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관절경수술 (Arthroscopy)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회전근개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2. 관절경 검사
  1) 정의
  2) 장점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간호과정
 1.수술전 간호
  1) 간호사정
  2) 일반진단적 검사결과
  3) 수술준비 확인기록
  4) 수술 준비물
  5) 전신마취하는 이유
  6) 전신마취 간호
  7) 약물
 2, 수술중 간호
  1) 마취기록
  2) 수술기록
  3) 수술과정
 3.수술후 간호
  1) 회복실 간호
  2) 마취회복점수

Ⅳ. 결론(느낀점)

본문내용

fraspinatus(극하근)와 teresminor muscle(삼각근) 사이로 air를 주입하여 joint space(관절연골)를 확장하였다. 그리고 coracoacromial ligament(오구견봉궁 인대)사이로 anterior portal을 만들었다.
(4)arthroscope을 삽입하여 arthroscopic exam을 시행한다. SLAP lesion(상부관절순 손상)에 대해 shaving and irrigation 시행한다. partial tear 된 biceps long head tendon에 대해 biceps tenotomy 시행한다.
(5)subscapularis tendon(견갑하근 힘줄)의 partial thickness tear를 확인하였다. humerus insertion 부위에 fastak suture anchor 2ea를 사용하여 simple suture로 fixation 시행한다.
(6)posterior portal을 통하여 subacromial space(견봉하 공간)로 cannula를 삽입한다. subacromial bursa(견봉하 점액낭)를 debrider로 제거하여 시야를 확보한 후 supraspinatus tendon(극상근 건)의 full thickness tear 를 확인한다. burr로 footprint preparation후 Fastak suture anchor와 Healix br anchor 각 1ea를 사용하여 fixation시행한다.
(7)수술 후 탐세폰 40mg을 주입한 후 compression dressing을 시행하였고 abductor brace를 착용시켰다.
3. 수술 후 간호
1)회복실 간호
환자가 가능한 빠르게 최적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상처치유를 보다 향상시키고, 신체적 편안함과 정서적인 지지를 해주어,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1) 회복실 기구 및 물품: 혈압계, pulse oxymetry,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기, 정맥주입기, 흡인기, 호흡보조기, 곡반, 도뇨세트, 소변기, 변기, 담요, 응급카트, 기관절개세트, 세동제거기, cutdown tray, 기계적 환기장치, 위액흡인기구, 흉관 삽입기구, 약물 등(2) 회복실로의 환자이송: 회복실에 있는 대상자의 회복과정을 주기적으로 관찰, 응급시 수술실로 빨리 보냄① 수술 후 피부를 닦고, 드레싱 한다. ② 마취의에 의해 사정 후 기관내관 제거, 근력, 기도유지, 일회 호흡량, 산소포화도, 혈압, 정맥수액 등을 점검한 후 회복실로 이송한다.③ 깨끗한 가운을 입히고, 수술대에서 들것으로 옮길 때 손상이 없도록 한다.④ 담요를 덮고 배액관의 꼬임이나 빠짐에 주의한다.⑤ 복위로 취하고, 갑작스런 체위변경은 저혈압을 발생시키므로 주의한다.⑥ 무릎과 팔꿈치를 억제대로 억제 혹은 벨트로 묶고 side rail을 올려 안전이송 한다.(3) 회복실 환자사정① 기도 유지 상태; 기도확보, 분비물 있을 시 흡인이나 거즈 사용하여 제거, 호흡음(쉰 목소리, croup, 천식음, 코고는 소리, 호흡음의 감소)을 사정한다.②산소 공급 유무; 안면마스크나 비강케뉼라로 산소를 공급, 가습기를 사용해 건조와 폐 합병증을 예방한다.③ 활력징후;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체온을 사정하고, 피부가 창백하고, 차고, 축축하면 눈과 뇌수술을 제외하고 쇽체위를 취한다.④ 의식상태 및 반응정도: 의식회복단계, 대광반사, 근력, 추궁절제술 환자와 부위마취환자는 다리 감각 및 운동기능을 사정한다. ⑤ 인두, 기침, 연하반사 확인
2)마취 회복 점수
(1)회복실 간호기록 일반정보
·회복실 입실시간 : 11:00
·회복실 퇴실시간 : 11:15
(2)기도유지정보: 기도유지 - None
마취 후
회복 점수
회복실 도착시
15분
30분
45분
1시간
회복실 퇴실시
활동 : 자율적으로 혹은 지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사지 중 4 부위
2
2
2
2
2
2
사지 중 2 부위
1
1
1
1
1
1
전혀 못함
0
0
0
0
0
0
호흡
심호흡과 기침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2
2
2
2
2
2
호흡곤란, 얕은 호흡, 호흡 제한
1
1
1
1
1
1
무호흡
0
0
0
0
0
0
순환 : 수술 전 혈압(mmHg)
마취 전 혈압의 ±20%
2
2
2
2
2
2
마취 전 혈압의 ±20~50%
1
1
1
1
1
1
마취 전 혈압의 ±50% 이상
0
0
0
0
0
0
의식
의식명료
2
2
2
2
2
2
부르면 깬다
1
1
1
1
1
1
무반응
0
0
0
0
0
0
피부색깔
정상
2
2
2
2
2
2
창백, 암적색, 얼룩, 황달, 기타
1
1
1
1
1
1
청색증
0
0
0
0
0
0
퇴실기준 : 총점 10점, 안정된 활력징후 총점
10점 이하는 의사의 지시가 있어야 함 총점 : 10점
(3)회복상태 평가내용
(4)PCA 정보
PCA 세부정보 : IV
간호 특이사항 기록 : 병실 인계 물품: 수술 동의서 보냄
IV-PCA : Fentanyl 500mg
N/S 90cc
Ⅳ. 결론(느낀점)
수술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시작한 수술실 실습이 벌써 막바지에 이르렀다. 사실 많이 떨렸던 것 같다.
수술실이라는 곳은 내가 수술실간호사가 되거나 수술을 하러 오지 않는 이상은 들어올 수 없는 곳이라서 그런지 수술실은 낯선 곳 이였다. 모자를 쓰고 마스크를 쓰고 수술실 신발도 신고 무균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곳이었다. 당일 수술 스케줄에 맞춰 물품준비, 소독 확인 을 하는 간호사 선생님들께서는 신속·정확 하셨다. 또 여러 수술과정을 지켜보면서 기본적인 진행순서를 알고 다음에 필요한 수술도구를 미리 준비할 수 있는 스크럽 간호사선생님과 순환간호사선생님의 역할에 대해 중요성을 느꼈다. 케이스 arthroscopy의 수술과정을 지켜 보았는데 전신마취 후 미세 절개하고 내시경과 내시경용도로 제작된 수술기구를 이용해 '회전근개'라고 하는 힘줄이 끊어진 부위에 나사를 뼈에 고정하고 그 앵커에 달려있는 봉합실을 이용해 힘줄을 꿰메는 모습을 보고 신기하였다. 서울적십자병원 수술실에서의 실습경험은 나에게 좋은 기회가 되었고 졸업 후, 수술실에서 근무할 수 있기를 희망하게 된 실습 이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2.02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