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시회
Ⅰ. 전시회의 의의
1. 전시회의 정의
2. 전시회의 특징
Ⅱ. 전시회의 가치
1. 전시회의 특성
2. 전시회의 중요성
Ⅲ. 전시회의 유형
1. 전시회의 일반적 유형
2. 전문전시회의 유형
Ⅰ. 전시회의 의의
1. 전시회의 정의
2. 전시회의 특징
Ⅱ. 전시회의 가치
1. 전시회의 특성
2. 전시회의 중요성
Ⅲ. 전시회의 유형
1. 전시회의 일반적 유형
2. 전문전시회의 유형
본문내용
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세계의 문화와 문명을 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인류 상호간의 이해와 복지증진에 궁극적인 초점을 두고 있는 국제전시회이다. 전문전시회나 종합전시회는 상업적인 전시회인데 반하여 세계전시회는 비상업적인 전시회로 상거래가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전시품목에 대해서 광고나 홍보, 선전 등을 금하게 되어 있고, 참가기업이 속한 국가 단위의 홍보만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일반대중의 참관이 허용되고, 그 규모나 개최기간에 있어서 상업적인 전시회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초대형전시회이다. 이와 같은 세계전시회는 1928년 프랑스의 주도 하에 성립된 '세계전시회에 대한 외교협약'에 의하여 파리에 설립된 국제기구인 '세계전시회 국제사무국(국제박람회기구, 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 : BIE)'에서 공인하여야만 개최가 가능하다.
세계전시회(세계박람회)는 과거에는 만국박람회(萬國博覽會, Universal Expositions)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더 이상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어다. 대신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들에 대해 다루는 등록박람회(Registered Expositions)와 보다 제한되고 분명한 주제를 가진 인정박람회(Recognized Expositions)로 나누고 있다. 등록박람회는 세계박람회(World Expo)라고 불리어지며 인정박람회는 국제박람회(international(specialized) Expo)라고 불리어진다. 등록박람회는 보통 6주에서 6개월까지로 개최기간이 길며, 5년 주기로 개최하게 되어 있다. 반면 인정 박람회는 개최 기간이 3주에서 3개월로 짧고, 등록박람회사이에 개최를 원하는 나라에서 유치해 열게 된다. 그리고 등록 박람회의 전시관은 참가국에서 부담해 설치하지만, 인정 박람회에서는 주최국이 건축해서 참가국에 무상 임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박람회장의 크기는 등록 박람회의 경우 그 크기에 제한이 없지만 인정 박람회의 경우 최고 25ha(헥타아르)를 초과할 수 없다.
2000년 하노버 세계박람회나 2005년 아이치 세계박람회, 2010년 상하이 세계박람회는 등록 박람회지만, 1993년 대전 국제박람회나 2012년 여수 국제박람회는 인정 박람회이다.
-전시회의 일반적 유형-
2. 전문전시회의 유형
-전문전시회의 유형-
전시회에 대한 용어는 많은 혼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국가마다 지역마다 그리고 전시회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의 경우 무역전시회(Messe)와 일반전시회(Ausstellung)에 대한 정의와 더불어 전시회 운영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메세(Messe)라는 용어는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의적 개념의 메세는 전시회, 국제회의, 이벤트를 통칭하는 큰 개념이라 할 수 있고, 협의의 개념으로써 메세는 하나의 전시회를 의미하기도 하고, 전시가 열리는 전시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어로 된 용어 역시 많은 혼동을 주고 있는데, Trade fair, Exhibition, Trade show, Exposition(EXPO) 등의 용어들이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Trade fair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북미에서는 Exhibition 또는 Trade show라는 용어로써 전시회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 대륙 전시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 모든 용어를 전시회라고 정의할 때, Trade fair, Trade show와 Messe는 무역전시회, Exhibition은 일반전시회라 구분할 수 있다.
한국전시산업진흥회는 북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가 취급하는 시장의 특성에 따라 전시회의유형을 특정 업체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시하는 곳으로 일반 대중들도 구경할 수 있는 소매자전시회(consumer/public show)와 전문가들만이 참가할 수 있는 무역전시회(trade show), 그리고 두 가지 방식이 통합된 형태인 혼합전시회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소매자 전시회는 소비자 전시회 또는 일반 전시회라고 불리기도 하는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전시회이며, 소비재를 기반으로 하는 업체들이 주로 참가하는 소비재 전시회이다. 소매자 전시회의 참가기업은 신제품을 시험하고 긍정적인 홍보효과를 확장하기 위한 소매업체(retail outlets) 및 직접 최종소비자를 접촉하려는 제조업자들이다. 참관객은 일반대중과 목표로 하는 특정 층을 대상으로 하므로 입장에는 제한이 없다. 미국 전시회의 약 14% 정도가 이러한 성격의 전시회이며 장식, 건강, 정원, 교육 및 컴퓨터 전시회를 예로 들 수 있다.
무역전시회는 산업전시회로 불리기도 하는 B2B 전시회로 철저한 상거래 중심의 전문전시회이다. 전시 참가기업(exhibitor)은 해당산업의 제조업체(manufacturer), 유통업체(distributer), 서비스 업체 등이며 직접적인 상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특정 전문분야의 해당 제품이나 관련 제품이 전시된다. 참관객(attendee)은 행사 전에 선별되어 제한되거나 초청받은 사람들로 한정 된다. 일반 대중은 입장에서 제한되는데 이는 전시 참가기업들에게 구매자나 잠재고객과의 구매 상담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이유가 있다. 미국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의 경우 약 51%가 무역전시회이다.
혼합전시회는 무역전시회와 소매자전시회가 혼합된 성격의 전시회이다. 전시 참가기업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들이다. 참관은 구매자(buyer)와 일반대중 모두에게 공개되나 입장하는 시간을 달리하기도 한다. 이는 구매자(buyer)에게는 전시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기회를 제공하고 일반대중에게는 도매가격을 인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성격의 전시회는 미국 전시회의 35% 정도이며, 계속 그 수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통 국제전시회라고 불리어지는 전시회는 그 전시회의 성격에 상관없이 국내업체 뿐만 아니라 외국 업체와 구매자들이 대거 참가하는 전시회를 말하며 흔히 무역전시회라고도 불리어지기도 한다.
세계전시회(세계박람회)는 과거에는 만국박람회(萬國博覽會, Universal Expositions)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더 이상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어다. 대신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들에 대해 다루는 등록박람회(Registered Expositions)와 보다 제한되고 분명한 주제를 가진 인정박람회(Recognized Expositions)로 나누고 있다. 등록박람회는 세계박람회(World Expo)라고 불리어지며 인정박람회는 국제박람회(international(specialized) Expo)라고 불리어진다. 등록박람회는 보통 6주에서 6개월까지로 개최기간이 길며, 5년 주기로 개최하게 되어 있다. 반면 인정 박람회는 개최 기간이 3주에서 3개월로 짧고, 등록박람회사이에 개최를 원하는 나라에서 유치해 열게 된다. 그리고 등록 박람회의 전시관은 참가국에서 부담해 설치하지만, 인정 박람회에서는 주최국이 건축해서 참가국에 무상 임대하는 것이 보통이다. 박람회장의 크기는 등록 박람회의 경우 그 크기에 제한이 없지만 인정 박람회의 경우 최고 25ha(헥타아르)를 초과할 수 없다.
2000년 하노버 세계박람회나 2005년 아이치 세계박람회, 2010년 상하이 세계박람회는 등록 박람회지만, 1993년 대전 국제박람회나 2012년 여수 국제박람회는 인정 박람회이다.
-전시회의 일반적 유형-
2. 전문전시회의 유형
-전문전시회의 유형-
전시회에 대한 용어는 많은 혼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는 국가마다 지역마다 그리고 전시회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의 경우 무역전시회(Messe)와 일반전시회(Ausstellung)에 대한 정의와 더불어 전시회 운영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메세(Messe)라는 용어는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의적 개념의 메세는 전시회, 국제회의, 이벤트를 통칭하는 큰 개념이라 할 수 있고, 협의의 개념으로써 메세는 하나의 전시회를 의미하기도 하고, 전시가 열리는 전시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어로 된 용어 역시 많은 혼동을 주고 있는데, Trade fair, Exhibition, Trade show, Exposition(EXPO) 등의 용어들이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Trade fair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북미에서는 Exhibition 또는 Trade show라는 용어로써 전시회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각 대륙 전시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 모든 용어를 전시회라고 정의할 때, Trade fair, Trade show와 Messe는 무역전시회, Exhibition은 일반전시회라 구분할 수 있다.
한국전시산업진흥회는 북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가 취급하는 시장의 특성에 따라 전시회의유형을 특정 업체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시하는 곳으로 일반 대중들도 구경할 수 있는 소매자전시회(consumer/public show)와 전문가들만이 참가할 수 있는 무역전시회(trade show), 그리고 두 가지 방식이 통합된 형태인 혼합전시회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소매자 전시회는 소비자 전시회 또는 일반 전시회라고 불리기도 하는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전시회이며, 소비재를 기반으로 하는 업체들이 주로 참가하는 소비재 전시회이다. 소매자 전시회의 참가기업은 신제품을 시험하고 긍정적인 홍보효과를 확장하기 위한 소매업체(retail outlets) 및 직접 최종소비자를 접촉하려는 제조업자들이다. 참관객은 일반대중과 목표로 하는 특정 층을 대상으로 하므로 입장에는 제한이 없다. 미국 전시회의 약 14% 정도가 이러한 성격의 전시회이며 장식, 건강, 정원, 교육 및 컴퓨터 전시회를 예로 들 수 있다.
무역전시회는 산업전시회로 불리기도 하는 B2B 전시회로 철저한 상거래 중심의 전문전시회이다. 전시 참가기업(exhibitor)은 해당산업의 제조업체(manufacturer), 유통업체(distributer), 서비스 업체 등이며 직접적인 상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특정 전문분야의 해당 제품이나 관련 제품이 전시된다. 참관객(attendee)은 행사 전에 선별되어 제한되거나 초청받은 사람들로 한정 된다. 일반 대중은 입장에서 제한되는데 이는 전시 참가기업들에게 구매자나 잠재고객과의 구매 상담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이유가 있다. 미국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의 경우 약 51%가 무역전시회이다.
혼합전시회는 무역전시회와 소매자전시회가 혼합된 성격의 전시회이다. 전시 참가기업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들이다. 참관은 구매자(buyer)와 일반대중 모두에게 공개되나 입장하는 시간을 달리하기도 한다. 이는 구매자(buyer)에게는 전시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기회를 제공하고 일반대중에게는 도매가격을 인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성격의 전시회는 미국 전시회의 35% 정도이며, 계속 그 수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통 국제전시회라고 불리어지는 전시회는 그 전시회의 성격에 상관없이 국내업체 뿐만 아니라 외국 업체와 구매자들이 대거 참가하는 전시회를 말하며 흔히 무역전시회라고도 불리어지기도 한다.
추천자료
[소비자정보] 소비자정보의 개념과 의의, 특성, 유형
전자정부의 특징, 등장 배경, 전자정부의 개념, 유형, 전자 정부의 발전과정, 추친내용, 정책...
아동학대 (아동학대의 개념정의와 유형, 아동학대의 결과, 실태,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 현황,...
<아동학대> 아동학대의 개념 정의와 유형, 아동학대의 결과, 아동학대의 실태, 학대아동에 대...
정책(政策) - 정책의 비전, 정책목표와 성과, 정책도구의 개념과 유형
[갈등관리] 갈등의 개념과 기능(순기능과 역기능), 갈등의 유형, 경찰갈등관리(경찰조직의 갈...
[교육평가 Educational Evaluation] 교육평가의 의의(개념정의), 교육평가 유형(분류), 교육...
[조직환경 組織環境] 조직환경의 이해와 본질(개념정의), 조직구조와 환경, 조직과 환경의 관...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대안교육의 의미(개념정의), 한국(우리나라)과 외국의 대안교육 등장...
[가족의 개념정의] 가족신화, 가족에 대한 신념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목적 및 유형 사회복지법의 법적 체계 사회복지법의 법원
학대가족의 분류 및 개념정의
빈곤가족(빈곤가정)의 정의와 유형 빈곤가족의 문제점
[가족체계] 가족의 개념과 기능, 가족의 특성과 유형, 가족과 사회복지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