간다는 이론이다.
실제로 유통시장은 항상 다종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는 소매업태에서 한정적이고 전문적인 상품을 취급하는 소매업 태로 아코디언처럼 줄었다, 늘었다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발전하고 있다. 유통업체는 유행처럼 전문점에서 종합점으로, 다시 종합점에서 전문점으로 변화를 반복하고 있다.
7. 소매변증법이론
소매기관 변화의 변증법적 이론
유통시장은 헤겔의 정(正)-반-합(合)의 변증법이론처럼 기존의 소매업태가 새로운 소매업태(反)의 장점을 받아들여 혁신적인 소매 업 태(合)로 변해간다는 것이다.
기존의 소매업태는 혁신적인 소매업태를 완전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고 그 전략이나 전술만을 받아들여 새로운 소매업태로 변화를 거듭하게 된다.
1990년대 중반 미국에서 월마트가 주도하여 슈퍼마켓과 할인점을 결합하여 개발한 슈퍼센터(super center)라는 신업태는 전통적으로 식품부문이 강한 슈퍼마켓과 비식품부문의 저가격을 강점으로 가지고 있는 할인점을 결합한 신업태이다. 슈퍼마켓(正)과 할인점(反)의 복합 형태인 슈퍼센터(合)는 폭 넓은 식품부문의 제품구색과 생필품 등 비식품부문에서의 가격할인을 특색으로 한다. 또한 전문점(正)과 할인점(反)의 복합형태인 카테고리킬러(合)도 변증법이론의 설명할 수 있다.
8. 소매공룡멸종이론
소매공룡멸종이론에 따르면 기존 상거래만을 고집하는 소매업체들은 시장에서 점차 퇴출된다. 공룡처럼 느리고 과거의 생존 방식에 너무 집착하기 때문이다.
9. 소매수명주기이론
소매수명주기이론은 메이슨(J. B. Mason)과 메이어(Morris L. Mayer)에 의해 정립된 이론이다. 소매수명주기이론은 어떤 신제품이 시장에 도입되고 보급, 발전되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가 다른 신제품의 개발 등에 따라 판매량이 줄어들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한 사회에서 소매점의 유형이 개발기,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과 쇠퇴를 한다는 것이다.
히트 상품 수명주기의 연대별 비교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2.0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