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용 대상
2. 문제의 정의와 원인 분석
3. 적용 가능한 교육활동
4. 결론 및 논의
5. 참고문헌
2. 문제의 정의와 원인 분석
3. 적용 가능한 교육활동
4. 결론 및 논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에서는 체벌대신 생각하는 벌이라는 이름으로 글쓰기 벌을 학생들에게 주어 큰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다.
4.결론 및 논의
지금까지 교사가 학생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격려하고 발생 빈도를 높이며 옳지 못한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학급에서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스스로 깨달아 부정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보상을 얻기 위해 행동을 바꾸어보려는 움직임을 보이도록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아무리 보상이 주어져도 학생들이 혼자 마음을 먹고 변화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학급 또래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고 팀을 구성함으로써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학생 개인은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배울 수도 있고 서로간의 피드백을 통해 자아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줄 수도 있다.
5.참고문헌
교육심리학(10판), 김아영 외 공역(2007), 박학사
학교 상담과 생활지도(2판), 김계현 외 공저, 학지사
연합뉴스 2010년 2월 21일 기사 [용인 이현중 '생각하는 벌'..체벌 대신 글쓰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32224
매일경제 2000년 9월 22일 기사 [[교육.육아] 체벌 또 '도마 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0050518
4.결론 및 논의
지금까지 교사가 학생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격려하고 발생 빈도를 높이며 옳지 못한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학급에서 행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스스로 깨달아 부정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보상을 얻기 위해 행동을 바꾸어보려는 움직임을 보이도록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아무리 보상이 주어져도 학생들이 혼자 마음을 먹고 변화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학급 또래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고 팀을 구성함으로써 그런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학생 개인은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배울 수도 있고 서로간의 피드백을 통해 자아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줄 수도 있다.
5.참고문헌
교육심리학(10판), 김아영 외 공역(2007), 박학사
학교 상담과 생활지도(2판), 김계현 외 공저, 학지사
연합뉴스 2010년 2월 21일 기사 [용인 이현중 '생각하는 벌'..체벌 대신 글쓰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32224
매일경제 2000년 9월 22일 기사 [[교육.육아] 체벌 또 '도마 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0050518
키워드
추천자료
조는 공교육 깨어있는 사교육
[교육철학사 텀페이퍼] 정서적 접근의 도덕교육 탐색
교육심리학 이론에서 바라본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그에 따른 대책
유아교육교사에 관한 고찰
[청소년폭력][청소년집단따돌림][왕따]사례를 통해 본 청소년폭력, 청소년집단따돌림(왕따)의...
통합교육의 현장 문제점과 학부모 인식변화와 설득방법
학업중단(퇴학, 학교중퇴) 관련이론, 학업중단(퇴학, 학교중퇴) 발생원인, 학업중단(퇴학, 학...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발생배경과 환경조성,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
[보육교사론] 보육현장에서의 발생되는 문제점을 아동, 학부모, 교직원, 기타 측면에서 기...
말안듣는 아이 아동관찰및행동연구(고집쎈아이, 아동문제, 아동행동연구, 아동행동지도)
어린이집 또래관계문제, 어울리지 않는 아동문제(아동관찰, 아동행동수정)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특징과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