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 <삼대>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염상섭 <삼대>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무엇을 이야기 하고 있는가*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가치*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고 오직 일신의 안정과 영달을 꾀하는 인물이다. 뿐만 아니라 재래적 가치관에 사로잡혀 새로운 가치관과는 담을 쌓고, 가부장적 사고로 인해 사회와의 단절을 꾀한 폐쇄적 인간상이다. <三代>의 “조상훈”과 <太平天下>의 “윤창식”은 2代, 즉 빈천과 부귀 또는 전통과 외래의 양면성을 지닌 인물이다. 개화기 전후에 성장하여 신식의 교육을 받고 유복한 환경에서 자라 봉건적 가치관에 부정되어야 할 것으로 받아 들여지기는 했지만, 새로운 가치관은 확립되지 못한 인물들이다. <三代>의 “조덕기”와 <太平天下>의 “윤종학”은 다 같이 식민지시대의 전형적인 인물로 표출되어 있다. 그 둘은 모두 법학을 전공하는 일본 유학생이면서 시대감각에 예민할 뿐 아니라 뚜렷한 현실인식이나 역사인식을 지니고 있는 인물들이다 이 두 인간형은 염상섭이나 채만식 두 작가가 공히 가장 긍정적으로 내세운 인물이라 보이고 따라서 소설 全作的 맥락과 견주어 볼 때 가장 중요한 인물들이라고 보여진다. 위의 논문, p.44~45.
이처럼 <삼대>는 1930년대 일제의 침략속에서 부르조아 계층과 사회주의 계층에 대한 염성섭 자신의 생각을 조의관-조상훈-조덕기 라는 삼대의 가족사를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였다. 조의관과 조상훈과는 다른 삶을 살고자 하는 조덕기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시대 상황에 부합하는 인물상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朴京淑, 『現代 家族史 小說 硏究』‘<三代>와 <太平天下>를 중심으로’ , 1986
김종균 편, <염상섭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재용, <염상섭 문학의 재조명>, 「염상섭과 민족의식」,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키워드

염상섭,   삼대,   현대소설,   국어,   문학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1.31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