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정의
Neer의 Impingement syndrome 세 단계 분류
원인
진단
치료
재활 운동 1단계 견갑골 외전 증후군
1단계 어깨 스트레칭 - 목표 : 전반적인 유연성 증가
2단계 어깨 체형 교정 - 목표 : 견갑대 체형 교정
3단계 어깨 견갑대 강화 운동 - 목표 : 견갑대 강화 운동
Neer의 Impingement syndrome 세 단계 분류
원인
진단
치료
재활 운동 1단계 견갑골 외전 증후군
1단계 어깨 스트레칭 - 목표 : 전반적인 유연성 증가
2단계 어깨 체형 교정 - 목표 : 견갑대 체형 교정
3단계 어깨 견갑대 강화 운동 - 목표 : 견갑대 강화 운동
본문내용
충돌 증후군 재활 운동
정의
• Impingement syndrome이란 회전근개가 오구견봉궁의 앞쪽 구조인 견봉의 앞쪽 1/3, 오구견봉인대 및 견봉쇄골관절에 의해서 병적으로 눌리는 임상 현상이며, 1972년 Neer에 의해 널리 알려짐.
• 진행 시 견봉쇄골 인대와 견봉의 앞 1/3 하면에 골극이 형성되어 견봉하 출구를 더욱 더 좁게 함.
• 앞의 모든 요소들은 회전근개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회전근개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파열시키는 결과를 초래함.
Neer의 Impingement syndrome 세 단계 분류
1단계
• 전형적인 나이 : 25세 이하
• 임상경과 : 가역적 병변
• 이학적 징후 :
상완골 대결절 위의 압통
견봉 전방부의 압통
60~120도 사이 외전에서 통증이 심한 운동범위를 보이고 90도에서 저항이 증가
충돌징후 양상
어깨관절 운동범위가 심한 견봉하 염증으로 제한됨
2단계
• 전형적인 나이 : 25~40세
• 임상경과 : 활동을 변경해도 비가역적
• 이학적 징후 :
1단계에서 다음 중 하나의 징후가 추가된 경우
견봉하 공간의 반흔 조직에 의한 연부 조직의 염발음 발생
팔을 100도 가까이 낮출 때 걸리는 느낌
수동과 능동적 어깨관절 운동범위 제한
3단계
• 전형적인 나이 : 40세 이상
• 임상경과 : 비가역적
• 이학적 징후 :
1단계와 2단계에서 나타나는 이학적 징후
활동범위의 제한, 특히 능동적 운동에서 현저함
극하근의 위축
어깨관절의 외전과 외회전 근력의 약화
이두박근건의 침범
견봉쇄골관절의 압통
≪ … 중 략 … ≫
2단계 어깨 체형 교정
목표 : 견갑대 체형 교정
견갑골 외전으로 인한 통증
• GH의 충돌증후군
• 흉곽출구증후군
• 상완골의 아탈구(ANT/INF)
• 능형근, 승모근, Thoracic pain
• 극상근 건염, 점액낭염
• SC 관절의 통증
체형 교정 운동
• 대흉근 및 소흉근 신장
• 전거근의 신장
• 능형근의 강화 운동
• 중부 및 하부 승모근의 강화 운동
• 자세 교정 교육
가슴 스트레칭 준비운동
≪ 사 진 ≫
정의
• Impingement syndrome이란 회전근개가 오구견봉궁의 앞쪽 구조인 견봉의 앞쪽 1/3, 오구견봉인대 및 견봉쇄골관절에 의해서 병적으로 눌리는 임상 현상이며, 1972년 Neer에 의해 널리 알려짐.
• 진행 시 견봉쇄골 인대와 견봉의 앞 1/3 하면에 골극이 형성되어 견봉하 출구를 더욱 더 좁게 함.
• 앞의 모든 요소들은 회전근개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회전근개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파열시키는 결과를 초래함.
Neer의 Impingement syndrome 세 단계 분류
1단계
• 전형적인 나이 : 25세 이하
• 임상경과 : 가역적 병변
• 이학적 징후 :
상완골 대결절 위의 압통
견봉 전방부의 압통
60~120도 사이 외전에서 통증이 심한 운동범위를 보이고 90도에서 저항이 증가
충돌징후 양상
어깨관절 운동범위가 심한 견봉하 염증으로 제한됨
2단계
• 전형적인 나이 : 25~40세
• 임상경과 : 활동을 변경해도 비가역적
• 이학적 징후 :
1단계에서 다음 중 하나의 징후가 추가된 경우
견봉하 공간의 반흔 조직에 의한 연부 조직의 염발음 발생
팔을 100도 가까이 낮출 때 걸리는 느낌
수동과 능동적 어깨관절 운동범위 제한
3단계
• 전형적인 나이 : 40세 이상
• 임상경과 : 비가역적
• 이학적 징후 :
1단계와 2단계에서 나타나는 이학적 징후
활동범위의 제한, 특히 능동적 운동에서 현저함
극하근의 위축
어깨관절의 외전과 외회전 근력의 약화
이두박근건의 침범
견봉쇄골관절의 압통
≪ … 중 략 … ≫
2단계 어깨 체형 교정
목표 : 견갑대 체형 교정
견갑골 외전으로 인한 통증
• GH의 충돌증후군
• 흉곽출구증후군
• 상완골의 아탈구(ANT/INF)
• 능형근, 승모근, Thoracic pain
• 극상근 건염, 점액낭염
• SC 관절의 통증
체형 교정 운동
• 대흉근 및 소흉근 신장
• 전거근의 신장
• 능형근의 강화 운동
• 중부 및 하부 승모근의 강화 운동
• 자세 교정 교육
가슴 스트레칭 준비운동
≪ 사 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