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유
1) 생애와 사상
2) 도통설
3) 성3품설
4) 반불교투쟁
2. 이고
1) 생애와 사상
2) 복성
3) 수양방법
1) 생애와 사상
2) 도통설
3) 성3품설
4) 반불교투쟁
2. 이고
1) 생애와 사상
2) 복성
3) 수양방법
본문내용
빛난다. 그의 제도 창작은 천지의 업적과 비견되고, 그의 변화는 음양의 이치에 부합된다. 그러므로 비록 정이 있지만 그 정을 지닌 적이 없다.”고 함으로써 수양방법을 제시한다. 즉 성의 움직임이 곧 정이기 때문에 성인에게도 정은 있다. 그러나 성인의 경지는 고요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넓고 크며 맑고 투명하기 때문에 비록 정이 있다해도 마치 없는것과 같다. 먼저 마음에 생각이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지의 마음은 단순한 고요이다. 이 고요는 동요와 상대적인 고요로서, 고요하지 않을 때는 곧 동요가 된다. 한걸음 더 나아가 본래에 생각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면 동요와 고요 모두를 벗어나 적연부동하게 된다. 이 적연부동은 동요와 상대적인 고요가 아니라, 동요와 고요 모두를 벗어난, 즉 동요와 고요를 초월한 절대적인 고요이다. 따라서 성인은 감응하여 천하의 모든 현상에 두루 관통하더라도 그 마음의 본체는 여전히 적연부동이다. 이것이 곧 아주 분명히 보고 듣지만 보고 듣는 대상에 일렁거리지 않으며 사물이 도래할 때 그 마음은 명명백백히 그것을 변별하지만 그것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즉, 보고 듣는 것에서 말미암치 않는 것, 이것이 격물치지이다.
추천자료
동학의 정치사상 - 감상
자유주의와 질서자유주의에 대한 국가-시장론의 사상사적 접근
헤겔의 생애와 근본사상 및 변증법과 비판
신도(神道)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종교생활과 그 특징
제자백가 정리(유가 묵가 도가 명가 법가)
[묵가, 묵자] 묵가의 사상과 이론
2009년 2학기 중국의종교와사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린데 교육사상(교육철학), 엘렌케이 교육사상(교육철학), 듀이 교육사상(교육철학), 몬테소리...
성 어거스틴(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인간관, 성 어거스틴(성 아우구스티누스) 실존론과...
페스탈로찌
[보육학개론] 여러 보육사상가들의 아동중심 사상을 찾아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보자
17~20세기 여러 보육 사상가들의 아동중심 사상을 찾아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비교해보세요.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