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 혈액형 확인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4. 재료 및 방법
5. 과정 및 결과
6. 고찰
- 참고 자료
2.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4. 재료 및 방법
5. 과정 및 결과
6. 고찰
- 참고 자료
본문내용
프구, 표적을 죽이는 Natural killer
cells 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핵구[Monocyte]
전체 백혈구의 28%, 지름 14~17μm,
몇 시간에서 며칠 생존
땅콩모양의 핵이 특징이다.
식세포 작용을 하며, 아메바 운동을 통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호중구와는 다르게 리소좀을 대체할 수
있으며, 긴 수명을 갖는다
혈소판[thrombocytes]
골수 내에 있던 큰 세포로부터 세포질이 갈라져 나온 지름 2∼3㎛의 세포 조각으로 혈액의 응고와 지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한 형태가 없으며 핵을 가지고 있지 않고 수명은 10일 정도이다. 지라에서 파괴된다.
혈관이 손상되어 피부나 점막 등에 출혈이 생겼을 경우 가장 먼저 활성화된다. 혈소판이 손상된 혈관벽에 붙어 공기와 맞닿게 되면 트롬보키나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혈장단백질 중 하나인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바꾸고, 트롬빈이 다시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켜 피브린이 혈액을 응고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혈액이 응고된다.
혈소판이 부족하면 작은 점상 출혈이 나타나게 되며, 멍이 잘 들고 코피가 잘 나게 된다.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혈액 1㎣ 속에 약 30만~50만 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가장 먼저 감소하므로 방사선장해의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혈액형[血液型, 문화어: 피형]은 적혈구의 세포막에 있는 항원인 여러 종류의 글리코프로틴(Glycoprotein, 단백질에 다당류 곁가지가 붙은 것)에 의해 분류되는 혈액의 종류를 일컫는다.
혈액형의 종류
혈액형을 분류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는 ABO식과 Rh식이 있다. 그 외에도 많은 종류의 혈액형이 있으나, 실제로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은 이 두 가지이다.
ABO식
1901년 오스트리아의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에 의해 구분된 방식. ABO식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인간의 혈액형의 종류는 A형, B형, AB형 그리고 O형 네 가지이다.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의 혈액을 섞었을 때 일어나는 응집반응의 여부로 구분하며, 이는 면역에서 말하는 항원항체반응의 결과이다.
갖고 있는 항원(Antigen)
A형 : A항원
B형 : B항원
AB형: A항원과 B항원
O형 : 항원을 갖고 있지 않다.
항원체에 반응하는 항체(Antibody)
A형 : beta항체 - B항원에 반응
B형 : alpha항체 - A항원에 반응
AB형: 항체를 갖고 있지 않다. - 모든 항원에 반응하지 않음
O형 : alpha항체 그리고 beta항체 - 모든 항원에 반응
따라서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항체를 가진 혈액을 수혈할 수는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전쟁터의 부상병이나 심한 출혈을 일으킨 부상자에게 수혈을 통해 생명을 건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cis-AB, weak A, weak B : cis-AB형은 항원 A와 B에 관한 유전자를 한 염색체 위에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 사람이 O형의 사람과 결혼하면 O형의 자식이 태어날 수도 있다. weak A, weak B 형은 항원이 약하게 발현되어 유전이나 혈액형 검사에서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혹시 친자식이 아니거나, 배우자의 불륜을 의심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 혈액형이다. 물론 이 혈액형도 다른 문제는 일으키지 않으나 수혈을 할 때는 특히 주의해서 정확한 혈액형을 알아야 한다.
Rh식
같은 란트슈타이너가 1940년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의 혈액과 응집반응 여부를 통해 구분한 혈액형. 이 경우는 다음과 같다.
Rh+ : Rh항원을 가지고 있다.
Rh- :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혈액형은 어머니가 Rh-형이고 태아가 Rh+형인 경우, 첫 번째 출산으로 어머니의 몸속에 Rh+에 대한 항체가 생겨 두 번째 아이의 임신에 영향을 주는 신생아 용혈성 빈혈에 중요하다. 또한 동양인은 Rh-형이 극히 적으므로, 수혈 시에 상당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김자액 [Giemsa]
에오신과 메틸린블루가 화합된 복합체로, 혈액 중의 혈구 염색에 사용되는 염색약이다. 김자액의 장점은 핵의 염색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세포질의 염색 상태가 좋지 않아 호중구와 호염기의 과립은 염색이 어렵다. 고정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적혈구에 상처나 변형이 생기기도 하고, 백혈구의 구조가 선명해지지 않기도 한다. 염색이 너무 엷으면 관찰이 어렵고 너무 짙으면 핵의 미세구조를 분간하기 힘들다. 김자액 성분 중 에오신에 붉게 물드는 부분은 백혈구의 세포질이고, 메틸렌블루에 보라색으로 염색되는 부분은 백혈구의 핵이다.
용액의 조제
김자 염색액(Giemsa): 백혈구 관찰용
김자 0.8g과 글리세롤 50mL와 메탄올 500mL를 혼합하여 2~3일 동안 흔들어 준다. 이것을 저장액으로 하여 염색액으로 사용할 때에는 저장액 1mL에 50mL의 증류수를 넣어 희석한 후 사용한다.
혈구염색방법
1. 고정 : 메탄올로 고정한다. (1~2분)
2. 김자희석액 조제 : 인산완충액 (pH6.4) 1ml에 김자염색약 1~1.5방울의 비율로 혼합 조제한다.
3. 염색 : 김자희석액을 표본위에 부어 염색한다. (20분 전후)
4. 수세 : 수세한다. (장시간의 세정은 탈색을 일으키므로 피할 것)
5. 건조 : 냉풍드라이 혹은 자연건조 시킨다.
6. 관찰 : 침습기름(Immersion oil)을 묻혀 관찰한다.
혈구염색결과
1. 핵 : 자색 혹은 보라색
2. 림프구 : 형질세포 밝은 청색, 아주르과립 적색 또는 자색
3. 과립구 : 중성과립구 약한청색, 산성과립구 보라색, 염기성과립구 적색 혹 은 회색
4, 혈소판 : 진한 보라
5. 적혈구 : 연한 청색
염색 시 주의점
1. 고정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염색성이 나빠진다
2. 완충액의 pH 및 농도를 정확히 해야한다.
3. 염색약은 염색할 때 조제한다.
4. 염색시간이나 염색약의 농도는 표본상의 세포수나 실온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염색이 엷을 경우에는 재염색을 할 수 있으나, 진할 경우에는 처리가 곤란하므로 주의한다.)
5. 장기간의 세정은 탈색을 일으키므로 가능한 한 빨리 물을 제거하고 냉풍으로 건조한다.
cells 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핵구[Monocyte]
전체 백혈구의 28%, 지름 14~17μm,
몇 시간에서 며칠 생존
땅콩모양의 핵이 특징이다.
식세포 작용을 하며, 아메바 운동을 통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호중구와는 다르게 리소좀을 대체할 수
있으며, 긴 수명을 갖는다
혈소판[thrombocytes]
골수 내에 있던 큰 세포로부터 세포질이 갈라져 나온 지름 2∼3㎛의 세포 조각으로 혈액의 응고와 지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한 형태가 없으며 핵을 가지고 있지 않고 수명은 10일 정도이다. 지라에서 파괴된다.
혈관이 손상되어 피부나 점막 등에 출혈이 생겼을 경우 가장 먼저 활성화된다. 혈소판이 손상된 혈관벽에 붙어 공기와 맞닿게 되면 트롬보키나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혈장단백질 중 하나인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바꾸고, 트롬빈이 다시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켜 피브린이 혈액을 응고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혈액이 응고된다.
혈소판이 부족하면 작은 점상 출혈이 나타나게 되며, 멍이 잘 들고 코피가 잘 나게 된다.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혈액 1㎣ 속에 약 30만~50만 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가장 먼저 감소하므로 방사선장해의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혈액형[血液型, 문화어: 피형]은 적혈구의 세포막에 있는 항원인 여러 종류의 글리코프로틴(Glycoprotein, 단백질에 다당류 곁가지가 붙은 것)에 의해 분류되는 혈액의 종류를 일컫는다.
혈액형의 종류
혈액형을 분류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는 ABO식과 Rh식이 있다. 그 외에도 많은 종류의 혈액형이 있으나, 실제로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은 이 두 가지이다.
ABO식
1901년 오스트리아의 카를 란트슈타이너(Karl Landsteiner)에 의해 구분된 방식. ABO식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인간의 혈액형의 종류는 A형, B형, AB형 그리고 O형 네 가지이다.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의 혈액을 섞었을 때 일어나는 응집반응의 여부로 구분하며, 이는 면역에서 말하는 항원항체반응의 결과이다.
갖고 있는 항원(Antigen)
A형 : A항원
B형 : B항원
AB형: A항원과 B항원
O형 : 항원을 갖고 있지 않다.
항원체에 반응하는 항체(Antibody)
A형 : beta항체 - B항원에 반응
B형 : alpha항체 - A항원에 반응
AB형: 항체를 갖고 있지 않다. - 모든 항원에 반응하지 않음
O형 : alpha항체 그리고 beta항체 - 모든 항원에 반응
따라서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항체를 가진 혈액을 수혈할 수는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전쟁터의 부상병이나 심한 출혈을 일으킨 부상자에게 수혈을 통해 생명을 건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cis-AB, weak A, weak B : cis-AB형은 항원 A와 B에 관한 유전자를 한 염색체 위에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 사람이 O형의 사람과 결혼하면 O형의 자식이 태어날 수도 있다. weak A, weak B 형은 항원이 약하게 발현되어 유전이나 혈액형 검사에서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혹시 친자식이 아니거나, 배우자의 불륜을 의심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 혈액형이다. 물론 이 혈액형도 다른 문제는 일으키지 않으나 수혈을 할 때는 특히 주의해서 정확한 혈액형을 알아야 한다.
Rh식
같은 란트슈타이너가 1940년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의 혈액과 응집반응 여부를 통해 구분한 혈액형. 이 경우는 다음과 같다.
Rh+ : Rh항원을 가지고 있다.
Rh- :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혈액형은 어머니가 Rh-형이고 태아가 Rh+형인 경우, 첫 번째 출산으로 어머니의 몸속에 Rh+에 대한 항체가 생겨 두 번째 아이의 임신에 영향을 주는 신생아 용혈성 빈혈에 중요하다. 또한 동양인은 Rh-형이 극히 적으므로, 수혈 시에 상당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김자액 [Giemsa]
에오신과 메틸린블루가 화합된 복합체로, 혈액 중의 혈구 염색에 사용되는 염색약이다. 김자액의 장점은 핵의 염색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세포질의 염색 상태가 좋지 않아 호중구와 호염기의 과립은 염색이 어렵다. 고정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적혈구에 상처나 변형이 생기기도 하고, 백혈구의 구조가 선명해지지 않기도 한다. 염색이 너무 엷으면 관찰이 어렵고 너무 짙으면 핵의 미세구조를 분간하기 힘들다. 김자액 성분 중 에오신에 붉게 물드는 부분은 백혈구의 세포질이고, 메틸렌블루에 보라색으로 염색되는 부분은 백혈구의 핵이다.
용액의 조제
김자 염색액(Giemsa): 백혈구 관찰용
김자 0.8g과 글리세롤 50mL와 메탄올 500mL를 혼합하여 2~3일 동안 흔들어 준다. 이것을 저장액으로 하여 염색액으로 사용할 때에는 저장액 1mL에 50mL의 증류수를 넣어 희석한 후 사용한다.
혈구염색방법
1. 고정 : 메탄올로 고정한다. (1~2분)
2. 김자희석액 조제 : 인산완충액 (pH6.4) 1ml에 김자염색약 1~1.5방울의 비율로 혼합 조제한다.
3. 염색 : 김자희석액을 표본위에 부어 염색한다. (20분 전후)
4. 수세 : 수세한다. (장시간의 세정은 탈색을 일으키므로 피할 것)
5. 건조 : 냉풍드라이 혹은 자연건조 시킨다.
6. 관찰 : 침습기름(Immersion oil)을 묻혀 관찰한다.
혈구염색결과
1. 핵 : 자색 혹은 보라색
2. 림프구 : 형질세포 밝은 청색, 아주르과립 적색 또는 자색
3. 과립구 : 중성과립구 약한청색, 산성과립구 보라색, 염기성과립구 적색 혹 은 회색
4, 혈소판 : 진한 보라
5. 적혈구 : 연한 청색
염색 시 주의점
1. 고정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염색성이 나빠진다
2. 완충액의 pH 및 농도를 정확히 해야한다.
3. 염색약은 염색할 때 조제한다.
4. 염색시간이나 염색약의 농도는 표본상의 세포수나 실온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염색이 엷을 경우에는 재염색을 할 수 있으나, 진할 경우에는 처리가 곤란하므로 주의한다.)
5. 장기간의 세정은 탈색을 일으키므로 가능한 한 빨리 물을 제거하고 냉풍으로 건조한다.
추천자료
해부, 생체관찰, 관절
3)미술-5. 관찰표현 - 친구 얼굴 그리기
양파 뿌리세포의 체세포 분열 관찰 - Purpose, Materials, Methods
[화학및실험] (예비+결과) 기체의 확산법칙 확인 - 다양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다른 기체들의 ...
A+보육교사 실습일지 20일(실습소감, 보육실습 계획표, 관찰일지 2명 포함 )
초등5)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5/5차시), 실험관찰 48쪽> 7. 식물의 잎이 하는 ...
[생물학 실험2] PCR을 통한 혈액형의 판정
양파구강상피세포관찰250
사회복지조사론 - 욕구의 의의와 유형, 욕구조사의 의의와 필요성, 욕구조사의 내용 및 종류,...
표피조직의 관찰88
대상영속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주변에서 대상영속성의 상황을 관찰하여 관찰내용을 적으...
[아동과학지도] 아동과학지도에 사용하는 평가방법 중 적합하다 생각하는 평가방법과 자신의 ...
<만0세 관찰일지-1학기> 3명~6명 1학기 분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