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구열강의 조선침투
(1) 배경
(2) 전개
(3) 이양선의 출몰
2. 위기의식 고양과 정부의 대응
(1) 조선 정부의 위기의식 고양
(2) 정부의 대응
3. 일반민의 동향
(1) 정감록(鄭鑑錄)의 등장
(2) 동학의 등장
(1) 배경
(2) 전개
(3) 이양선의 출몰
2. 위기의식 고양과 정부의 대응
(1) 조선 정부의 위기의식 고양
(2) 정부의 대응
3. 일반민의 동향
(1) 정감록(鄭鑑錄)의 등장
(2) 동학의 등장
본문내용
장
- 대외 위기의식이 가중되는 가운데 정감록 사상과 함께 이단사상으로서 동학사상이 등장하여 민중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끼쳤음 => 동학 창시자인 최제우(崔濟愚)는 서양세력의 침입을 막고 보국안민할 방도로서 동학을 창도하였음
- 최제우는 “서양도적놈들이 나타나면 주문과 검무로써 적들을 막아내고 천신의 도움을 얻을 것이고, 이 도둑놈들이 화공하면 갑병(甲兵)은 대적하지 못하며 오로지 동학만이 그 무리들을 섬멸할 것” 이라고 강조하였음 => 동학사상은 보국안민사상으로서 민중 사이에 자연스럽게 퍼져나갔음
이제 조선의 지배층과 민중들은 봉건사회의 여러 모순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과제와 함께 서구열강의 외압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음
<참고자료>
강만길 외, 『한국사』 10권, 한길사
- 대외 위기의식이 가중되는 가운데 정감록 사상과 함께 이단사상으로서 동학사상이 등장하여 민중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끼쳤음 => 동학 창시자인 최제우(崔濟愚)는 서양세력의 침입을 막고 보국안민할 방도로서 동학을 창도하였음
- 최제우는 “서양도적놈들이 나타나면 주문과 검무로써 적들을 막아내고 천신의 도움을 얻을 것이고, 이 도둑놈들이 화공하면 갑병(甲兵)은 대적하지 못하며 오로지 동학만이 그 무리들을 섬멸할 것” 이라고 강조하였음 => 동학사상은 보국안민사상으로서 민중 사이에 자연스럽게 퍼져나갔음
이제 조선의 지배층과 민중들은 봉건사회의 여러 모순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과제와 함께 서구열강의 외압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음
<참고자료>
강만길 외, 『한국사』 10권, 한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