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토론수업의 의의
Ⅱ. 토론 지도 기초 단계의 실제
Ⅱ. 토론 지도 기초 단계의 실제
본문내용
한다.
* 진행상의 유의점
① 각 모서리마다 모인 학생들의 수가 비슷해지도록 조정한다.
② 모서리마다 돌아가면서 발언을 할 때에는 발언을 건너뛸 수 없다.
③ 작전 타임(모서리마다 1분씩 1회에 한함.)이나 흑기사 제도(흑기사는 2회에 한하여 부를 수 있
음)를 두어 모서리 게임에 재미를 더한다.
<예시>
* 모서리 게임으로 진행하는 선거 토론
①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나는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가?’라는 주제 제시
② 지지하는 후보에 따라 의견을 넷으로 나눈다.
③ 교실의 각 모서리마다 후보를 지정한다.
강 OO 후보
박 OO 후보
이 OO 후보
김 OO 후보
④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모서리로 간다.
⑤ 같은 모서리에 모인 사람들끼리 왜 그 후보를 지지하는지에 대해 토론한다(10분)
⑥ 같은 모서리에 모인 사람들끼리 발언 순서를 정한다.
⑦ 강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박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김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이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강후보 지지 모둠의 2번 발언자 → …… 순으로 지지 이유를 이야기 한다. (20분)
⑧ 교사가 쟁점을 지정해 주면 쟁점과 관련된 이견을 발언 순서와 관계 없이 발언권을 얻더 이야기한다. (10분)
⑨ 토론을 마무리한다.
참사람 부족 이야기
말로 모건의 [무탄트 메시지]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참사람 부족의 행사에 초청을 받아 참사람 부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로 뽑혔다. 이 과정에서 모건은 많은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참사람 부족은 생일을 축하하지 않는다. 그저 태어난 생일을 축하하기 보다는 무언가를 성취한 날을 축하한다. 예를 들어 참사람 부족 가운데 어떤 사람이 매일 매일 별을 보며 연구를 하여, 이제 별을 보고 앞으로 비가 언제 얼마나 내리게 될지, 더운날들은 얼마나 계속될지, 우리가 여행하고 있는 방향은 정확히 어떤 쪽인지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알립니다. 새로운 성취를 알리는 것이지요.
새로운 성취를 알리면 부족의 사람들은 모두 모여 그의 성취를 축하하고 축복합니다. 잔치를 벌이고 그를 위해 시를 지어주고, 노래와 춤을 헌정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이름을 짓습니다. “정말 훌륭하구나! 네 이름은 ‘별밤지기’라고 하자.” 이 때 중요한 것은 별밤지기가 성취를 하였다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 시험관도 아니고, 부족의 다른 사람들도 아니고 바로 자기 자신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모두 그의 말을
* 진행상의 유의점
① 각 모서리마다 모인 학생들의 수가 비슷해지도록 조정한다.
② 모서리마다 돌아가면서 발언을 할 때에는 발언을 건너뛸 수 없다.
③ 작전 타임(모서리마다 1분씩 1회에 한함.)이나 흑기사 제도(흑기사는 2회에 한하여 부를 수 있
음)를 두어 모서리 게임에 재미를 더한다.
<예시>
* 모서리 게임으로 진행하는 선거 토론
①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나는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가?’라는 주제 제시
② 지지하는 후보에 따라 의견을 넷으로 나눈다.
③ 교실의 각 모서리마다 후보를 지정한다.
강 OO 후보
박 OO 후보
이 OO 후보
김 OO 후보
④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모서리로 간다.
⑤ 같은 모서리에 모인 사람들끼리 왜 그 후보를 지지하는지에 대해 토론한다(10분)
⑥ 같은 모서리에 모인 사람들끼리 발언 순서를 정한다.
⑦ 강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박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김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이후보 지지 모둠의 1번 발언자 → 강후보 지지 모둠의 2번 발언자 → …… 순으로 지지 이유를 이야기 한다. (20분)
⑧ 교사가 쟁점을 지정해 주면 쟁점과 관련된 이견을 발언 순서와 관계 없이 발언권을 얻더 이야기한다. (10분)
⑨ 토론을 마무리한다.
참사람 부족 이야기
말로 모건의 [무탄트 메시지]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참사람 부족의 행사에 초청을 받아 참사람 부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로 뽑혔다. 이 과정에서 모건은 많은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참사람 부족은 생일을 축하하지 않는다. 그저 태어난 생일을 축하하기 보다는 무언가를 성취한 날을 축하한다. 예를 들어 참사람 부족 가운데 어떤 사람이 매일 매일 별을 보며 연구를 하여, 이제 별을 보고 앞으로 비가 언제 얼마나 내리게 될지, 더운날들은 얼마나 계속될지, 우리가 여행하고 있는 방향은 정확히 어떤 쪽인지 등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알립니다. 새로운 성취를 알리는 것이지요.
새로운 성취를 알리면 부족의 사람들은 모두 모여 그의 성취를 축하하고 축복합니다. 잔치를 벌이고 그를 위해 시를 지어주고, 노래와 춤을 헌정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이름을 짓습니다. “정말 훌륭하구나! 네 이름은 ‘별밤지기’라고 하자.” 이 때 중요한 것은 별밤지기가 성취를 하였다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 시험관도 아니고, 부족의 다른 사람들도 아니고 바로 자기 자신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모두 그의 말을
추천자료
우리나라 사교육(선행학습)의 실태와 효과 여부
다양한 주제와 테마별 독서로 초등논술 따라잡기
웹토론(인터넷토론, 가상, 온라인)의 정의와 특성, 웹토론(인터넷토론, 가상, 온라인)의 영향...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실태,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지도중점과 지도내...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특성과 이론적 기초,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탐구과정과 ...
초등학교생활지도의 중요성과 기본, 초등학교생활지도의 학교생활지도와 건강생활지도, 초등...
토론학습의 정의와 절차, 온라인토론학습(인터넷토론학습)의 정의, 온라인토론학습(인터넷토...
[독서토론 (讀書討論)] 독서토론의 유형과 방법 ; 독서토론의 특성과 교육효과 분석 {전통적 ...
인터넷에서 집단 극화,익명성과 네트워크,집단극화란,군중성과 집단극화 유발성,인터넷에서 ...
한국 토론문화의 특징과 성숙된 정착
미국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체제 분석 연구
딜레마 토론 사례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딜레마 토론 - 우정과 타인에 대한 배려
콜버그의 딜레마 토론에 관한 짧은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