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구 피임약
2) 루프(자궁 내 장치)
3) 월경 주기법
4) 기초 체온법
5) 점액 관찰법
6) 살정제
7) 콘돔,페미돔
8) 질 외 사정법
2) 루프(자궁 내 장치)
3) 월경 주기법
4) 기초 체온법
5) 점액 관찰법
6) 살정제
7) 콘돔,페미돔
8) 질 외 사정법
본문내용
씨다를 정자가 뚫지 못하게 만드는 백신 및 임신에 필수적인 인체호르몬인 HCG에 대한 백신이 동물 실험단계에 있고 언젠가는 실용화 될 것입니다.
5. 잘못알고 있는 피임상식
① 질 밖에서 사정하면 임신걱정을 않해도 된다?
: 가장 널리 알려진 오해중 하나다. 당연히 질내 사정보다 임신가능성은 적지만 사정 전에 이미 정자가 일부 분비액에 섞여 나오기 때문에 임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성관계시 남자가 흥분상태이므로 조절능력이 감소되어 질외사정에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② 정관수술을 하면 정력이 감퇴된다?
: 정관수술이란 정액이 나오는 정관을 묶어 정자가 나오는 길을 막는 피임법이다. 정관수술을 하면 성감이 떨어진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전혀 근거없는 낭설이다. 하지만 정관수술 후 자신의 성적능력 퇴보에 대한 불안감같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성기능이 저하될 수는 있다.
③ 피임약을 먹으면 살이 찌고 피부가 거칠어진다?
: 과거의 피임약은 호르몬 함량이 높아 체내의 수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 하고 쌓여 체중증가 현상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피임약은 극소량의 호르몬만이 함유되 체중변화가 거의 없다.
과거 피임약중 일부는 여드름을 악화시키기도 했지만 최신 피임약은 오히려 여드름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④ 생리중에 성관계를 하면 임신을 피할 수 있다?
: 생리중에는 피임을 않해도 된다는 생각을 하기 쉽지만 잘못된 생각이다. 생리란 증식된 여성내막이 임신이 되지 않아 탈락하는 현상으로 이 기간 중 성관계를 가지면 임신확률이 적긴 하지만 100% 안전한 것은 아니다. 특히 생리기간이 긴 사람이 생리가 끝날 무렵 성관계를 가지면 3일 이상 정자가 살아남아 임신이 될 수도 있다.
⑤ 피임약을 장기복용하면 불임이나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다?
: 피임약은 복용법만 정확히 지키면 피임효과와 함께 건강상의 잇점을 가지고 있는 피임법으로 불임이나 기형아 출산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임신전 피임약 복용이 태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근거가 없고 이 사실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확증을 받은 바 있다. 피임약의 호 르몬 성분은 몸에 축적되지 않고 복용하는 동안만 작용을 나타낸다.
⑥ 정관수술로 완벽하게 피임이 된다?
: 일부는 정관수술 후에도 피임이 되지 않을 확률이 있다. 정관수술 시술법에 따라 다르지만 단순히 정관을 묶었을 경우 정자가 나 올 확률이 5% 정도로 높고 전기시술이나 절제방식의 경우 상대적으로 확율이 낮다.
5. 잘못알고 있는 피임상식
① 질 밖에서 사정하면 임신걱정을 않해도 된다?
: 가장 널리 알려진 오해중 하나다. 당연히 질내 사정보다 임신가능성은 적지만 사정 전에 이미 정자가 일부 분비액에 섞여 나오기 때문에 임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성관계시 남자가 흥분상태이므로 조절능력이 감소되어 질외사정에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② 정관수술을 하면 정력이 감퇴된다?
: 정관수술이란 정액이 나오는 정관을 묶어 정자가 나오는 길을 막는 피임법이다. 정관수술을 하면 성감이 떨어진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전혀 근거없는 낭설이다. 하지만 정관수술 후 자신의 성적능력 퇴보에 대한 불안감같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성기능이 저하될 수는 있다.
③ 피임약을 먹으면 살이 찌고 피부가 거칠어진다?
: 과거의 피임약은 호르몬 함량이 높아 체내의 수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 하고 쌓여 체중증가 현상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피임약은 극소량의 호르몬만이 함유되 체중변화가 거의 없다.
과거 피임약중 일부는 여드름을 악화시키기도 했지만 최신 피임약은 오히려 여드름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④ 생리중에 성관계를 하면 임신을 피할 수 있다?
: 생리중에는 피임을 않해도 된다는 생각을 하기 쉽지만 잘못된 생각이다. 생리란 증식된 여성내막이 임신이 되지 않아 탈락하는 현상으로 이 기간 중 성관계를 가지면 임신확률이 적긴 하지만 100% 안전한 것은 아니다. 특히 생리기간이 긴 사람이 생리가 끝날 무렵 성관계를 가지면 3일 이상 정자가 살아남아 임신이 될 수도 있다.
⑤ 피임약을 장기복용하면 불임이나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다?
: 피임약은 복용법만 정확히 지키면 피임효과와 함께 건강상의 잇점을 가지고 있는 피임법으로 불임이나 기형아 출산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임신전 피임약 복용이 태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근거가 없고 이 사실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확증을 받은 바 있다. 피임약의 호 르몬 성분은 몸에 축적되지 않고 복용하는 동안만 작용을 나타낸다.
⑥ 정관수술로 완벽하게 피임이 된다?
: 일부는 정관수술 후에도 피임이 되지 않을 확률이 있다. 정관수술 시술법에 따라 다르지만 단순히 정관을 묶었을 경우 정자가 나 올 확률이 5% 정도로 높고 전기시술이나 절제방식의 경우 상대적으로 확율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