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각 동물별 청각인지의 특징
1. 개의 청각
1) 개의 감각 이용도
2) 개의 귀 구조
2. 고양이의 청각
1) 고양이의 귀 구조
2) 고양이의 청각 능력
Ⅲ. 결론
Ⅱ. 각 동물별 청각인지의 특징
1. 개의 청각
1) 개의 감각 이용도
2) 개의 귀 구조
2. 고양이의 청각
1) 고양이의 귀 구조
2) 고양이의 청각 능력
Ⅲ. 결론
본문내용
코르티 기관이 있다. 음파는 청각신경을 지나 뇌에 있는 청각피질로 전달되어 머리속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소리들과의 비교를 통해 소리를 해석하고 인식하게 된다.
2) 고양이의 청각 능력
고양이는 개와 마찬가지로 청각이 아주 발달에 있어서 사람의 가청 범위를 훨씬 벗어난 초고주파까지 들을 수 있다고 한다. 고양이를 잘 관찰해보면, 흔히 상대가 움직이기도 전에 고양이가 그 움직임을 알아차리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은 인지할 수 없는 초음속의 소리를 알아듣고 반응을 보인 것이라고 한다.
고양이의 귀는 개와 마찬가지로 좌우가 서로 각각 소리의 발생원에 대해 반응하고 작동을 하여, 소리의 강약에는 상관없이 어떤 소리든지 그 소리가 발생하였던 방향이나 시간 차이 등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개나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비상하게 약한 소리도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대개의 동물들이 주파수가 500Hz 정도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고양이는 그 이하의 저주파수의 소리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5Hz 정도의 쥐가 내는 작은 소리까지도 고양이는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고주파수의 인지 능력도 매우 탁월한데, 사람의 경우 2만Hz, 개는 3만 5천~4만Hz까지 들을 수 있는 반면, 고양이는 10Hz까지의 초음파까지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동물들의 청각인지 특성을 고양이와 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먼저 고양이와 개의 귀 구조는 전체적으로 사람과 비슷한 귓바퀴와 외이와 고막, 중이, 내이의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각 기관의 역할 역시 비슷하였지만, 그 능력 면에서는 현격한 차이가 났다. 고양이과 개를 사람과 비교했을 때 이 두 동물의 가청 범위는 인간의 그것을 훨씬 능가한 것으로써 고양이와 개 모두 인간으로서는 들을 수 없는 미세한 소리나 높은 소리까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하지만 고양이과 개를 비교했을 경우에는 고양이가 개보다 좀 더 우수한 청각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바로 고양이가 개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의 소리까지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동물 모두 청각을 주요한 인지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만큼 청각은 두 동물이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인식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마도 인간에게 있어 뇌가 생존을 위한 제1의 인식과 판단의 도구라면 동물들에게 있어서는 청각을 비롯한 감각기관이 이를 대신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2) 고양이의 청각 능력
고양이는 개와 마찬가지로 청각이 아주 발달에 있어서 사람의 가청 범위를 훨씬 벗어난 초고주파까지 들을 수 있다고 한다. 고양이를 잘 관찰해보면, 흔히 상대가 움직이기도 전에 고양이가 그 움직임을 알아차리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은 인지할 수 없는 초음속의 소리를 알아듣고 반응을 보인 것이라고 한다.
고양이의 귀는 개와 마찬가지로 좌우가 서로 각각 소리의 발생원에 대해 반응하고 작동을 하여, 소리의 강약에는 상관없이 어떤 소리든지 그 소리가 발생하였던 방향이나 시간 차이 등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개나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비상하게 약한 소리도 들을 수 있다고 하는데, 대개의 동물들이 주파수가 500Hz 정도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고양이는 그 이하의 저주파수의 소리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5Hz 정도의 쥐가 내는 작은 소리까지도 고양이는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고주파수의 인지 능력도 매우 탁월한데, 사람의 경우 2만Hz, 개는 3만 5천~4만Hz까지 들을 수 있는 반면, 고양이는 10Hz까지의 초음파까지도 들을 수 있다고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동물들의 청각인지 특성을 고양이와 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먼저 고양이와 개의 귀 구조는 전체적으로 사람과 비슷한 귓바퀴와 외이와 고막, 중이, 내이의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각 기관의 역할 역시 비슷하였지만, 그 능력 면에서는 현격한 차이가 났다. 고양이과 개를 사람과 비교했을 때 이 두 동물의 가청 범위는 인간의 그것을 훨씬 능가한 것으로써 고양이와 개 모두 인간으로서는 들을 수 없는 미세한 소리나 높은 소리까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하지만 고양이과 개를 비교했을 경우에는 고양이가 개보다 좀 더 우수한 청각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바로 고양이가 개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의 소리까지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동물 모두 청각을 주요한 인지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만큼 청각은 두 동물이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인식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마도 인간에게 있어 뇌가 생존을 위한 제1의 인식과 판단의 도구라면 동물들에게 있어서는 청각을 비롯한 감각기관이 이를 대신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추천자료
생명윤리학의 이론
언어와 문화의 정의
몬테소리 과학교구
[피아제][Piaget][인지발달이론]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피아제(Piaget) 이론의 기본...
좋은집이란?(건축적 관점)
[생명공학] 현대생활과 식탁의 위협 (광우병, 조류독감, GMO 식품)
피아제(Piaget) 이론의 개념과 인지발달의 단계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영아기 발달과 유아기 발달 측면에서 논하시오.
놀이지도
[A+레포트] 뇌, 인간을 읽다, 독후감, 감상문, 후기, 서평, 마이클 코벌리스
내 삶속의 색(2주차 ~ 14주차) 요약 및 성찰 [학점 A+]
시청각 레포트
아동 여가, 놀이, 문화공간에는 어떤 곳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과 함께 직접 체험 한 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