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매독의 정의
2. 매독의 역사
3. 매독의 원인
4. 매독의 발생빈도
5. 매독의 증상
6. 매독의 분류
7. 매독으로 인한 합병증
8. 매독의 검사방법
9. 매독의 치료방법
10. 국내 매독환자 현황
11. 보도자료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Ⅱ. 본론
1. 매독의 정의
2. 매독의 역사
3. 매독의 원인
4. 매독의 발생빈도
5. 매독의 증상
6. 매독의 분류
7. 매독으로 인한 합병증
8. 매독의 검사방법
9. 매독의 치료방법
10. 국내 매독환자 현황
11. 보도자료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 포함됨으로서 무증상의 잠복기 환자들이 계속 발견되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매독은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면 참 많은 정보들이 많다. 증상 및 진단법 그리고 치료에 대해서 참 많은 말들이 많은데, 이런 너무 많은 정보들이 오히려 더 혼란을 가져오고 매독에 걸린 이들에게 너무 공포감을 주는 것이다. 매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으로 검색해보자.
간략하게 매독에 대해서 말하자면 매독질환(syphilis)은 성관계시 피부 및 점막을 통해 감염되며 1-3개월 사이에 약 1/2-2/3에서 성접촉부위에 무통성궤양이 발생했다가 없어진다.
이어 1-3개월 후에 약 80%에서 발진성 피부염이 발생했다가 2주후 없어지고, 이후 2/3는 무증상 형태로 지속되며 나머지는 3기매독으로 진행된다. 사실 임상적으로 보는 대부분의 매독은 증상이 없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매독환자를 잘 검사하기 위해서는 우선 간편하고 비용이 적은 비트레포네마검사(nontreponemal test)인 RPR 혹은 VDRL 을 먼저 검사 후에 여기서 양성이 나오면 확진검사로 트레포네마검사 (treponemal test)로 FTA-ABS, TPHA, TPPA, EIA등을 시행하여 여기서 양성이 나오면 치료를 시작한다. 그런데 최근 이런 검사과정에 약간 변화가 생겼다. 이전의 방법으로 검사를 하게 된다면 매독이 있으면서도 음성으로 나오는 환자가 유실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바로 확진검사인 트레포네마 검사를 우선 시행한다. RPR 혹은 VDRL 인 비트레포네마 검사보다 FTA-ABS 나 TPHA등의 트레포네마 검사로 매독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진단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보건소를 포함하여 성병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병원에서는 매독 검사나 의심이 되는 환자에게 처음부터 비트레포네마 검사인 RPR 혹은 VDRL 검사뿐만 아니라 트레포네마 검사인 FTA-ABS 및 TPHA등을 동시에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매독에 양성반응이라고 너무 걱정하지는 말자. 매독의 공포는 항생제 이전의 시대에나 있었던 것으로 지금은 페니실린이라는 참 좋은 약으로 대부분 치료가 되기 때문이다.
3. 임신여성 매독검사 필수 "임신여성 매독검사 필수". 헬스코리아뉴스.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5321. 2011.06. 17.
임신을 한 여성들은 매독 검사를 받는 것이 아기의 사망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런던대학 연구진은 ‘란셋 전염성 질환’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상기와 같이 주장했다. 연구진은 총 4만1000명의 여성이 포함된 과거 10개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임신을 한 여성들이 매독 검사를 받고 치료할 경우, 사산아가 58% 줄었으며 출생 후 수 주 내 사망률도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주로 사하라 아프리카 이남지역에서 연간 50만 명의 사산아와 출생 후 1년 내 사망하는 신생아가 어머니의 매독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정이 이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임신한 여성 8명중 1명만이 값싸고 효과적인 매독검사를 받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연구진은 매독검사와 함께 HIV 검사도 실시하는 것이 미구에 일어날지도 모르는 불행한 사태를 예방하는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권했다.
Ⅲ결론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이라는 병원체의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만성전염병으로 대표적인 성전파 질환의 하나로서 주로 매독 환자와의 성교 또는 입맞춤 등으로 감염되거나 간혹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매독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구분에 따라 그 병변과 특징을 가져 이에 따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후천성으로는 1단계에서 매독은 질, 항문, 오랄 섹스를 통해 전염되고, 2단계에서는 가벼운 신체적 접촉(예: 키스 또는 궤양이 생긴 부분을 손으로 만질 때)이 있어도 감염이 된다. 임부가 매독환자일 경우 그 아기는 선천성 매독에 걸린 상태로 태어날 수 있다. 매독은 평균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육안으로 보이며, 이때 음경 혹은 질 주위 또는 질 안에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기게 되고 몇 주가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그러나 감염 후 3주에서 12주가 지났을 때 1기가 진행됨으로써 매독임을 알게 된다. 이러한 매독은 초기에 검진을 받아서 치료해야하는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spirochaete가 혈관 속에 침투하게 되어 대동맥과 눈 그리고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주는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매독의 진단은 보통 혈청검사를 통해 하게 되며, 혈청검사에는 매독 균 비 특이항체 검사(nontreponemal test)와 매독 균 특이항체 검사(treponemal test)의 두 종류가 있다. 이러한 진단을 통해 매독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되면, penicillin을 통해 치료를 하게 된다. 그러나 penicillin에 알레르기를 보일 경우 tetracycline을 사용하며, 치료기간은 매독이 진행된 상태에 따라 다르고 단계가 진행된 단계에선 치료가 힘들게 되니 무엇보다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만 발견한다면 얼마든지 치료 가능한 성병으로 매독에 감염된 사실을 알았을 때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매독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분별한 성행위를 삼가고 성행위시 콘돔을 사용하여 자신도 모르게 감염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법 외엔 다른 방법이 없다. 조기에 발견하게 되면 치료가 간단하다 하여, 우습게 볼 성병이 아니므로 예방이 최우선이다.
Ⅳ. 참고 문헌
1.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계축문화사, 남철현, 2004.
2. 성병 예방과 치료법, 太乙 출판사, 현대건강연구회, 2006.
3. 성인간호학, 현문사, 김조자 외, 2010.
4. 질병관리본부(http://dis.cdc.go.kr)
5. 세브란스병원(http://www.severance.or.kr)
6. 보건복지부(http://www.mw.go.kr)
7. Vitamin MD(http://www.vitaminmd.co.kr)
8. 대한산부인과학회(http://www.kma.org)
사실 매독은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면 참 많은 정보들이 많다. 증상 및 진단법 그리고 치료에 대해서 참 많은 말들이 많은데, 이런 너무 많은 정보들이 오히려 더 혼란을 가져오고 매독에 걸린 이들에게 너무 공포감을 주는 것이다. 매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으로 검색해보자.
간략하게 매독에 대해서 말하자면 매독질환(syphilis)은 성관계시 피부 및 점막을 통해 감염되며 1-3개월 사이에 약 1/2-2/3에서 성접촉부위에 무통성궤양이 발생했다가 없어진다.
이어 1-3개월 후에 약 80%에서 발진성 피부염이 발생했다가 2주후 없어지고, 이후 2/3는 무증상 형태로 지속되며 나머지는 3기매독으로 진행된다. 사실 임상적으로 보는 대부분의 매독은 증상이 없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매독환자를 잘 검사하기 위해서는 우선 간편하고 비용이 적은 비트레포네마검사(nontreponemal test)인 RPR 혹은 VDRL 을 먼저 검사 후에 여기서 양성이 나오면 확진검사로 트레포네마검사 (treponemal test)로 FTA-ABS, TPHA, TPPA, EIA등을 시행하여 여기서 양성이 나오면 치료를 시작한다. 그런데 최근 이런 검사과정에 약간 변화가 생겼다. 이전의 방법으로 검사를 하게 된다면 매독이 있으면서도 음성으로 나오는 환자가 유실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바로 확진검사인 트레포네마 검사를 우선 시행한다. RPR 혹은 VDRL 인 비트레포네마 검사보다 FTA-ABS 나 TPHA등의 트레포네마 검사로 매독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진단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보건소를 포함하여 성병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병원에서는 매독 검사나 의심이 되는 환자에게 처음부터 비트레포네마 검사인 RPR 혹은 VDRL 검사뿐만 아니라 트레포네마 검사인 FTA-ABS 및 TPHA등을 동시에 검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매독에 양성반응이라고 너무 걱정하지는 말자. 매독의 공포는 항생제 이전의 시대에나 있었던 것으로 지금은 페니실린이라는 참 좋은 약으로 대부분 치료가 되기 때문이다.
3. 임신여성 매독검사 필수 "임신여성 매독검사 필수". 헬스코리아뉴스.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75321. 2011.06. 17.
임신을 한 여성들은 매독 검사를 받는 것이 아기의 사망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런던대학 연구진은 ‘란셋 전염성 질환’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상기와 같이 주장했다. 연구진은 총 4만1000명의 여성이 포함된 과거 10개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임신을 한 여성들이 매독 검사를 받고 치료할 경우, 사산아가 58% 줄었으며 출생 후 수 주 내 사망률도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주로 사하라 아프리카 이남지역에서 연간 50만 명의 사산아와 출생 후 1년 내 사망하는 신생아가 어머니의 매독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정이 이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임신한 여성 8명중 1명만이 값싸고 효과적인 매독검사를 받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연구진은 매독검사와 함께 HIV 검사도 실시하는 것이 미구에 일어날지도 모르는 불행한 사태를 예방하는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권했다.
Ⅲ결론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이라는 병원체의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만성전염병으로 대표적인 성전파 질환의 하나로서 주로 매독 환자와의 성교 또는 입맞춤 등으로 감염되거나 간혹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매독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구분에 따라 그 병변과 특징을 가져 이에 따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후천성으로는 1단계에서 매독은 질, 항문, 오랄 섹스를 통해 전염되고, 2단계에서는 가벼운 신체적 접촉(예: 키스 또는 궤양이 생긴 부분을 손으로 만질 때)이 있어도 감염이 된다. 임부가 매독환자일 경우 그 아기는 선천성 매독에 걸린 상태로 태어날 수 있다. 매독은 평균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육안으로 보이며, 이때 음경 혹은 질 주위 또는 질 안에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기게 되고 몇 주가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그러나 감염 후 3주에서 12주가 지났을 때 1기가 진행됨으로써 매독임을 알게 된다. 이러한 매독은 초기에 검진을 받아서 치료해야하는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spirochaete가 혈관 속에 침투하게 되어 대동맥과 눈 그리고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주는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매독의 진단은 보통 혈청검사를 통해 하게 되며, 혈청검사에는 매독 균 비 특이항체 검사(nontreponemal test)와 매독 균 특이항체 검사(treponemal test)의 두 종류가 있다. 이러한 진단을 통해 매독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되면, penicillin을 통해 치료를 하게 된다. 그러나 penicillin에 알레르기를 보일 경우 tetracycline을 사용하며, 치료기간은 매독이 진행된 상태에 따라 다르고 단계가 진행된 단계에선 치료가 힘들게 되니 무엇보다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만 발견한다면 얼마든지 치료 가능한 성병으로 매독에 감염된 사실을 알았을 때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현명하다. 또한 매독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분별한 성행위를 삼가고 성행위시 콘돔을 사용하여 자신도 모르게 감염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방법 외엔 다른 방법이 없다. 조기에 발견하게 되면 치료가 간단하다 하여, 우습게 볼 성병이 아니므로 예방이 최우선이다.
Ⅳ. 참고 문헌
1.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계축문화사, 남철현, 2004.
2. 성병 예방과 치료법, 太乙 출판사, 현대건강연구회, 2006.
3. 성인간호학, 현문사, 김조자 외, 2010.
4. 질병관리본부(http://dis.cdc.go.kr)
5. 세브란스병원(http://www.severance.or.kr)
6. 보건복지부(http://www.mw.go.kr)
7. Vitamin MD(http://www.vitaminmd.co.kr)
8. 대한산부인과학회(http://www.kma.org)
추천자료
성병의 종류
[보건학]성병
성병에 관한 요약정리
성병의 정의와 증상, 원인, 경로, 대책 및 고찰
[성병 매독][매독 증상][매독 합병증][매독 치료]성병 매독의 정의, 성병 매독의 유형, 성병 ...
[매독][성병][성병 매독 분류][성병 매독 발생빈도][매독균][성병 매독 증상][성병 매독 예방...
[성병][에이즈][매독][연성하감][캔디다질염][임질][곤지름]성병 에이즈(AIDS), 성병 매독, ...
성병(성인성질환) 사례 곤지름과 에이즈(AIDS), 성병(성인성질환) 사례 비임균성요도염과 임...
[성병][에이즈][매독][임질][연성하감][클라미디아][곤지름]성병 에이즈(AIDS), 성병 매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