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저자, 저서 소개
1-1 베른트 슈퇴버와『냉전이란 무엇인가』
1-2 존 루이스 개디스와 『냉전의 역사』
2. 냉전이란 무엇인가
3. 냉전의 원인
3-1 냉전의 원인에 대한 세 가지 관점
3-2 존 루이스 개디스의 관점
4. 냉전의 종식
4-1 서방의 승리?
4-2 희망의 승리
5. 아쉬운 점
Ⅲ. 결론
Ⅱ. 본론
1. 저자, 저서 소개
1-1 베른트 슈퇴버와『냉전이란 무엇인가』
1-2 존 루이스 개디스와 『냉전의 역사』
2. 냉전이란 무엇인가
3. 냉전의 원인
3-1 냉전의 원인에 대한 세 가지 관점
3-2 존 루이스 개디스의 관점
4. 냉전의 종식
4-1 서방의 승리?
4-2 희망의 승리
5. 아쉬운 점
Ⅲ. 결론
본문내용
선량하고 민주적인 국가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냉전은 어느 한쪽이 무조건적으로 선하거나 악하기 때문에 지속되었던 사건이 아니다. 하지만 개디스는 책 전반에서 미국의 역사를 민주성과 자율성의 역사로 서술하며, 늘 세계의 평화를 걱정하는 국가로 묘사한 듯 보인다. 냉전의 종식을 설명한 7장의 이름을 ‘희망의 승리’인 것은 마치 권선징악의 결말을 갖는 옛날이야기를 보는 듯 하다.
세 번째는 냉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미국이 자본력을 일부 냉전의 무기로 사용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 외에는 소련과 스탈린에게 냉전의 책임을 대부분 전가한다는 점, 냉전의 종식을 민주주의의 승리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주의적 해석과 뚜렷하게 다른 점을 찾기 어렵다.
Ⅲ. 결론
『냉전이란 무엇인가』의 저자 베른트 슈퇴버는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냉전’이라는 사건을 서술하려고 노력했고, 『냉전의 역사』의 저자인 존 루이스 개디스는 ‘탈 수정주의’의 관점에서 냉전을 서술했다. 개디스는 냉전의 원인을 소련과 스탈린에 상당 부분 전가하지만 수정주의적 해석을 일부 수용하기도 한다. 이는 기존의 전통주의적 해석과 수정주의적 해석에서 벗어난, 혹은 그 둘을 절충한 냉전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라고 하는데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무려 반세기 동안 진행된 커다란 사건을 짧은 시간에 공부하고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냉전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하여 서평의 대부분을 두 책에만 의존했다는 점도 아쉬웠다. 하지만 두 책을 비교해 읽으면서 냉전에 대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었고 더 많은 의문과 생각을 갖게 되었다.
세 번째는 냉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미국이 자본력을 일부 냉전의 무기로 사용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 외에는 소련과 스탈린에게 냉전의 책임을 대부분 전가한다는 점, 냉전의 종식을 민주주의의 승리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주의적 해석과 뚜렷하게 다른 점을 찾기 어렵다.
Ⅲ. 결론
『냉전이란 무엇인가』의 저자 베른트 슈퇴버는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냉전’이라는 사건을 서술하려고 노력했고, 『냉전의 역사』의 저자인 존 루이스 개디스는 ‘탈 수정주의’의 관점에서 냉전을 서술했다. 개디스는 냉전의 원인을 소련과 스탈린에 상당 부분 전가하지만 수정주의적 해석을 일부 수용하기도 한다. 이는 기존의 전통주의적 해석과 수정주의적 해석에서 벗어난, 혹은 그 둘을 절충한 냉전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이라고 하는데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무려 반세기 동안 진행된 커다란 사건을 짧은 시간에 공부하고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냉전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하여 서평의 대부분을 두 책에만 의존했다는 점도 아쉬웠다. 하지만 두 책을 비교해 읽으면서 냉전에 대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었고 더 많은 의문과 생각을 갖게 되었다.
추천자료
탈 냉전시기 중국과 러시아간의 정치관계연구
[한국 근대사 개설]『고종시대의 재조명』 요약 및 비평
『고종시대의 재조명』 요약 및 비평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 문제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형사재판소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역사, 구성, 재판절...
미국의 민주주의
우리 역사 최전선 서평
[마르크스주의][막스주의][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심층 고찰(역사 유물론, 노동 가치 이론, ...
박정희 전반의 모든것!!!
한국의 국가안보전략
[국제정치] 탈 -냉전후 국제 질서
[북한, 일본, 북일관계, 북일관계정상화]북일관계(북한과 일본의 관계), 북일관계정상화(북한...
2015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C형(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이 우리 삶)
2018년 1학기 세계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베트남 전쟁에 관한 주제)
소개글