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정반응마다 강화를 제공하는 것
간헐적 강화(계획) : 비율강화 : 시간에 관계없이 횟수에만 강화를 제공
고정비율강화 : 일정한 횟수마다
변동비율강화 : 평균 횟수마다 (고스톱)
간격강화 : 횟수에 관계없이 시간에만 강화를 제공
고정간격강화 : 일정한 시간마다 (월급)
변동간격강화 : 평균 시간마다 (낚시)
◇ 벌: 행동을 소멸, 약화시키는 것
강화 :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
4) 적용
① 행동수정 이론
② 프로그램 수업에 적용
5. Hull 체계적 조건화설
1) S -O - R
X → Pavlov's 개 → R'
X → 치와와 → R''
2) 동일한 자극을 가하여도 유기체 내부의 욕구에 따라 그 반응은 달리 이루어진다.
즉 학습에서는 유기체 내부의 욕구나 습관이 중요하다.
형태주의 심리학의 학습이론
1. Kohler 통찰설 (A-Ha)
1) 유인원 실험 - 인지구조가 인간과 유사하므로
① 원숭이 천장에 매달린 바나나 먹기
② 〃 구석진 곳의 바나나 먹기
∴ 학습은 시행착오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인지구조의 순간적이고
비약적인 변화에서 이루어진다
2) 행동변화
시간
3) 특징
① 통찰은 능력에 의존한다.
② 〃 적절한 과거경험에 의존한다.
③ 〃 실험상태의 배치에 의존한다.
④ 〃 얼마동안 탐색한 후에 생긴다.
⑤ 〃 한 번 달성되면 새로운 장면에 대해서도 이것을 적용할 수 있다.
2. Lewin 장이론
1) B = f ( P E )
행동 개체, 유전 환경
2) 학습은 생활의 공간의 장에서 인지구조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심리적 환경을 중요성시
3. Tolman 기호형태설
1)Thorndike 의 쥐의 미로 실험을 재실시
Thorndike
Tolman
음식 제공
음식 미제공
음식 제공
1회 → 30초
2회 → 28초
. .
. .
n → 15초
1회 → 30초
2회 → 30초
. .
. .
n → 30초
1회 → 15초
2) 학습은 시행착오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인지도의 형성이다
잠재학습
형태주의 심리학의 이론
1. 파이이론 (π이론)
1) 인간은 부분을 관찰하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관찰하고 인식하는 인지적 경향이 있다.
2) ‘ 영화 ’ ‘ 네온사인 ’
2. 프래그란쯔의 법칙
1) 인간은 주변사물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고 단순화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2) 폐쇄, 근접, 유사, 계속성 의 법칙
Bandura 의 관찰학습 (모델학습, Modeling, 사회적 학습이론)
1. S-R이론 + 인지이론
2. 인간은 지적학습에 의한 것보다 간접학습에 의한 것이 훨씬 많다.
( 간접학습 > 관찰학습 )
3. 절차
1) 주의집중단계 → 모델의 행동을 주의 집중한다
2) 파지단계 → 행동을 기억한다
3) 운동재생단계 → 기억한 행동을 재생한다
4) 동기화의 단계 → 재생에 의해서 동기가 주어지는 단계
4. 종류
1) 모방학습 → 모델의 특정한 행동을 모방하는 것
2) 모형학습 (동일시) → 모델과 동일시되려는 것
3) 동시학습 전형 → 모델과 함께 행동하는 것 (충동구매, 데모대)
4) 무시행 학습 전형 → 만화, 영화, TV의 인물을 모방
5) 고전적 대리 학습 전형 → 타인의 감정이나 장소의 분위기가 학습된다. (상갓집 분위기...)
준비도와 전이
1. 준비도
1)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신체적 특성의 정도
2) 유사개념
① 선수학습 (선행학습의 정도)
② 출발점 행동
③ 적성 (Carroll)
④ 학습의 경향성 (Bruner)
3) 준비도의 이론
① 자연 성숙론 ㉠ 준비도는 일정한 연령이 되어야 갖추어 지는 것이다
㉡ Hillgard
② 환경 경험론 ㉠ 준비도는 학습에 의해서 갖추어 지는 것이다
㉡ Bruner, Bloom, Hunt
2. 전이 ☆☆☆☆
1) 선행학습이 후행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교에서 배운 것을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것도 넓은 범위의 전이이다. )
2) 종류
① 적극적(정적) 전이 - 전이를 발생시키는 것
소극적(부적) 전이 - 간섭이 일어나는 것
② 수평적 전이 - 비슷한 수준에서 전이가 일어나는 것
수직적 전이 -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전이가 일어나는 것
* 간섭(제지)
순행간섭 - 선행 학습이 후행 학습을 방해하는 것
역행간섭 - 후행 학습이 선행 학습을 〃
3) 전이 이론
① 형식도야설 (정신도야의 한 종류이다 )
㉠ 배경 - 18C중엽 산업혁명과 함께 과학기술이 발달한다 전통교과를 배우던 학생들이
실용 교과를 배우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것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Locke 등의
전통학자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 인간은 중요한 정신의 능력 (지각, 추리, 기억등 →지능)을 지닌 존재이다
이 능력을 어려운 교과의 학습을 통해서 개발하면 실용교과를 배우는데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수학 능력
철학등 → (지능) → 실용교과
㉣ 전통교과 학습을 강조
㉤ 폭발적 전이력을 강조
㉥ 단련주의 교육 (경(硬)교욱)
㉦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의 전이설
② 동일 요소설 (= 실질도야설 = 소속의 법칙 = 폭발적 전이 부정)
㉠ Thorndike와 같은 진보주의자들에 의해 주장
㉡ 배경 → 형식도야설을 부정하고 실용교과를 직접 가르치기 위해 나타났다
㉢ 라틴어가 영어공부에 도움 주는 것은 능력의 발달을 통해서가 아니라
라틴어의 요소와 영어의 요소에 동일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
라틴어 영어
(문법,어원) → (문법, 어원)
㉤ 실용교과를 직접 배우기를 강조
㉥ 1: 1 의 단위당 전이설만을 강조
㉦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전이성
③ 일반화설
㉠ Judd
㉡ 동일한 원리나 법칙이 적용될 때 전이를 발생시킨다
㉢ 호수에 창던지기(화살 쏘기) 실험
㉣ Bruner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또는 지식의 구조에 적용되는 전이설
④ 형태이조설
㉠ Koffka (형태주의 심리학자)
㉡ 전체적인 학습상황이 유사할 때 전이를 발생시킨다.
㉢ 닭 모이 먹이기 실험
4) 전이를 향상시키는 방법
① 학습자의 지능이 높을 때 전이력이 높다
② 선행학습과 후행학습의 근접성
③ 학습의 요소가 동일할 때
④ 학습하는 방법을 전달
⑤ 학습의 환경을 유사하게 구성한다
⑥ 동일한 원리나 법칙을 가르쳐준다.
간헐적 강화(계획) : 비율강화 : 시간에 관계없이 횟수에만 강화를 제공
고정비율강화 : 일정한 횟수마다
변동비율강화 : 평균 횟수마다 (고스톱)
간격강화 : 횟수에 관계없이 시간에만 강화를 제공
고정간격강화 : 일정한 시간마다 (월급)
변동간격강화 : 평균 시간마다 (낚시)
◇ 벌: 행동을 소멸, 약화시키는 것
강화 :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
4) 적용
① 행동수정 이론
② 프로그램 수업에 적용
5. Hull 체계적 조건화설
1) S -O - R
X → Pavlov's 개 → R'
X → 치와와 → R''
2) 동일한 자극을 가하여도 유기체 내부의 욕구에 따라 그 반응은 달리 이루어진다.
즉 학습에서는 유기체 내부의 욕구나 습관이 중요하다.
형태주의 심리학의 학습이론
1. Kohler 통찰설 (A-Ha)
1) 유인원 실험 - 인지구조가 인간과 유사하므로
① 원숭이 천장에 매달린 바나나 먹기
② 〃 구석진 곳의 바나나 먹기
∴ 학습은 시행착오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인지구조의 순간적이고
비약적인 변화에서 이루어진다
2) 행동변화
시간
3) 특징
① 통찰은 능력에 의존한다.
② 〃 적절한 과거경험에 의존한다.
③ 〃 실험상태의 배치에 의존한다.
④ 〃 얼마동안 탐색한 후에 생긴다.
⑤ 〃 한 번 달성되면 새로운 장면에 대해서도 이것을 적용할 수 있다.
2. Lewin 장이론
1) B = f ( P E )
행동 개체, 유전 환경
2) 학습은 생활의 공간의 장에서 인지구조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심리적 환경을 중요성시
3. Tolman 기호형태설
1)Thorndike 의 쥐의 미로 실험을 재실시
Thorndike
Tolman
음식 제공
음식 미제공
음식 제공
1회 → 30초
2회 → 28초
. .
. .
n → 15초
1회 → 30초
2회 → 30초
. .
. .
n → 30초
1회 → 15초
2) 학습은 시행착오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인지도의 형성이다
잠재학습
형태주의 심리학의 이론
1. 파이이론 (π이론)
1) 인간은 부분을 관찰하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관찰하고 인식하는 인지적 경향이 있다.
2) ‘ 영화 ’ ‘ 네온사인 ’
2. 프래그란쯔의 법칙
1) 인간은 주변사물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고 단순화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2) 폐쇄, 근접, 유사, 계속성 의 법칙
Bandura 의 관찰학습 (모델학습, Modeling, 사회적 학습이론)
1. S-R이론 + 인지이론
2. 인간은 지적학습에 의한 것보다 간접학습에 의한 것이 훨씬 많다.
( 간접학습 > 관찰학습 )
3. 절차
1) 주의집중단계 → 모델의 행동을 주의 집중한다
2) 파지단계 → 행동을 기억한다
3) 운동재생단계 → 기억한 행동을 재생한다
4) 동기화의 단계 → 재생에 의해서 동기가 주어지는 단계
4. 종류
1) 모방학습 → 모델의 특정한 행동을 모방하는 것
2) 모형학습 (동일시) → 모델과 동일시되려는 것
3) 동시학습 전형 → 모델과 함께 행동하는 것 (충동구매, 데모대)
4) 무시행 학습 전형 → 만화, 영화, TV의 인물을 모방
5) 고전적 대리 학습 전형 → 타인의 감정이나 장소의 분위기가 학습된다. (상갓집 분위기...)
준비도와 전이
1. 준비도
1)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신체적 특성의 정도
2) 유사개념
① 선수학습 (선행학습의 정도)
② 출발점 행동
③ 적성 (Carroll)
④ 학습의 경향성 (Bruner)
3) 준비도의 이론
① 자연 성숙론 ㉠ 준비도는 일정한 연령이 되어야 갖추어 지는 것이다
㉡ Hillgard
② 환경 경험론 ㉠ 준비도는 학습에 의해서 갖추어 지는 것이다
㉡ Bruner, Bloom, Hunt
2. 전이 ☆☆☆☆
1) 선행학습이 후행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교에서 배운 것을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것도 넓은 범위의 전이이다. )
2) 종류
① 적극적(정적) 전이 - 전이를 발생시키는 것
소극적(부적) 전이 - 간섭이 일어나는 것
② 수평적 전이 - 비슷한 수준에서 전이가 일어나는 것
수직적 전이 -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전이가 일어나는 것
* 간섭(제지)
순행간섭 - 선행 학습이 후행 학습을 방해하는 것
역행간섭 - 후행 학습이 선행 학습을 〃
3) 전이 이론
① 형식도야설 (정신도야의 한 종류이다 )
㉠ 배경 - 18C중엽 산업혁명과 함께 과학기술이 발달한다 전통교과를 배우던 학생들이
실용 교과를 배우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것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Locke 등의
전통학자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 인간은 중요한 정신의 능력 (지각, 추리, 기억등 →지능)을 지닌 존재이다
이 능력을 어려운 교과의 학습을 통해서 개발하면 실용교과를 배우는데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수학 능력
철학등 → (지능) → 실용교과
㉣ 전통교과 학습을 강조
㉤ 폭발적 전이력을 강조
㉥ 단련주의 교육 (경(硬)교욱)
㉦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의 전이설
② 동일 요소설 (= 실질도야설 = 소속의 법칙 = 폭발적 전이 부정)
㉠ Thorndike와 같은 진보주의자들에 의해 주장
㉡ 배경 → 형식도야설을 부정하고 실용교과를 직접 가르치기 위해 나타났다
㉢ 라틴어가 영어공부에 도움 주는 것은 능력의 발달을 통해서가 아니라
라틴어의 요소와 영어의 요소에 동일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
라틴어 영어
(문법,어원) → (문법, 어원)
㉤ 실용교과를 직접 배우기를 강조
㉥ 1: 1 의 단위당 전이설만을 강조
㉦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전이성
③ 일반화설
㉠ Judd
㉡ 동일한 원리나 법칙이 적용될 때 전이를 발생시킨다
㉢ 호수에 창던지기(화살 쏘기) 실험
㉣ Bruner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또는 지식의 구조에 적용되는 전이설
④ 형태이조설
㉠ Koffka (형태주의 심리학자)
㉡ 전체적인 학습상황이 유사할 때 전이를 발생시킨다.
㉢ 닭 모이 먹이기 실험
4) 전이를 향상시키는 방법
① 학습자의 지능이 높을 때 전이력이 높다
② 선행학습과 후행학습의 근접성
③ 학습의 요소가 동일할 때
④ 학습하는 방법을 전달
⑤ 학습의 환경을 유사하게 구성한다
⑥ 동일한 원리나 법칙을 가르쳐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