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ㅁ 목차
1. anatomy
2. 어깨 손상의 배경
3. 어께 재활의 일반 원칙
4. 최초 평가
5. 어께통증의 평가에 있어서 병력의 중요성
6. 일반적인 어깨재활의 목표
7. 어깨의 손상과 재활
1. anatomy
2. 어깨 손상의 배경
3. 어께 재활의 일반 원칙
4. 최초 평가
5. 어께통증의 평가에 있어서 병력의 중요성
6. 일반적인 어깨재활의 목표
7. 어깨의 손상과 재활
본문내용
Shoulder
(어깨)
┃ 1. Anatomy - Bone
┗━━━━━━━━━━─────────…
어깨는 크게 Scapula(견갑골), Humerus(상완골), Clavicle
(쇄골)로 구성되어 있다.
≪ 그 림 ≫
┃ 1. Anatomy - Joint
┗━━━━━━━━━━─────────…
어깨의 관절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그 림 ≫
* GH joint
* SC joint
* AC joint
* ST joint
┃ 1. Anatomy - Muscle
┗━━━━━━━━━━─────────…
* Teres major
≪ 그 림 ≫ ≪ 그 림 ≫
≪ … 중 략 … ≫
┃ 2. 어깨손상의 배경
┗━━━━━━━━━━─────────…
1) 어깨 복합체의 목적
(1) 일차적 - 일상생활동작들을 수행 하기 위해 원하는 곳에 손을 위치시키는 것
이차적 - 강력한 근육으로부터의 힘을 팔과 손에 전달 시키는 작용
(2) 동작들을 수행하는 능력은 GH joint 즉 상완와관절
고유의 움직임과 기능적인 안정성에서 기인한다.
- 상완와관절의 뼈 구조로 인해 제한 없는 움직임이 일어남.
- 견갑골도 흉벽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임
- 상완와관절의 뼈 안정성은 섬유연골 관절순에 의해 촉진됨
┃ 2. 어깨손상의 배경
┗━━━━━━━━━━─────────…
2) 안전장치
어깨에서 대부분의 안정성은 어깨를 관통하는 연부조직 구조들에 의해 결정
(1) 정적인 안전장치
ligament(인대)와 capsule(관절낭)으로 관절와에서 상완골두의
전위 및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 Superior GH ligament(상 상완와인대)
- Middle GH ligament(중 상완와인대)
- Inferior GH ligament(하 상완와인대)
견갑골 안전장치들을 강화한다는 것은
모든 어깨 손상 후
재활 과정의 중요한 요소!!
〓〓〓〓〓〓〓〓〓〓〓〓〓〓〓〓〓〓〓〓〓〓〓〓〓〓〓〓〓〓〓〓〓〓〓〓〓〓〓〓〓〓〓〓〓〓〓〓〓〓〓
상 상완와인대 : 중요한 하부 안전장치
중 상완와인대 : 90도 미만에서 external rotation(외회전) 및 abduction(외전) 시에 팔이 전방전위 되지 않도록 안정성을 부여
하 상완와인대 : 어깨의 가장 불안정한 위치인 90도 abduction 및 external rotation시에 가장 중요한 전방 안전장치
가장 중요한 것은 근육들이 상완골과
견갑골의 위치를 조절하는
force couple의 한 구성요소이며, 상완와관절에 힘이 적합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어깨)
┃ 1. Anatomy - Bone
┗━━━━━━━━━━─────────…
어깨는 크게 Scapula(견갑골), Humerus(상완골), Clavicle
(쇄골)로 구성되어 있다.
≪ 그 림 ≫
┃ 1. Anatomy - Joint
┗━━━━━━━━━━─────────…
어깨의 관절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그 림 ≫
* GH joint
* SC joint
* AC joint
* ST joint
┃ 1. Anatomy - Muscle
┗━━━━━━━━━━─────────…
* Teres major
≪ 그 림 ≫ ≪ 그 림 ≫
≪ … 중 략 … ≫
┃ 2. 어깨손상의 배경
┗━━━━━━━━━━─────────…
1) 어깨 복합체의 목적
(1) 일차적 - 일상생활동작들을 수행 하기 위해 원하는 곳에 손을 위치시키는 것
이차적 - 강력한 근육으로부터의 힘을 팔과 손에 전달 시키는 작용
(2) 동작들을 수행하는 능력은 GH joint 즉 상완와관절
고유의 움직임과 기능적인 안정성에서 기인한다.
- 상완와관절의 뼈 구조로 인해 제한 없는 움직임이 일어남.
- 견갑골도 흉벽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임
- 상완와관절의 뼈 안정성은 섬유연골 관절순에 의해 촉진됨
┃ 2. 어깨손상의 배경
┗━━━━━━━━━━─────────…
2) 안전장치
어깨에서 대부분의 안정성은 어깨를 관통하는 연부조직 구조들에 의해 결정
(1) 정적인 안전장치
ligament(인대)와 capsule(관절낭)으로 관절와에서 상완골두의
전위 및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 Superior GH ligament(상 상완와인대)
- Middle GH ligament(중 상완와인대)
- Inferior GH ligament(하 상완와인대)
견갑골 안전장치들을 강화한다는 것은
모든 어깨 손상 후
재활 과정의 중요한 요소!!
〓〓〓〓〓〓〓〓〓〓〓〓〓〓〓〓〓〓〓〓〓〓〓〓〓〓〓〓〓〓〓〓〓〓〓〓〓〓〓〓〓〓〓〓〓〓〓〓〓〓〓
상 상완와인대 : 중요한 하부 안전장치
중 상완와인대 : 90도 미만에서 external rotation(외회전) 및 abduction(외전) 시에 팔이 전방전위 되지 않도록 안정성을 부여
하 상완와인대 : 어깨의 가장 불안정한 위치인 90도 abduction 및 external rotation시에 가장 중요한 전방 안전장치
가장 중요한 것은 근육들이 상완골과
견갑골의 위치를 조절하는
force couple의 한 구성요소이며, 상완와관절에 힘이 적합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논문] 관절염과 수중치료
관절염과 수중치료
슬관절 질환(IDK.슬내장)
성인간호학 - 통증
발목의 인대,건 상해 및 재활
하퇴손상의 재활
(의료사회사업)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사업가의 역할 보고서
os 케이스 스터디 MM&LM tear knee RT(오른쪽 무릎 내측 반월상연골, 외측 반월상연골 파...
[의학] ACL 재건술에 관하여
[물리치료] 무의식상태 물리치료
충돌 증후군 재활 운동 (정의, 원인, 진단, 치료, Neer의 Impingement syndrome 세 단계 분류...
생활과건강-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환자 교육내용,편마비 환자의 재활방안 제시,중증뇌졸중...
[생활과 건간 공통] 뇌졸중은 중풍이라고 불리는 뇌혈관 질환, 뇌 혈액 공급 혈관이 터지거나...
척수 손상 환자( spinal cord injury SCI)-의학적 특성 내과적 문제 재활 치료 합병증 및 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